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제왕절개 분만이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 수술 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 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지만 질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1. 적응증
1) 모체와 태아측 요인
난산 : 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부전 등
2) 모체측 요인
모체 질병 :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자궁경부암 등
중증감염 : 음부포진(herpes simplex virus Ⅱ), 활동성 병소 등
과거에 제왕절개 분만을 했을 경우
자궁수술의 경험이 있을 때
난소종양이나 섬유종으로 인한 산도 폐쇄
35세 이상의 노초산부나 오랜 불임 산부
3) 태아측 요인
태아질식 (제대탈출, 심한 태반기능부전)
횡위, 둔위
다태아 (선진부가 둔위인 경우)
4) 태반요인
전치태반, 태반 조기박리
1. 아두골반 불균형 (Cephalopelvic disproportion)
2.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 (Previous cesarean section)
3. 아주 심한 자간전증 (Very severe preeclampsia)
4.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 (Placenta previa or abtuptio placenta)
5. 태아질식 또는 임박한 질식 (Fetal distress or pending)
* 제왕절개술의 5대 적응증
2. 분만준비
1) 수술전 면담
수술전에 산부를 방문하여 산부의 내과력을 파악하고 안전한 마취방법을 사용하기위한 사정을 한다. 또 주치의는 수술전 산부와 가족에게 수술방법과 마취방법에 관해 미리 정 보를 주고 동의를 얻어야 한다. 간호사는 수술에 대해 산부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파악한 다. 병실 환경소개 및 산부의 활력징후, 신장과 체중을 먼저 측정하고 과거력, 현재 복용 하고 있는 약물, 특이체질 여부 등을 파악해 두는 것이 좋다.
2) 수술 위험요인의 확인
① 불충분한 영양상태 : 비만, 단백질, 비타민 결핍이 있는 산부 -> 상처회복 지연
② 연령 : 혈액 순환과 신장기능에 영향
③ 일반적인 건강상태
④ 수분과 전해질 균형 : 수술전 구토, 설사나 불충분한 수분 섭취 등은 저혈량증을 유발 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한다.
⑤ 심리상태 : 두려움에 차 있는 산부는 마취시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⑥ 수술형태
⑦ 설비와 의료진
3) 수술전 진단 절차
① 소변검사
② 혈액검사
혈액형 검사와 cross matching : 수술중, 수술후 혈액소실을 보충하기 위해
신장기능검사 (BUN) : 신기능이 좋지 않을 때
전혈구수 (CBC) : 헤모글로빈, 혈소판 수, 백혈구 수 등
③ 혈장 전해질과 산도(pH)
④ 흉부 X선 : 수술 동안 호흡수준이 떨어지기 때문에 호흡기계 질환이 있는 산부는 충분 한 산소공급을 위해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⑤ EKG : 심기능에 이상이 있는지 수술 전에 확인한다.
⑥ 태아심음과 자궁수축상태 모니터링
4) 수술전 간호
① 수술 준비를 위한 간호
수술동의서를 받고, 복부의 검상돌기부터 음부의 치모까지 깨끗이 삭모한다. 수술 전날 미리 관장하여 장을 비우고 마취제 투여 후 산부가 구토를 일으키지 않도록 수술 전 8시 간동안의 금식이 필요하다.
② 수술전 교육
관장, 피부준비, 금식, 투약, 장소 이동 등과 같은 수술전 준비 교육이 필요하며 도뇨 관, 정맥수액, 수술후 조기 이상의 필요성을 알려주는 것이 좋다. 수술후 합병증을 예방하 기 위해 수술 전날 미리 심호흡, 기침, 다리운동 등에 대해서 교육한다. 순환정체를 예방 하기 위하여 한 시간에 다섯 번 정도 발목, 무릎, 둔부를 굴곡, 신전시키는 운동을 지도한 다.
③ 수술 직전 간호
수술 직전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수술복을 갈아입힌다. 머리핀을 제거하고 손톱의 매니 큐어를 지우고 반지 등의 장신구를 빼도록 한다. 구강을 깨끗이 하고 의치가 있으면 빼 고, 산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이름표를 손목에 채워준다. 정체도뇨관을 삽입하고, 정맥을 통 한 적절한 수액 공급을 유지해야하며 차트와 수술전 체크리스트를 완성한다.
수술전 투약 : 분비물 억제를 위한 아트로핀제제를 투여하고 일체의 무통각성 마취제는 태아의 호흡을 억제하므로 피해야 한다. 자궁수축제는 상비약에 속한다.
수술실 준비 : 신생아 보온기, 산소, 신생아 흡인기, 신생아 간호를 위한 준비 등을 한 다.
3. 수술방법
1) 재래식 제왕절개
복부 조직과 자궁 체부를 수직으로 절개하여 태아와 태반을 만출시키는 방법이다. 적응 증은 다음과 같다.
- 태아의 제태 연령이 34주 이하이고 둔위인 경우
- 자궁하부에서 섬유종이 발견된 경우
- 제왕절개후 자궁절제술이 계
제왕절개 분만이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 수술 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 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지만 질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1. 적응증
1) 모체와 태아측 요인
난산 : 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부전 등
2) 모체측 요인
모체 질병 :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자궁경부암 등
중증감염 : 음부포진(herpes simplex virus Ⅱ), 활동성 병소 등
과거에 제왕절개 분만을 했을 경우
자궁수술의 경험이 있을 때
난소종양이나 섬유종으로 인한 산도 폐쇄
35세 이상의 노초산부나 오랜 불임 산부
3) 태아측 요인
태아질식 (제대탈출, 심한 태반기능부전)
횡위, 둔위
다태아 (선진부가 둔위인 경우)
4) 태반요인
전치태반, 태반 조기박리
1. 아두골반 불균형 (Cephalopelvic disproportion)
2.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 (Previous cesarean section)
3. 아주 심한 자간전증 (Very severe preeclampsia)
4.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 (Placenta previa or abtuptio placenta)
5. 태아질식 또는 임박한 질식 (Fetal distress or pending)
* 제왕절개술의 5대 적응증
2. 분만준비
1) 수술전 면담
수술전에 산부를 방문하여 산부의 내과력을 파악하고 안전한 마취방법을 사용하기위한 사정을 한다. 또 주치의는 수술전 산부와 가족에게 수술방법과 마취방법에 관해 미리 정 보를 주고 동의를 얻어야 한다. 간호사는 수술에 대해 산부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파악한 다. 병실 환경소개 및 산부의 활력징후, 신장과 체중을 먼저 측정하고 과거력, 현재 복용 하고 있는 약물, 특이체질 여부 등을 파악해 두는 것이 좋다.
2) 수술 위험요인의 확인
① 불충분한 영양상태 : 비만, 단백질, 비타민 결핍이 있는 산부 -> 상처회복 지연
② 연령 : 혈액 순환과 신장기능에 영향
③ 일반적인 건강상태
④ 수분과 전해질 균형 : 수술전 구토, 설사나 불충분한 수분 섭취 등은 저혈량증을 유발 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한다.
⑤ 심리상태 : 두려움에 차 있는 산부는 마취시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⑥ 수술형태
⑦ 설비와 의료진
3) 수술전 진단 절차
① 소변검사
② 혈액검사
혈액형 검사와 cross matching : 수술중, 수술후 혈액소실을 보충하기 위해
신장기능검사 (BUN) : 신기능이 좋지 않을 때
전혈구수 (CBC) : 헤모글로빈, 혈소판 수, 백혈구 수 등
③ 혈장 전해질과 산도(pH)
④ 흉부 X선 : 수술 동안 호흡수준이 떨어지기 때문에 호흡기계 질환이 있는 산부는 충분 한 산소공급을 위해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⑤ EKG : 심기능에 이상이 있는지 수술 전에 확인한다.
⑥ 태아심음과 자궁수축상태 모니터링
4) 수술전 간호
① 수술 준비를 위한 간호
수술동의서를 받고, 복부의 검상돌기부터 음부의 치모까지 깨끗이 삭모한다. 수술 전날 미리 관장하여 장을 비우고 마취제 투여 후 산부가 구토를 일으키지 않도록 수술 전 8시 간동안의 금식이 필요하다.
② 수술전 교육
관장, 피부준비, 금식, 투약, 장소 이동 등과 같은 수술전 준비 교육이 필요하며 도뇨 관, 정맥수액, 수술후 조기 이상의 필요성을 알려주는 것이 좋다. 수술후 합병증을 예방하 기 위해 수술 전날 미리 심호흡, 기침, 다리운동 등에 대해서 교육한다. 순환정체를 예방 하기 위하여 한 시간에 다섯 번 정도 발목, 무릎, 둔부를 굴곡, 신전시키는 운동을 지도한 다.
③ 수술 직전 간호
수술 직전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수술복을 갈아입힌다. 머리핀을 제거하고 손톱의 매니 큐어를 지우고 반지 등의 장신구를 빼도록 한다. 구강을 깨끗이 하고 의치가 있으면 빼 고, 산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이름표를 손목에 채워준다. 정체도뇨관을 삽입하고, 정맥을 통 한 적절한 수액 공급을 유지해야하며 차트와 수술전 체크리스트를 완성한다.
수술전 투약 : 분비물 억제를 위한 아트로핀제제를 투여하고 일체의 무통각성 마취제는 태아의 호흡을 억제하므로 피해야 한다. 자궁수축제는 상비약에 속한다.
수술실 준비 : 신생아 보온기, 산소, 신생아 흡인기, 신생아 간호를 위한 준비 등을 한 다.
3. 수술방법
1) 재래식 제왕절개
복부 조직과 자궁 체부를 수직으로 절개하여 태아와 태반을 만출시키는 방법이다. 적응 증은 다음과 같다.
- 태아의 제태 연령이 34주 이하이고 둔위인 경우
- 자궁하부에서 섬유종이 발견된 경우
- 제왕절개후 자궁절제술이 계
추천자료
정상 분만 case study
정상분만케이스
제왕절개 분만(C/SEC)
산욕기 간호(postpartum period) case study
임신성당뇨: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아동간호학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PROM / PPROM 분만실 케이스 스터디
호흡곤란 증후군 /초자양막질환/hyaline membrane disease
정상분만 환자 간호사례 연구
모성간호학 case study-정상자연분만(NSVD)-
아동간호학실습 :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스터디
제왕절개술 (Cesarean section) case study
자연분만, 조기파막 간호과정 3개
간호,case study,여성,조기양막 파열,양막 파수(rupture of membran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