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핸드벨의 역사
2) 핸드벨(Handbell)이란?
3) 핸드벨 연주시 필요사항
4) 챠임(Choir Chime)이란?
5) 챠임 연주시 주의사항
6) 챠임연주시 필요사항 설명
7) 핸드벨의 구조
8) 핸드벨 테크닉의 악보상 표현
9) 핸드벨이 장애인에게 미치는 영향
10) 장애자의 음악연주를 위한 교수법 및 실제응용
3.결론
*참고 사이트
2. 본론
1) 핸드벨의 역사
2) 핸드벨(Handbell)이란?
3) 핸드벨 연주시 필요사항
4) 챠임(Choir Chime)이란?
5) 챠임 연주시 주의사항
6) 챠임연주시 필요사항 설명
7) 핸드벨의 구조
8) 핸드벨 테크닉의 악보상 표현
9) 핸드벨이 장애인에게 미치는 영향
10) 장애자의 음악연주를 위한 교수법 및 실제응용
3.결론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대어 소리를 멈추게 할수있다.
(3)연주 자세
바른 자세로 편한 위치로 선다
무리한 힘을 주어서 챠임을 울리게 하지않는다. 부드러운 소리가 챠임 악기의 특성이다.
핸드벨에서 사용하는 테크닉을 피한다.(Martellato.심한shake등)
연주곡은 부드럽고 아름다운 곡을 선정하여 연주 하도록 한다.
7)핸드벨의 구조
(1)Color Handle(색깔 손잡이)
피아노의 건반 처럼 반음(샤프.플랫)은 검은색갈의 손잡이로 되어있고 온음은 하얀색이 손잡이로 되어있어 연주할때 연주자가 쉽게 구별하여 발리 핸드벨을 바꿀수 있는 장점이 있다.
(2)Strike Mark(핸드벨 로고)
핸드벨을 잡을때 로고가 손의 안쪽으로오게 해서 잡이야 핸드벨을 칠때 제대로 소리가 난다. 만약 바같방향으로 로고를 가게 하면 소리가 잘 나질 않는다. 항상 연주자는 주의해서 핸드벨이 핸들을 잡는다.
(3)Handguard(핸드가드)
음을 표시해 놓고 손을 잡을때 끝까지 잡도록 해야 연주하기가 수월하다. 핸드가드 바짝 잡아야 핸들에 무리가 가질 않는다.
(4)Inscriptions(핸들안에 표시)
핸드벨의 손잡이 안쪽에 표시를 함으로써 핸드벨 악기의 소재가 분명하게 된다.팀 이름이라던가 학교 이름을 써넣어서 제작을 할수가 있다.주문시에 필요하다
(5)Handle(Malmark 손잡이)
핸드벨의 손잡이가 표면이 일어난다던가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없도록 고안이 되었다.
(6)Adjustable Axles(고정나사)
핸드벨 연주시 핸드벨의 몸체(Casting)과 크래퍼가 부드럽고 유연하게 연주하도록 되어있다.
(7)Clapper Restraining Spring(스프링)
핸드벨의 클래퍼가 상하로 움직일때 지지해 주는 부분이다. 많은 연주와 힘을 가하게 되면 스프링이 찌져져 교환을 해야 연주에 문제가 없다. 교한을 하지 않으면 벨의 크래퍼가 덜거덕 거려서 연주를 못하게 된다. Screwdriver를 사용하여 교환을 한다. 8.Casting(벨몸체) 핸드벨의 몸체로 브론즈로 아주 정교하게 고안이 되었다.
(9)Clapper(벨의 추)
핸드벨의 추로 이것이 벨의 몸체를 때려 울리게 한다. 부드러운 소리(s).중간소리(M)딱딱한 소리(H)로 구분이 되어 곡에 따라 선택을 하여 사용을 한다.
(10)Guarantee(보장성)
Malmark회사의 영구적인 보장성으로 최대한의 써비스로 채임을 진다.
8)핸드벨 테크닉의 악보상 표현
(1)Ring 또는 R
1.다른 방식의 연주나 기술(예를 들면 pluck)을 연주 해온 후,일반적인 방법으로 연주하고자 할 때 R을 쓴다.
2. 악보의 첫머리에 R이라 표시하지 않더라도 정상적인 방법으로 연주하여야 한다.
(2)LV(Let Vibrate)
1. LV는 음표의 길이와 쉼표에 관계없이 damp표시가 나타날 때 까지 공명시킨다.
2. LV기호가 계속 나타나면 새로운 LV기호앞에서 이전까지 유지하던 LV는 정확하게 damp시켜야 한다.
3.LV의 효과는 다음의 기호에 의해 종료된다.
a) R기호
b) damp기호
c) 다른 기술을 나타내는 기호
(3)Selective Damp
1. selective damp의 연주는 cue-size의 표시된 음표만을 damp하여야 한다.
2. damp표시 는 single full-size note(or chord)의 줄기에 그 음표와 chord의 selective damp를 표시한다.
(4)Swing 또는 SW(Bell을 공명시킨후의 full-arm swing의 연주)
1. 만약,화살표가 swing을 나타낸다면 그것은 swing이 일어날 박자에 맞춰 위 아래로 운동시켜야 한다.
2. swing이 있어야 하는 박자에 숫자로 표시한다.
Staccato Dot에 의한 정지음 표시(모든 음표중에서 표시된 음표에만 적용된다.)
(5)Pluck 또는 PL
1. plucking의 기술을 나타낸다.
2. handbell을 스폰지 위에 놓고 추를 손으로 움직여서 소리를 낸다.
(6)Top Pluck 또는 TPL
1. bell을 스폰지 위에 놓고 엄지 손가락으로 추를 아래쪽으로 툭툭치면서 소리 를 낸다.
(7)Thumb Damp 또는 TD
1. 엄지손가락을 bell의 바깥부분에 댄 상태로 추가 bell에 부딪칠 때 정지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2. 가장 작은 bell을 제외한 다른 bell들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손가락을 덧붙임 으로써 완전히 정지딘 음을 얻을 수 있다.
(8)Hand Damp 또는 HD
1. 큰 bell의 HD시 하나 또는 두 개의 손가락으로는 불충분한 staccato음을 발생시키지 못한는 경우,손을bell의 바깥 부분에 댄 채로(손으로 bell의 바 깥 부분을 잡고)bell을 공명시켜서 staccato음을 얻을 수 있다.
2. 이 기술은 staccato표시가 R기호 바로 다음이나 vice-versa다음에 빠르게 나타날 때 유용히 쓸 수 있다.
Martellato / Mallet technique
(9)Martellato 또는 ▼
1. bell의 handle을 잡고 bell의 몸체가 스폰지에 닿도록 수평으로 친다.
(10)Martellato lift 또는 ▼↑
1. martellato이후 bell을 들어 그 음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1)Hand Martellato
1. 손을 handle대신 bell의 바깥 부분을 잡고 bell을 스폰지위에 치는 것이다.
경고 1. martellato의 잘못된 사용은 handbell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2. G3이하의 bell들은 pluck,pluck lift 또는 mallet lift와 같은 다른 정지음 효과를 낼 수 있는 기술을 추천하는 바이다.
(12)Mallet Techniques
mallet은 무게와 크기르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mallet은 bell의 추를 soft로 해 놓고 연주할 때와 거의 같은 음색을 낼 수 있다. bell의 바깥부분을 치기 때문 에 mallet의 무게와 크기 그리고 강도를 고려하여 사용해야 한다.
(13)Mallet 또는 +
1. bell을 스폰지위에
(3)연주 자세
바른 자세로 편한 위치로 선다
무리한 힘을 주어서 챠임을 울리게 하지않는다. 부드러운 소리가 챠임 악기의 특성이다.
핸드벨에서 사용하는 테크닉을 피한다.(Martellato.심한shake등)
연주곡은 부드럽고 아름다운 곡을 선정하여 연주 하도록 한다.
7)핸드벨의 구조
(1)Color Handle(색깔 손잡이)
피아노의 건반 처럼 반음(샤프.플랫)은 검은색갈의 손잡이로 되어있고 온음은 하얀색이 손잡이로 되어있어 연주할때 연주자가 쉽게 구별하여 발리 핸드벨을 바꿀수 있는 장점이 있다.
(2)Strike Mark(핸드벨 로고)
핸드벨을 잡을때 로고가 손의 안쪽으로오게 해서 잡이야 핸드벨을 칠때 제대로 소리가 난다. 만약 바같방향으로 로고를 가게 하면 소리가 잘 나질 않는다. 항상 연주자는 주의해서 핸드벨이 핸들을 잡는다.
(3)Handguard(핸드가드)
음을 표시해 놓고 손을 잡을때 끝까지 잡도록 해야 연주하기가 수월하다. 핸드가드 바짝 잡아야 핸들에 무리가 가질 않는다.
(4)Inscriptions(핸들안에 표시)
핸드벨의 손잡이 안쪽에 표시를 함으로써 핸드벨 악기의 소재가 분명하게 된다.팀 이름이라던가 학교 이름을 써넣어서 제작을 할수가 있다.주문시에 필요하다
(5)Handle(Malmark 손잡이)
핸드벨의 손잡이가 표면이 일어난다던가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없도록 고안이 되었다.
(6)Adjustable Axles(고정나사)
핸드벨 연주시 핸드벨의 몸체(Casting)과 크래퍼가 부드럽고 유연하게 연주하도록 되어있다.
(7)Clapper Restraining Spring(스프링)
핸드벨의 클래퍼가 상하로 움직일때 지지해 주는 부분이다. 많은 연주와 힘을 가하게 되면 스프링이 찌져져 교환을 해야 연주에 문제가 없다. 교한을 하지 않으면 벨의 크래퍼가 덜거덕 거려서 연주를 못하게 된다. Screwdriver를 사용하여 교환을 한다. 8.Casting(벨몸체) 핸드벨의 몸체로 브론즈로 아주 정교하게 고안이 되었다.
(9)Clapper(벨의 추)
핸드벨의 추로 이것이 벨의 몸체를 때려 울리게 한다. 부드러운 소리(s).중간소리(M)딱딱한 소리(H)로 구분이 되어 곡에 따라 선택을 하여 사용을 한다.
(10)Guarantee(보장성)
Malmark회사의 영구적인 보장성으로 최대한의 써비스로 채임을 진다.
8)핸드벨 테크닉의 악보상 표현
(1)Ring 또는 R
1.다른 방식의 연주나 기술(예를 들면 pluck)을 연주 해온 후,일반적인 방법으로 연주하고자 할 때 R을 쓴다.
2. 악보의 첫머리에 R이라 표시하지 않더라도 정상적인 방법으로 연주하여야 한다.
(2)LV(Let Vibrate)
1. LV는 음표의 길이와 쉼표에 관계없이 damp표시가 나타날 때 까지 공명시킨다.
2. LV기호가 계속 나타나면 새로운 LV기호앞에서 이전까지 유지하던 LV는 정확하게 damp시켜야 한다.
3.LV의 효과는 다음의 기호에 의해 종료된다.
a) R기호
b) damp기호
c) 다른 기술을 나타내는 기호
(3)Selective Damp
1. selective damp의 연주는 cue-size의 표시된 음표만을 damp하여야 한다.
2. damp표시 는 single full-size note(or chord)의 줄기에 그 음표와 chord의 selective damp를 표시한다.
(4)Swing 또는 SW(Bell을 공명시킨후의 full-arm swing의 연주)
1. 만약,화살표가 swing을 나타낸다면 그것은 swing이 일어날 박자에 맞춰 위 아래로 운동시켜야 한다.
2. swing이 있어야 하는 박자에 숫자로 표시한다.
Staccato Dot에 의한 정지음 표시(모든 음표중에서 표시된 음표에만 적용된다.)
(5)Pluck 또는 PL
1. plucking의 기술을 나타낸다.
2. handbell을 스폰지 위에 놓고 추를 손으로 움직여서 소리를 낸다.
(6)Top Pluck 또는 TPL
1. bell을 스폰지 위에 놓고 엄지 손가락으로 추를 아래쪽으로 툭툭치면서 소리 를 낸다.
(7)Thumb Damp 또는 TD
1. 엄지손가락을 bell의 바깥부분에 댄 상태로 추가 bell에 부딪칠 때 정지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2. 가장 작은 bell을 제외한 다른 bell들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손가락을 덧붙임 으로써 완전히 정지딘 음을 얻을 수 있다.
(8)Hand Damp 또는 HD
1. 큰 bell의 HD시 하나 또는 두 개의 손가락으로는 불충분한 staccato음을 발생시키지 못한는 경우,손을bell의 바깥 부분에 댄 채로(손으로 bell의 바 깥 부분을 잡고)bell을 공명시켜서 staccato음을 얻을 수 있다.
2. 이 기술은 staccato표시가 R기호 바로 다음이나 vice-versa다음에 빠르게 나타날 때 유용히 쓸 수 있다.
Martellato / Mallet technique
(9)Martellato 또는 ▼
1. bell의 handle을 잡고 bell의 몸체가 스폰지에 닿도록 수평으로 친다.
(10)Martellato lift 또는 ▼↑
1. martellato이후 bell을 들어 그 음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1)Hand Martellato
1. 손을 handle대신 bell의 바깥 부분을 잡고 bell을 스폰지위에 치는 것이다.
경고 1. martellato의 잘못된 사용은 handbell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2. G3이하의 bell들은 pluck,pluck lift 또는 mallet lift와 같은 다른 정지음 효과를 낼 수 있는 기술을 추천하는 바이다.
(12)Mallet Techniques
mallet은 무게와 크기르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mallet은 bell의 추를 soft로 해 놓고 연주할 때와 거의 같은 음색을 낼 수 있다. bell의 바깥부분을 치기 때문 에 mallet의 무게와 크기 그리고 강도를 고려하여 사용해야 한다.
(13)Mallet 또는 +
1. bell을 스폰지위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