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업개념
I. 개 요
1. 사업의 목적
2. 사업의 기대효과
3. 사업계획서의 개요
II. 외부환경 분석 및 시장전망
1. 일반 환경 분석
2. 제품시장 현황
3. 경쟁업체 현황
4. 시장전망
III. SWOT 분석
IV. 사업추진계획
1. 사업의 방향 및 전개방안
2. 초기 점포입지
3. 조직. 인원계획
4. Marketing strategy
가. STP 도출
나. Place strategy
다. Promotion strategy
Ⅴ. 자금조달 및 차입금상환계획
1. 추정 소요자금
2. 자금조달계획
3. 담보제공계획
Ⅵ. 추정재무제표 수립
1. 추정 대차대조표
2. 추정 손익계산서
3. 부속 명세서
가. 제조원가명세서
나. 판매 및 일반관리비명세서
다. 인건비명세서
라. 감가상각비명세서
I. 개 요
1. 사업의 목적
2. 사업의 기대효과
3. 사업계획서의 개요
II. 외부환경 분석 및 시장전망
1. 일반 환경 분석
2. 제품시장 현황
3. 경쟁업체 현황
4. 시장전망
III. SWOT 분석
IV. 사업추진계획
1. 사업의 방향 및 전개방안
2. 초기 점포입지
3. 조직. 인원계획
4. Marketing strategy
가. STP 도출
나. Place strategy
다. Promotion strategy
Ⅴ. 자금조달 및 차입금상환계획
1. 추정 소요자금
2. 자금조달계획
3. 담보제공계획
Ⅵ. 추정재무제표 수립
1. 추정 대차대조표
2. 추정 손익계산서
3. 부속 명세서
가. 제조원가명세서
나. 판매 및 일반관리비명세서
다. 인건비명세서
라. 감가상각비명세서
본문내용
의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다. 프라우스타는 미국 시애틀에서 항공으로 직수입한 최고급 원두커피 판매 전문기업이다. 현재 제주도점을 포함한 44개의 가맹점이 개설된 상태이다. 10평을 기준으로 한 창업비용은 인테리어비 2,500만원, 기계비 2,000만원, 가맹비 500만원, 보증금 300만원, 초도상품비 300만원으로 총 5,600만원이 소요된다. 주요 메뉴는 카페모카, 카페라테, 할리치노, 샌드위치, 머핀, 쿠키, 초콜렛 등이며, 보온컵과 머그컵, 커피여과기, 시럽 등 커피주변기기도 판매하고 있다. 1군 테이크 아웃점에 비해 낮은 브랜드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시장 점유율 상승을 보이고 있다.
(2)그 외 요식업 : 버블티, 생과일 주스, 크레이프, 빠스 등
특정 브랜드 가맹점에서 비롯된 테이크 아웃이라기 보다는 주로 개인 창업자들의 시장 형성에서 비롯됐다. 기존 에스프레소 커피의 메뉴에서 벗어나 음료 메뉴를 다양화 시켜 음료 틈새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그 외에도 가볍게 들고다니며 먹을 수 있는 크레이프, 빠스 등도 큰 인기를 끌 고 있다. 가격은 제품 단가의 200%정도이며, 주로 2000~3000원 선이다.
(3)테이크 아웃 전문 레스토랑 : 최근 요식업으로의 확산에 따라
ㅡ 중국, 프랑스, 궁중요리에 이르기까지
푸이 익스프레스는 미국 최대의 중국음식 테이크 아웃점 ‘판다’ 익스프레스를 벤치 마킹한 푸이 익스프레스 의 모토는 할리우드 영화처럼 이다. 세련된 디자인이 눈길을 끄는 포장용기는 100% 수입해서 쓰는 것으로 특수 코팅 처리돼 보관과 보온이 용이하다. 압구정점 · 이대점 · 갤러리아점이 오픈 중이다. 주메뉴는 덮밥·볶음밥·볶음면. 가격은 4,000원대. 사이드메뉴인 스프링롤과 차 종류는 900원이다. 그 외에도 고어메 비스트로(스파게티 테이크 아웃), 비손(파스타와 스테이크를 테이크 아웃 별도 메뉴 개발 판매. 가격은 1인분에 1만 5천원 선), 연예인 윤다훈이 운영하는 ‘시안’(퓨전 중국요리)을 테이크 아웃화 시킨 시안 익스프레스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테이크 아웃 시장에 기존 요리업체와 호텔까지 가세해 테이크 아웃 메뉴의 고급화를 선언하고 나섰다. 대표적으로 조선호텔 델리가 운영하는 CD1이나 패밀리 레스토랑 마르쉐에서 운영하는 카페 아모제는 에피타이저부터 디저트까지 완전 조리 제품을 손색 없이 구비하고 있다.
4. 시장전망
에스프레소 커피를 시초로 확산되기 시작한 테이크 아웃 문화는 외식업 창업 전반으로 확산됐다. 동네 치킨전문점들도 테이크 아웃 판매 방식을 적극 도입했으며, 아이스크림 버블티 샌드위치 핫도그는 물론 비빔밥 칼국수 중국음식 같은 전문 음식점들도 테이크 아웃 판매를 병행하는 게 유행이 됐다. 뿐만 아니라 일반 분식이나 만두 등 과거 매장내 판매에 의존했던 메뉴들이 대거 테이크아웃 시장을 동시에 겨냥하면서 테이크아웃 시장의 규모는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특히 스위트고구마 치킨 볼 등 신세대들을 겨냥 새롭게 등장한 길거리 간식들은 테이크 아웃 방식의 도입으로 새로운 길거리 문화를 만들어냈다. 물론 과거에는 대형 패밀리 레스토랑이나 피자전문점에서 내점 고객들에게 테이크아웃 서비스를 선보인바 있다. 하지만 최근 동향들은 메뉴의 테이크아웃화 뿐만이 아니라 매장의 형태나 구성면에서도 테이크아웃 스타일을 선보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커피전문점의 테이크아웃화는 경기의 활성화 바람에 더욱 적합한 개념이지만 일반 먹꺼리 메뉴에서의 테이크아웃화는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견된다. 바꾸어 말하면 메뉴의 가격이 기존 매장낸 판매가격보다 저렴한 컨셉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경기가 악화된다 하더라도 관련 시장의 규모가 커지는 쪽으로 기울 것 이라고 일부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테이크 아웃 열풍으로 전국에서는 때아닌 미니점포 구하기 전쟁이 벌어졌으며, 때마침 늘어난 대형 유통센터들도 테이크 아웃 매장 확산에 기여했다. 테이크 아웃전문점이 창업자들의 인기를 끈 이유는 초미니 공간에서도 창업이 가능해 투자비를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부분 유동인구가 많은 입지에 입점하므로 투자대비 수익성이 높다는 이점 때문이다. 판매업의 전유물이던 테이크아웃 개념은 이제 요식업의 운영패턴으로도 더 이상 낯설지 않다.
- 결론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21세기 새로운 식생활 문화로 자리 잡은 테이크 아웃은 앞으로의 끊임없이 이어지는 수요창출로 메뉴 다양화로 공략하는 시장 공급의 확대로 시장팽창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워낙 시장진입 장벽이 낮은 음료 테이크 아웃의 경우 지나친 공급 과잉으로 강력한 브랜드가 아니라면 일부 쇠퇴하겠지만 더욱 늘어나고 있는 수요로 인해 시장붕괴 가능성은 낮다. 이제는 음료 테이크 아웃 시장에서 끊임없는 메뉴R&D와 차별화 된 마케팅 전략, 강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필요한 시점에 도달했다고 본다。
III. SWOT 분석
1. 제품
이 사업의 주력 상품은 <전통 음료& 떡류 Take out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통 음료란 전통차와 곡물 음료를 포함한다. 한 전통음료 제조 업체의 조사에 따르면 쌀음료, 식혜, 수정과, 수박화채, 오미자차, 인삼차, 이슬차, 매실차, 녹차, 홍차, 보이차, 산딸기차, 호박차, 구기자차, 칡차, 홍화차 등이 한국인에게 인기 있는 차 메뉴라고 한다. 일단 사람들에게 먼저 가장 호응도가 높은 제품 몇 가지와 그 응용 제품 만을 집중적으로 마케팅 한 후에 제품 라인을 넓혀 갈 것이다. 사시사철 먹을 수 있는 제품, 계절에 맞춘 one shot 제품을 선별해서 구비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건강 컨셉을 어필할 수 있도록 하지만 너무 강조하지는 않는다. 건강 컨셉을 어필하는 것은 원료상 티백 제품은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순수 국내산 원료를 써서 품질과 맛으로 승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원료는 주로 농협과 제휴하는 방안을 생각했으며, 중장기적으로 해외에 진출할 시에는 웅진과 손을 잡기로 했다. 이것에는 2차년도에 얼마나 튼튼히 성장하느냐, 기업의 value가 높아지느냐가 관건이다. 메뉴는 전통차, 곡물 음료, 선식&생식, 기타 로 분류하며, 초기에 런칭할 메뉴는 다음과 같다.
전통차
케
(2)그 외 요식업 : 버블티, 생과일 주스, 크레이프, 빠스 등
특정 브랜드 가맹점에서 비롯된 테이크 아웃이라기 보다는 주로 개인 창업자들의 시장 형성에서 비롯됐다. 기존 에스프레소 커피의 메뉴에서 벗어나 음료 메뉴를 다양화 시켜 음료 틈새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그 외에도 가볍게 들고다니며 먹을 수 있는 크레이프, 빠스 등도 큰 인기를 끌 고 있다. 가격은 제품 단가의 200%정도이며, 주로 2000~3000원 선이다.
(3)테이크 아웃 전문 레스토랑 : 최근 요식업으로의 확산에 따라
ㅡ 중국, 프랑스, 궁중요리에 이르기까지
푸이 익스프레스는 미국 최대의 중국음식 테이크 아웃점 ‘판다’ 익스프레스를 벤치 마킹한 푸이 익스프레스 의 모토는 할리우드 영화처럼 이다. 세련된 디자인이 눈길을 끄는 포장용기는 100% 수입해서 쓰는 것으로 특수 코팅 처리돼 보관과 보온이 용이하다. 압구정점 · 이대점 · 갤러리아점이 오픈 중이다. 주메뉴는 덮밥·볶음밥·볶음면. 가격은 4,000원대. 사이드메뉴인 스프링롤과 차 종류는 900원이다. 그 외에도 고어메 비스트로(스파게티 테이크 아웃), 비손(파스타와 스테이크를 테이크 아웃 별도 메뉴 개발 판매. 가격은 1인분에 1만 5천원 선), 연예인 윤다훈이 운영하는 ‘시안’(퓨전 중국요리)을 테이크 아웃화 시킨 시안 익스프레스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테이크 아웃 시장에 기존 요리업체와 호텔까지 가세해 테이크 아웃 메뉴의 고급화를 선언하고 나섰다. 대표적으로 조선호텔 델리가 운영하는 CD1이나 패밀리 레스토랑 마르쉐에서 운영하는 카페 아모제는 에피타이저부터 디저트까지 완전 조리 제품을 손색 없이 구비하고 있다.
4. 시장전망
에스프레소 커피를 시초로 확산되기 시작한 테이크 아웃 문화는 외식업 창업 전반으로 확산됐다. 동네 치킨전문점들도 테이크 아웃 판매 방식을 적극 도입했으며, 아이스크림 버블티 샌드위치 핫도그는 물론 비빔밥 칼국수 중국음식 같은 전문 음식점들도 테이크 아웃 판매를 병행하는 게 유행이 됐다. 뿐만 아니라 일반 분식이나 만두 등 과거 매장내 판매에 의존했던 메뉴들이 대거 테이크아웃 시장을 동시에 겨냥하면서 테이크아웃 시장의 규모는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특히 스위트고구마 치킨 볼 등 신세대들을 겨냥 새롭게 등장한 길거리 간식들은 테이크 아웃 방식의 도입으로 새로운 길거리 문화를 만들어냈다. 물론 과거에는 대형 패밀리 레스토랑이나 피자전문점에서 내점 고객들에게 테이크아웃 서비스를 선보인바 있다. 하지만 최근 동향들은 메뉴의 테이크아웃화 뿐만이 아니라 매장의 형태나 구성면에서도 테이크아웃 스타일을 선보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커피전문점의 테이크아웃화는 경기의 활성화 바람에 더욱 적합한 개념이지만 일반 먹꺼리 메뉴에서의 테이크아웃화는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견된다. 바꾸어 말하면 메뉴의 가격이 기존 매장낸 판매가격보다 저렴한 컨셉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경기가 악화된다 하더라도 관련 시장의 규모가 커지는 쪽으로 기울 것 이라고 일부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테이크 아웃 열풍으로 전국에서는 때아닌 미니점포 구하기 전쟁이 벌어졌으며, 때마침 늘어난 대형 유통센터들도 테이크 아웃 매장 확산에 기여했다. 테이크 아웃전문점이 창업자들의 인기를 끈 이유는 초미니 공간에서도 창업이 가능해 투자비를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부분 유동인구가 많은 입지에 입점하므로 투자대비 수익성이 높다는 이점 때문이다. 판매업의 전유물이던 테이크아웃 개념은 이제 요식업의 운영패턴으로도 더 이상 낯설지 않다.
- 결론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21세기 새로운 식생활 문화로 자리 잡은 테이크 아웃은 앞으로의 끊임없이 이어지는 수요창출로 메뉴 다양화로 공략하는 시장 공급의 확대로 시장팽창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워낙 시장진입 장벽이 낮은 음료 테이크 아웃의 경우 지나친 공급 과잉으로 강력한 브랜드가 아니라면 일부 쇠퇴하겠지만 더욱 늘어나고 있는 수요로 인해 시장붕괴 가능성은 낮다. 이제는 음료 테이크 아웃 시장에서 끊임없는 메뉴R&D와 차별화 된 마케팅 전략, 강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필요한 시점에 도달했다고 본다。
III. SWOT 분석
1. 제품
이 사업의 주력 상품은 <전통 음료& 떡류 Take out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통 음료란 전통차와 곡물 음료를 포함한다. 한 전통음료 제조 업체의 조사에 따르면 쌀음료, 식혜, 수정과, 수박화채, 오미자차, 인삼차, 이슬차, 매실차, 녹차, 홍차, 보이차, 산딸기차, 호박차, 구기자차, 칡차, 홍화차 등이 한국인에게 인기 있는 차 메뉴라고 한다. 일단 사람들에게 먼저 가장 호응도가 높은 제품 몇 가지와 그 응용 제품 만을 집중적으로 마케팅 한 후에 제품 라인을 넓혀 갈 것이다. 사시사철 먹을 수 있는 제품, 계절에 맞춘 one shot 제품을 선별해서 구비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건강 컨셉을 어필할 수 있도록 하지만 너무 강조하지는 않는다. 건강 컨셉을 어필하는 것은 원료상 티백 제품은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순수 국내산 원료를 써서 품질과 맛으로 승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원료는 주로 농협과 제휴하는 방안을 생각했으며, 중장기적으로 해외에 진출할 시에는 웅진과 손을 잡기로 했다. 이것에는 2차년도에 얼마나 튼튼히 성장하느냐, 기업의 value가 높아지느냐가 관건이다. 메뉴는 전통차, 곡물 음료, 선식&생식, 기타 로 분류하며, 초기에 런칭할 메뉴는 다음과 같다.
전통차
케
추천자료
스타벅스 s.w.o.t. 분석
다국적 기업 스타벅스의 해외진출 사례 전략
'스타벅스' 성공사례
스타벅스의 마케팅전략들과 문제점 및 발전방향
스타벅스의 윤리경영 보고서
스타벅스의 기업이념과 감성마케팅, 성공요인에 관한 조사
다국적기업스타벅스
[서비스마케팅]시장점유율 향상을 위한 TOM N TOMS(탐앤탐스) 발전전략
스타벅스 사례연구조사
전통차 전문 카페 창업계획서
다국적 기업 스타벅스의 해외진출 사례 전략
Angel-in-us(엔제리너스) 마케팅 성공 사례
스타벅스(Starbucks)의 글로벌경영 성공사례 분석
스타벅스 (Starbucks) 기업분석 및 마케팅전략분석, 스타벅스 위기극복전략 및 나의의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