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목차
1. 인쇄매체 - 신문
2. 인쇄매체 - 잡지
3. 전파매체 - TV
4. 전파매체 - 라디오
5. 뉴미디어매체 - 케이블TV
6. 뉴미디어매체 - 위성방송
7. 뉴미디어매체 - 인터넷
8. 뉴미디어매체 - DMB
9. 뉴미디어매체 - IPTV
10. DM매체
11. POP매체
12. 옥외 및 야외매체
13. 교통매체 - 버스
14. 교통매체 - 택시
15. 교통매체 - 전철
2. 인쇄매체 - 잡지
3. 전파매체 - TV
4. 전파매체 - 라디오
5. 뉴미디어매체 - 케이블TV
6. 뉴미디어매체 - 위성방송
7. 뉴미디어매체 - 인터넷
8. 뉴미디어매체 - DMB
9. 뉴미디어매체 - IPTV
10. DM매체
11. POP매체
12. 옥외 및 야외매체
13. 교통매체 - 버스
14. 교통매체 - 택시
15. 교통매체 - 전철
본문내용
지계도 암흑기에 해당된다. 민족주의나 사회주의를 지향하던 잡지는 모습을 감추고 기존에 발행되던 잡지가 친일논조로 바뀌거나 새롭게 창간된 잡지도 친일을 앞세운 내용으로 꾸며졌다. 특히 1941년 〈문장〉·〈인문평론〉이 강제로 폐간되고 친일적 일문잡지 〈국민문학〉이 창간된 점은 잡지가 친일의 도구로 사용되었음을 입증해 준다. 그래서 내용도 정치·시사보다 문예나 오락에 치중하게 되고 잡지수도 줄어들었다. 서기 대신 일본연호를 사용했고 책머리에 일본황실에 대한 기사나 \'황국신민서사\'를 실었는가 하면, 용어도 일본을 \'내지\' 또는 \'아군\', 일본군을 \'황군\', 일본어를 \'국어\', 태평양전쟁을 \'성전\'이라 표기하여 민족의 수치를 그대로 드러냈다.
3. 해방 후
1)해방 초기(1945. 8~1950. 6)
8·15해방이 됨으로써 좌우익 잡지가 공존하는 등 언론의 자유가 어느 정도 보장되기는 했으나 전쟁으로 황폐화된 상태에서 인쇄시설이 빈약하고 용지난까지 겹치자 많은 잡지가 창간될 수 없었고 발행되던 잡지도 면수는 물론 발행부수가 많지 않았다. 이 시기에 나온 〈개벽〉(속간)·〈백민〉·〈대조〉·〈신천지〉는 대표적인 종합잡지이며, 〈소학생〉·〈새동무〉·〈어린이〉(속간) 등은 어린이들의 정서에 알맞게 편집되었고 〈문예〉는 종합문예지로서 민족진영 문인들의 발표지면이 되었다.
2)6·25전쟁 이후~1970년대
사회적으로 전쟁과 부정부패로 황폐화된 시기이나 잡지계는 새로운 출발시대에 해당된다. 잡지의 종류와 활자가 다양해지고 판형이 커지고 편집 모양도 잘 꾸며졌다. 또한 발행부수뿐만 아니라 면수도 증가했는가 하면, 잡지가 계몽적·문화적 가치였던 관점에서 상품으로 인식하게 된 것도 이 시기이다. 그런 의미에서 1951년에 창간된 〈희망〉은 대중잡지 시대를 여는 선구적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국어국문학〉·〈문학예술〉·〈자유문학〉·〈창작과 비평〉·〈문학과 지성〉 등의 문학잡지와 〈사상계〉 등의 종합잡지가 창간되었는데, 특히 장준하가 펴낸 〈사상계〉는 정치·경제·사회 등 다방면의 집필자들이 대거 참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외 한글 전용에 가로쓰기로 편집한 〈뿌리깊은나무〉가 발간되었고, 〈선데이서울〉·〈주간한국〉·〈주간여성〉 등의 주간지도 상당수 발간되었다. 이들 주간지는 100만 부가 넘는 발행부수를 기록해 잡지의 대중화에 이바지한 점에서는 의의가 있으나 한편으로 내용의 저질화를 초래한 점은 무시할 수 없다.
3)1980년대 이후
1980년 7월 〈창작과 비평〉·〈문학과 지성〉·〈씨의 소리〉·〈뿌리깊은나무〉 등 170여 종의 잡지등록이 취소되었다. 당시 문공부가 발표한 등록취소 대상물은 첫째, 각종 비위, 부정, 부조리 등 사회적 부패의 요인이 되는 간행물, 둘째, 음란·저속·외설적인 내용을 게재한 간행물, 셋째, 계급의식의 격화, 사회불안을 조성한 간행물로 발행목적을 위배했거나 법정 발행실적을 유지하지 못한 간행물이다. 그래서 등록요건을 두루 갖추었다 해도 한동안 등록을 받아주지 않다가 시사언론지가 아닌 잡지만 등록할 수 있게 되어 명목상으로는 등록제이나 실제는 허가제인 상태가 되었다. 이런 상태에서 잡지의 다양화·전문화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1985년 이후 140여 종의 전문지가 창간되고 〈식생활〉·〈현대주택〉 등의 의식주에 관련된 잡지와 〈월간바둑〉·〈음악동아〉·〈객석〉 등 취미에 관련된 50여 종의 잡지가 창간된 점은 이를 입증해준다. 또한 사보나 동인지 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발행부수도 늘어나 매월 10만 부 이상 발행하는 잡지도 있었고 한글 전용화, 판형의 대형화, 용지의 고급화, 활자의 소형화뿐만 아니라 전지면을 컬러 사진으로 꾸미는 잡지가 등장해 그야말로 \'읽는 잡지\'에서 \'보는 잡지\'로 변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창간된 대표적 잡지로는 〈여성백과〉·〈가정조선〉·〈샘이깊은물〉 등이 있다.
4) 1987년 이후
1987년 11월 언론기본법이 폐지되고 정기간행물 등록 등에 관한 법규 제정, 출판사 등록 개방, 월북작가의 작품 출판 허용 등으로 잡지계는 새로운 시대를 맞게 되었다. 이전에 폐간되었던 〈창작과 비평〉·〈월간중앙〉·〈씨의 소리〉 등이 복간되고 규제로 발행되지 못했던 수많은 잡지들이 연이어 창간되어 잡지의 홍수시대를 열었다. 〈사회비평〉·〈역사와 현실〉·〈계간 사상〉 등의 사상성 있는 잡지는 물론 〈월간 오디오〉·〈광고와 인쇄〉 등의 전문지와 〈우먼센스〉 등의 여성잡지가 창간되었는데, 특히 여성잡지는 30종이 넘었다. 또한 음란·허위보도·과장보도 등으로 자진폐간한 잡지도 10여 개 되고 새로 등록하고도 1호도 발간하지 않거나 오래 되지 않아 자진폐간한 잡지도 상당수이다. 1987년 이후 출간된 대표적 잡지로는 〈옵서버〉·〈말〉·〈시사저널〉·〈행복이 가득한 집〉 등이 있다.
전파매체 - TV
Ⅰ. 역사
1. 텔레비전의 탄생 (1927-1945)
- 마르코니의 무선전신, 독일 Braun이 브라운관을 만듦, 드 포레스트의 3극진공관
- 1928년 미국의 조보르킨이 전자식 텔레비전 시스템 연구
- 1928년 RCA 가 텔레비전 수상기 3대 생산 공개
- 1928년, 1929년에는 미국, 영국에서 텔레비전 실험방송이 이루어지기 시작 (하루 3분)
1) 텔레비전의 발명
베어드[John Logie Baird, 1888 ~ 1946]
영국 텔레비전 발명가. 스코틀랜드 헬렌스버그 출생. 글래스고왕립실업전문대학에서 전기기술을 공부한 후 글래스고대학에 진학하였다. 병약했기 때문에 전기기술자 생활을 그만두고 아마추어연구자로서 영상 전송기술 연구에 몰두하였다. 1925년 기계주사방식(機械走査方式)에 의해 사람의 얼굴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전송에 성공, 다음해에는 왕립협회에서 일하다가 영상 전송실험에 성공하였다. 베어드텔레비전개발회사를 세우고, 28년에는 컬러텔레비전 실험에도 성공하였다. 29년부터 BBC 텔레비전 실험방송에도 협력, 공헌하였다.
(1) 흑백 텔레비젼의 역사
1876 년 A. G. 벨의 전화기 발명
1878년 K.F. 브라운의 브라운관 발명
1884년 독일의 P. 닙코브 , <닙코브 원판에 의한 주사법> 발견
1935년 영국의 IMI 사의 I.
3. 해방 후
1)해방 초기(1945. 8~1950. 6)
8·15해방이 됨으로써 좌우익 잡지가 공존하는 등 언론의 자유가 어느 정도 보장되기는 했으나 전쟁으로 황폐화된 상태에서 인쇄시설이 빈약하고 용지난까지 겹치자 많은 잡지가 창간될 수 없었고 발행되던 잡지도 면수는 물론 발행부수가 많지 않았다. 이 시기에 나온 〈개벽〉(속간)·〈백민〉·〈대조〉·〈신천지〉는 대표적인 종합잡지이며, 〈소학생〉·〈새동무〉·〈어린이〉(속간) 등은 어린이들의 정서에 알맞게 편집되었고 〈문예〉는 종합문예지로서 민족진영 문인들의 발표지면이 되었다.
2)6·25전쟁 이후~1970년대
사회적으로 전쟁과 부정부패로 황폐화된 시기이나 잡지계는 새로운 출발시대에 해당된다. 잡지의 종류와 활자가 다양해지고 판형이 커지고 편집 모양도 잘 꾸며졌다. 또한 발행부수뿐만 아니라 면수도 증가했는가 하면, 잡지가 계몽적·문화적 가치였던 관점에서 상품으로 인식하게 된 것도 이 시기이다. 그런 의미에서 1951년에 창간된 〈희망〉은 대중잡지 시대를 여는 선구적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국어국문학〉·〈문학예술〉·〈자유문학〉·〈창작과 비평〉·〈문학과 지성〉 등의 문학잡지와 〈사상계〉 등의 종합잡지가 창간되었는데, 특히 장준하가 펴낸 〈사상계〉는 정치·경제·사회 등 다방면의 집필자들이 대거 참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외 한글 전용에 가로쓰기로 편집한 〈뿌리깊은나무〉가 발간되었고, 〈선데이서울〉·〈주간한국〉·〈주간여성〉 등의 주간지도 상당수 발간되었다. 이들 주간지는 100만 부가 넘는 발행부수를 기록해 잡지의 대중화에 이바지한 점에서는 의의가 있으나 한편으로 내용의 저질화를 초래한 점은 무시할 수 없다.
3)1980년대 이후
1980년 7월 〈창작과 비평〉·〈문학과 지성〉·〈씨의 소리〉·〈뿌리깊은나무〉 등 170여 종의 잡지등록이 취소되었다. 당시 문공부가 발표한 등록취소 대상물은 첫째, 각종 비위, 부정, 부조리 등 사회적 부패의 요인이 되는 간행물, 둘째, 음란·저속·외설적인 내용을 게재한 간행물, 셋째, 계급의식의 격화, 사회불안을 조성한 간행물로 발행목적을 위배했거나 법정 발행실적을 유지하지 못한 간행물이다. 그래서 등록요건을 두루 갖추었다 해도 한동안 등록을 받아주지 않다가 시사언론지가 아닌 잡지만 등록할 수 있게 되어 명목상으로는 등록제이나 실제는 허가제인 상태가 되었다. 이런 상태에서 잡지의 다양화·전문화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1985년 이후 140여 종의 전문지가 창간되고 〈식생활〉·〈현대주택〉 등의 의식주에 관련된 잡지와 〈월간바둑〉·〈음악동아〉·〈객석〉 등 취미에 관련된 50여 종의 잡지가 창간된 점은 이를 입증해준다. 또한 사보나 동인지 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발행부수도 늘어나 매월 10만 부 이상 발행하는 잡지도 있었고 한글 전용화, 판형의 대형화, 용지의 고급화, 활자의 소형화뿐만 아니라 전지면을 컬러 사진으로 꾸미는 잡지가 등장해 그야말로 \'읽는 잡지\'에서 \'보는 잡지\'로 변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창간된 대표적 잡지로는 〈여성백과〉·〈가정조선〉·〈샘이깊은물〉 등이 있다.
4) 1987년 이후
1987년 11월 언론기본법이 폐지되고 정기간행물 등록 등에 관한 법규 제정, 출판사 등록 개방, 월북작가의 작품 출판 허용 등으로 잡지계는 새로운 시대를 맞게 되었다. 이전에 폐간되었던 〈창작과 비평〉·〈월간중앙〉·〈씨의 소리〉 등이 복간되고 규제로 발행되지 못했던 수많은 잡지들이 연이어 창간되어 잡지의 홍수시대를 열었다. 〈사회비평〉·〈역사와 현실〉·〈계간 사상〉 등의 사상성 있는 잡지는 물론 〈월간 오디오〉·〈광고와 인쇄〉 등의 전문지와 〈우먼센스〉 등의 여성잡지가 창간되었는데, 특히 여성잡지는 30종이 넘었다. 또한 음란·허위보도·과장보도 등으로 자진폐간한 잡지도 10여 개 되고 새로 등록하고도 1호도 발간하지 않거나 오래 되지 않아 자진폐간한 잡지도 상당수이다. 1987년 이후 출간된 대표적 잡지로는 〈옵서버〉·〈말〉·〈시사저널〉·〈행복이 가득한 집〉 등이 있다.
전파매체 - TV
Ⅰ. 역사
1. 텔레비전의 탄생 (1927-1945)
- 마르코니의 무선전신, 독일 Braun이 브라운관을 만듦, 드 포레스트의 3극진공관
- 1928년 미국의 조보르킨이 전자식 텔레비전 시스템 연구
- 1928년 RCA 가 텔레비전 수상기 3대 생산 공개
- 1928년, 1929년에는 미국, 영국에서 텔레비전 실험방송이 이루어지기 시작 (하루 3분)
1) 텔레비전의 발명
베어드[John Logie Baird, 1888 ~ 1946]
영국 텔레비전 발명가. 스코틀랜드 헬렌스버그 출생. 글래스고왕립실업전문대학에서 전기기술을 공부한 후 글래스고대학에 진학하였다. 병약했기 때문에 전기기술자 생활을 그만두고 아마추어연구자로서 영상 전송기술 연구에 몰두하였다. 1925년 기계주사방식(機械走査方式)에 의해 사람의 얼굴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전송에 성공, 다음해에는 왕립협회에서 일하다가 영상 전송실험에 성공하였다. 베어드텔레비전개발회사를 세우고, 28년에는 컬러텔레비전 실험에도 성공하였다. 29년부터 BBC 텔레비전 실험방송에도 협력, 공헌하였다.
(1) 흑백 텔레비젼의 역사
1876 년 A. G. 벨의 전화기 발명
1878년 K.F. 브라운의 브라운관 발명
1884년 독일의 P. 닙코브 , <닙코브 원판에 의한 주사법> 발견
1935년 영국의 IMI 사의 I.
추천자료
원용진 외의 '대중매체와 페미니즘'을 읽고
유아교육에서의 효과적인 교수매체 활용방안
[기호학] 매체의 기호학
[교육공학]교수매체이론
[기호학] 매체기호학의 응용분야 (영화,만화,지도,사진)
[국어교재A+] 매체 텍스트를 통한 국어지식 영역 지도 -7학년 <4.국어 생활의 반성>을 중심으로
문학 교육과 다매체
문학 교육과 다매체
뮤직비디오로 보는 영상매체의 허와 실
원격 교육 매체의 발전 방향
유아교육개론/유아교육의 특수성과 교구매체 그리고 교육기관 방문 일지
벌레이야기에서 밀양으로의 매체변동양상(이청준의 벌레이야기와 이창동의 밀양)
『한국의 대중매체사』를 읽고 _ 강준만 저 [요약 및 독후감,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