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태지응 통해 본 한국 대중음악의 발전 방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태지응 통해 본 한국 대중음악의 발전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 대중음악의 문제점
1.2 서태지를 선택한 이유
1.3 서태지는 누구인가?

2. 본론
2.1 서태지의 등장
2.2 서태지 등장 후 한국 대중음악의 특징
2.3 서태지의 긍정적 효과
2.4 서태지의 부정적 효과

3. 결론
3.1 한국 대중음악의 발전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태지의 등장 후 한국 대중음악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첫 번째로 대중음악의 주소비연령층이 10대로 바뀐 것이다. 그전까지의 대중음악의 소비자는 주로 성인이나 20대였다. 하지만 서태지가 등장하면서 10대들이 그 자리를 차지 했으며 10대들의 영향력과 힘은 가요시장에 큰 변수로 작용하게 되었다.
두 번째로 바뀐 것은 노래의 가사이다. 서태지 등장이전 거의 모든 대중음악의 가사는 사랑, 이별을 다룬 것이었다. 이럴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 당시 사회상황이 노래의 가사를 마음껏 표현할 수 없도록 되어있었다. 음반을 발표하기 전에 미리 가사를 검사해야했던 사전심의제도라는 것이 존재했고 음악가들은 그들의 표현을 제재당해야만 했다. 하지만 90년대에 들어서면서 표현의 자유를 위한 움직임들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를 주도하고 일으킨 장본인이 서태지이다. 서태지의 음악을 들어보면 여러 가지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 예로 통일 문제를 다룬 ‘발해를 꿈꾸며’, 한국 입시제도를 비판한 ‘교실 이데아’, 마약의 다룬‘죽음의 늪’, 청소년 가출문제를 다룬 ‘COME BACK HOME\'등이 있다. 그리고 서태지는 사전심의제도 새로운음악을 발표하기전에 심사를 거치는 제도
를 폐지시킨 장본인으로서 한국 대중음악에 큰 이바지를 했다.
세 번째로 대중음악의 상품화이다. 먼저 서태지 등장 이전과 등장 이후의 가수들을 살펴보면 상당히 다른면을 찾을 수가 있다. 그 예로 조용필이나 신승훈 같은 가수들이나 H.O.T나 동방신기 같은 가수들의 데뷔 과정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조용필이나 신승훈 같은 경우에는 데뷔전 힘든 무명시절을 거치고 실력과 인맥을 쌓아가면서 가수로서 성장해 나갔다. 하지만 요즘에는 그런 가수는 좀처럼 찾아보기가 힘들다. 대중음악 시장의 주소비자가 10대로 바뀌면서 기획사에서 10대의 기호에 맞게 가수의 외모, 음악, 춤 등을 만들어 삼품으로 만들어 낸다. 그 대표적인 예가 H.O.T나 동방신기이며 이렇듯 대중음악은 빠른 속도로 상품화 되었다.
동방신기
2.3 서태지의 긍정적 효과
서태지가 미친 긍정적인 효과에는 먼저 실험성과 도전정신이다. 서태지는 매번 앨범을 발표할 때마다 주류의 음악을 선택하기 보다는 비주류 음악을 선택했다. 그가 얻은 인기를 생각한다면 다음 앨범을 만들 때 그런 선택을 하기란 쉽지 선택은 아니었을 것이다. 하지만 서태지는 특유의 실험성과 도전정신으로 새로운 음악을 시도하였고 그로 인해 만들어진 주류 음악을 하는 다른 가수들에게 정상의 자리를 양보하지 않았다. 대중들은 서태지를 통해 더욱 많은 장르의 음악을 접해 볼 수가 있었으며 대중음악의 주류도 서태지를 따라가는 추세였기 때문에 90년대의 대중음악에서는 여러 장르의 음악을 접해 볼 수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공연 문화의 형성이다. 2000년 서태지가 다시 돌아왔을 때 방송활동은 거의 하지 않았다. 서태지는 전국을 돌면서 공연을 하기 시작했고 이는 크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한국 공연문화에 기여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여전히 한국 대중음악의 비주류 장르인 락을 선택했으며 그의 컴퍼니에서는 인디밴드들을 발굴하여 공연문화의 발전에 노력을 가하고 있다.
공연중인 서태지
그 다음 안티 문화의 형성이다. 2000년 서태지가 컴백할 때 한국 대중음악은 아이돌 가수들로 가득했고 그 아이돌 가수들의 팬인 10대들은 자신들이 듣지도 보지도 못했던 서태지라는 가수가 사회적으로 화제가 되고 집중이 되자 그에게 무차별적인 공격과 비판을 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생겨난 것이 안티 문화인데 이것은 다른 시각에서 본다면 부정적으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안티 문화가 정말 제대로 정착이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1.23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43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