인터넷 언어의 생성과정과 활용 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 언어의 생성과정과 활용 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새로운 형태의 언어 생성된 경우
(2) 기존의 단어의 의미가 변형된 경우
(3) 기존의 있던 단어들의 조합으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낸 경우

3. 결론
(1) 교육적 방법
(2) 인터넷상에서의 방법
(3) 사회 생활 지도의 방법

*참고사진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21세기 정보화 시대인 요즘 컴퓨터 특히 인터넷은 우리 생활의 한 부분이 되어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이는 컴퓨터의 보급률이 높아졌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경우 인터넷 보급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 어느 곳에서나 쉽게 인터넷에 접속 할 수 있게 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의 컴퓨터의 보급률은 90년대에 들어 큰 폭으로 신장하면서 연간 판매 대수 100만대를 돌파하고 최근에는 1가구 1PC시대가 도래했다.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인터넷 통신 가입자 수도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3000천 만 명 정도의 사람이 가입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인터넷 사용인구가 급증하면서 급기야는 인터넷상에서 쓰이는 언어가 따로 생겨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인터넷 언어는 전혀 새로운 형태의 언어가 생겨나기도 하고 단어의 의미가 변형된 것이나 기존의 있던 단어들의 조합이나 줄임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인터넷을 즐겨 사용하는 이들에 의해서 ‘우리말 정화’라는 취지로 더욱 좋은 모습으로 변화하는 경우도 있다.
앞으로 인터넷 문화의 변화 속도는 지금까지 진행 된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다. 따라서 정보 인프라 구축이 가속화될수록 사회 전반에 있어서 네트워크화에 의한 정보화는 더욱 진척될 것이다. 이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인터넷 언어의 활용 범위는 더욱 커져 갈 것이며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여기에서 논의가 시작된다. 인터넷이 하나의 필수품으로 여기질 만큼의 가치를 가지는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소위 인터넷언어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여러 가지 인터넷 언어를 제시하면서 그것들이 만들어진 과정을 알아보고, 아직 그 어휘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그 어휘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실생활의 대화 혹은 웹상에서 어떻게 이용되고 활용되는지 직접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 인터넷용어가 온라인에서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광범위한 활용을 하게 되면서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사용하지 않은 사람들 간의 세대차이가 나게 되었는데, 이럴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2. 본론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인터넷언어는 크게 새로운 형태의 언어가 생성된 경우, 기존의 표현의 의미가 변형된 경우, 기존의 있던 표현들이 조합되어 전혀 새로운 뜻의 언어를 생성한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새로운 형태의 언어 생성된 경우
▷ ㄱㄱ
영어 ‘go go(고고)’에서 유래했다. 영어 단어 “go”는 ‘가다’라는 뜻과 함께 ‘출발하다’, ‘행동을 개시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온라인 게임을 시작하려고 할 때 준비를 하라는 말로써 게임을 ‘시작하자’는 의미로 “고고” 라고 표현을 했었는데, 이를 더 줄여 자음만 표현한 ‘ㄱㄱ’가 출현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 고고에서 파생어로 “고고씽(고고싱)” 이라는 표현도 나타났는데 이는 피망 게임의 \'알투비트\' 게임에서 유래된 말이다. 롤러스케이트를 신고 게임하는 형식의 게임으로써, \'씽~씽~\'달리다와 \'고고(GoGo)\'의 합성어로 이루어졌다.
ex) 4번 게임 방으로 ㄱㄱ / 4번 게임 방으로 고고씽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0.11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4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