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배경설화와 작품의 성격
3. 배경사상으로서의 미타신앙
4. 작품 읽기
5. 결론
【처용가】
1. 서론
2. 국동순행(國東巡幸)과 산해정령(山海精靈)
3. 동해용소변(東海龍所變)과 보좌왕정(輔佐王政)
4. 처용가
2. 배경설화와 작품의 성격
3. 배경사상으로서의 미타신앙
4. 작품 읽기
5. 결론
【처용가】
1. 서론
2. 국동순행(國東巡幸)과 산해정령(山海精靈)
3. 동해용소변(東海龍所變)과 보좌왕정(輔佐王政)
4. 처용가
본문내용
제망매가의 문학사적 고찰 / 처용가의 민속학적 고찰
【제망매가】
1. 서론
「제망매가」는 경덕왕대에 월명사가 일찍이 죽은 누이를 위하여 재(齋)를 올리며 지어 부른 노래이다. 일명 「망매영재가」, 「위망매영재가」, 「누비굿노래」, 「누이제가」 라고도 한다. 정재된 형식과 높은 서정성에 의해 신라가요 중에서도 뛰어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어학적 해독에 있어서도 연구자들 사이에 크게 이견이 보여오지 않은 작품이다.
여기서는 작품의 배경설화와 사상, 구체적인 작품 의미 분석, 그리고 그에 따른 작품의 문학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2. 배경설화와 작품의 성격
『삼국유사』 ‘월명사 도솔가’조에 실려있는 이 글은 전체 541자의 짧은 분량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산문과 시, 한문과 향찰이 섞여 있으며, 시에도 향가 두 편과 한시 두편이 함께 실려있다. 한시 두 편중 한 편은 향가인 「도솔가」의 뜻을 풀이한 것이고, 다른 한 편은 『삼국유사』의 저자인 일연의 <찬>이다. 그 중 제망매가에 관한 부분을 떼어보면 다음과 같다.
월명은 또 일찍이 죽은 누이를 위해서 재를 올리는데 향가를 지어 제사지내었더니, 갑자기 광풍이 일어나 지전(紙錢)을 불어 서쪽으로 들어 날려 없어졌다. 노래는 이러하다......
나머지 부분은 생략했으나 「제망매가」를 둘어싸고 있는 설화의 세계는 초자연적인 능력을 소유한 월명의 신비한 인품을 밝히는 데에 집중되어 있다. 그래서 이 서사물과 월명사의 신분을 중심으로 「제망매가」의 성격을 해석하려는 일부 학자의 경우, 「제망매가」를 주가적 성격을 지닌 사뇌가로 여기기도 했다. 또 혹자는 망매영재라는 작가의 의도와 후2구에서 발견되는 불교 미타사상을 중요시여겨 미타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지어진 불교 의식가라고도 하였다.
그러나 「제망매가」의 높은 서정성에 이의를 단 예는 기존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없으며 이를 통해 서정가요로서 작품을 읽는데 모든 연구자들의 의견이 통일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높은 서정성과 작품 자체의 내용과 어조를 살펴볼 때, 불교적 미타정토왕생사상을 바탕으로 누이의 죽음을 종교적 승화로 이끌어나간 서정적 노래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3. 배경사상으로서의 미타신앙
「제망매가」에서 그 바탕을 이루고 있는 사상은 미타정토왕생사상이다.
신라시대의 미타정토, 미타신앙에 대해서는 『삼국유사』설화의 면밀한 해석을 통해 엿볼 수 있는데, 미륵에 관계되는 신앙 형태가 주로 국가적 관심사나 집단과 관계되는 사회적자연적 현상에 결부되어 나타난다면, 아미타 신앙에 관계되는 설화의 내용은 주로 개인적인 신앙의 문제와 관련된다. 이를테면 개인의 실존적 상황이 야기하는 죽음이나 고통, 깨달음과 그것에 도달하는 정신의 드라마를 미타신앙이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양자는 상당 수준 구별되고 있다. 간단히 「제망매가」의 배경설화만 살펴보더라도, 미륵 신앙은 국가적 의례, 계절제와 같은 공동체 의례, 국선(國仙)과 같은 지배 이념과 연관되는 집단적 성격으로 특징지어지는 「도솔가」에 드러난 반면 미타신앙은 개인의 실존적 한계상황인 죽음과 왕생에 관계되는 「제망매가」에 밑바탕이 되는 사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당시 신라인의 종교관을 살피자면, ‘南白月二聖’에서 보이는 것처럼 미륵미타관음 신앙이 신라인의 종교적 사유방식에 자유로운 형태로 나타나 미륵신앙과 미타신앙의 구분이 반드시 이분법으로 나누어지지는 않는 것 같다. 또한 신통력이나 초자연적인 위력을 발휘하는 무속적인 요소까지 결합하는 양상을 보여줌으로서 신라의 신앙형태는 불교의 내부 종파 속에서 뿐만 아니라 무속종교까지도 서로 왕래하고 습합하면서 불교와 무속의 발전을 각각 자유롭게 이루어 온 것으로 보인다. 월명사가 미륵 사상이 깔린 「도솔가」와 미타신앙에 바탕을 둔 「제망매가」, 서로 다른 사상을 바탕으로 한 두 향가를 지을 수 있었던 것도 신라인의 이러한 종교적 개방성을 통해 이해할 수 있겠다.
4. 작품 읽기
「제망매가」는 크게 제1행~4행, 제5행~8행, ‘아아’ 감탄사 이후의 2행, 이렇게 세 개의 의미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락은 그 어조가 청자지향화제지향화자지향으로 되어있다. 노래에 있어서 ①화자지향은 그 어조가 감정표시적 기능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감탄정조의 양상을 띠고 있으며, ②청자지향은 그 어조가 능동적 기능을 갖는 명령요청권고애원질문 등의 양상을 띠되 시적 화자가 시적 청자에 대해 종속적일 때는 애원조로, 그렇지 않을 때는 권고조로 나타난다. ③화제지향은 그 어조가 지시적 기능과
상관적이어서 정보전달에 적합한 소개사고 등의 사실적명시적 경향을 띤다.
청자지향, 화제지향, 화자지향의 복합적 어조로 짜여있는 「제망매가」는 그 사상의 전개 방식으로 볼 때 삶과 죽음에 대한 시적 화자의 인식이 구체적 보편적 어조로 확산되었다가 다시 화자 지향의 결말로 집중 귀결되는 응집적 구조로 형상화되어 있다. 누이의 죽음을 통해 생사의 본질을 인식하고 그것을 조정 극복하는 수도자의 내면적 세계상을 투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生死길은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나는 간다는 말도
【제망매가】
1. 서론
「제망매가」는 경덕왕대에 월명사가 일찍이 죽은 누이를 위하여 재(齋)를 올리며 지어 부른 노래이다. 일명 「망매영재가」, 「위망매영재가」, 「누비굿노래」, 「누이제가」 라고도 한다. 정재된 형식과 높은 서정성에 의해 신라가요 중에서도 뛰어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어학적 해독에 있어서도 연구자들 사이에 크게 이견이 보여오지 않은 작품이다.
여기서는 작품의 배경설화와 사상, 구체적인 작품 의미 분석, 그리고 그에 따른 작품의 문학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2. 배경설화와 작품의 성격
『삼국유사』 ‘월명사 도솔가’조에 실려있는 이 글은 전체 541자의 짧은 분량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산문과 시, 한문과 향찰이 섞여 있으며, 시에도 향가 두 편과 한시 두편이 함께 실려있다. 한시 두 편중 한 편은 향가인 「도솔가」의 뜻을 풀이한 것이고, 다른 한 편은 『삼국유사』의 저자인 일연의 <찬>이다. 그 중 제망매가에 관한 부분을 떼어보면 다음과 같다.
월명은 또 일찍이 죽은 누이를 위해서 재를 올리는데 향가를 지어 제사지내었더니, 갑자기 광풍이 일어나 지전(紙錢)을 불어 서쪽으로 들어 날려 없어졌다. 노래는 이러하다......
나머지 부분은 생략했으나 「제망매가」를 둘어싸고 있는 설화의 세계는 초자연적인 능력을 소유한 월명의 신비한 인품을 밝히는 데에 집중되어 있다. 그래서 이 서사물과 월명사의 신분을 중심으로 「제망매가」의 성격을 해석하려는 일부 학자의 경우, 「제망매가」를 주가적 성격을 지닌 사뇌가로 여기기도 했다. 또 혹자는 망매영재라는 작가의 의도와 후2구에서 발견되는 불교 미타사상을 중요시여겨 미타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지어진 불교 의식가라고도 하였다.
그러나 「제망매가」의 높은 서정성에 이의를 단 예는 기존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없으며 이를 통해 서정가요로서 작품을 읽는데 모든 연구자들의 의견이 통일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높은 서정성과 작품 자체의 내용과 어조를 살펴볼 때, 불교적 미타정토왕생사상을 바탕으로 누이의 죽음을 종교적 승화로 이끌어나간 서정적 노래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3. 배경사상으로서의 미타신앙
「제망매가」에서 그 바탕을 이루고 있는 사상은 미타정토왕생사상이다.
신라시대의 미타정토, 미타신앙에 대해서는 『삼국유사』설화의 면밀한 해석을 통해 엿볼 수 있는데, 미륵에 관계되는 신앙 형태가 주로 국가적 관심사나 집단과 관계되는 사회적자연적 현상에 결부되어 나타난다면, 아미타 신앙에 관계되는 설화의 내용은 주로 개인적인 신앙의 문제와 관련된다. 이를테면 개인의 실존적 상황이 야기하는 죽음이나 고통, 깨달음과 그것에 도달하는 정신의 드라마를 미타신앙이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양자는 상당 수준 구별되고 있다. 간단히 「제망매가」의 배경설화만 살펴보더라도, 미륵 신앙은 국가적 의례, 계절제와 같은 공동체 의례, 국선(國仙)과 같은 지배 이념과 연관되는 집단적 성격으로 특징지어지는 「도솔가」에 드러난 반면 미타신앙은 개인의 실존적 한계상황인 죽음과 왕생에 관계되는 「제망매가」에 밑바탕이 되는 사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당시 신라인의 종교관을 살피자면, ‘南白月二聖’에서 보이는 것처럼 미륵미타관음 신앙이 신라인의 종교적 사유방식에 자유로운 형태로 나타나 미륵신앙과 미타신앙의 구분이 반드시 이분법으로 나누어지지는 않는 것 같다. 또한 신통력이나 초자연적인 위력을 발휘하는 무속적인 요소까지 결합하는 양상을 보여줌으로서 신라의 신앙형태는 불교의 내부 종파 속에서 뿐만 아니라 무속종교까지도 서로 왕래하고 습합하면서 불교와 무속의 발전을 각각 자유롭게 이루어 온 것으로 보인다. 월명사가 미륵 사상이 깔린 「도솔가」와 미타신앙에 바탕을 둔 「제망매가」, 서로 다른 사상을 바탕으로 한 두 향가를 지을 수 있었던 것도 신라인의 이러한 종교적 개방성을 통해 이해할 수 있겠다.
4. 작품 읽기
「제망매가」는 크게 제1행~4행, 제5행~8행, ‘아아’ 감탄사 이후의 2행, 이렇게 세 개의 의미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락은 그 어조가 청자지향화제지향화자지향으로 되어있다. 노래에 있어서 ①화자지향은 그 어조가 감정표시적 기능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감탄정조의 양상을 띠고 있으며, ②청자지향은 그 어조가 능동적 기능을 갖는 명령요청권고애원질문 등의 양상을 띠되 시적 화자가 시적 청자에 대해 종속적일 때는 애원조로, 그렇지 않을 때는 권고조로 나타난다. ③화제지향은 그 어조가 지시적 기능과
상관적이어서 정보전달에 적합한 소개사고 등의 사실적명시적 경향을 띤다.
청자지향, 화제지향, 화자지향의 복합적 어조로 짜여있는 「제망매가」는 그 사상의 전개 방식으로 볼 때 삶과 죽음에 대한 시적 화자의 인식이 구체적 보편적 어조로 확산되었다가 다시 화자 지향의 결말로 집중 귀결되는 응집적 구조로 형상화되어 있다. 누이의 죽음을 통해 생사의 본질을 인식하고 그것을 조정 극복하는 수도자의 내면적 세계상을 투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生死길은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나는 간다는 말도
추천자료
[중간과제] 방통대 과제 가족교육론 가족변화 - 사회와 시대의 변화가 ‘가족’의 개념과 특징...
방통대 과제 교육의 이해, 교육개념. 목적. 내용
방통대 과제 사회조사방법론(청소년가출문제) 연구제안서 : 가출청소년의 삶의 방식과 문화에...
방통대 과제 - 유아발달(발달이론 피아제 비고츠키) 발달의 이론적 배경을 3가지 이상을 설명...
방통대 과제 행정학개론(행정의 책임성) 정부와 행정의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방통대 과제물) 인간과 과학 공통 과제물 - 안녕! 아인슈타인
방통대 과제:) 외식산업의 이해_체인점포 VS 독립점포 비교 분석
방통대 재무행정론과제. 우리나라 지방재정의 특징과 개선방안에 대해서 설명하라.
방통대 중간과제 : 글쓰기, 현재로부터 20년 후인 2037년의 ‘내’가 ‘현재의 나’에게 보내는 ...
방통대 중간과제 세상읽기와 논술 E형 1번, 미국 트럼프 정권의 등장
방통대 중간과제 교육고전의 이해공자 ‘논어’
방통대 중간과제, 숲과 삶 B형, 그린벨트, 개발제한구역제도
방통대 중간과제 언어의 이해 B형 내적 언어학의 분야를 제시하고, 각 분야에서 무엇을 어떻...
방통대 중간과제 인간과 과학 2. 가습기 살균제 피해 2. 가습기 살균제 피해를 시민들이 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