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음운과 음운체계
1.음성과 발음기관 (1)음성
(2)발음기관
2.국어의 음운 체계 (1)음운
(2)모음
(3)자음
(4)소리의 길이
3.음절
2. 음운의 변동
1.음절의 끝소리 규칙
2.음운의 동화 ⑴자음동화
⑵구개음화
⑶모음동화
⑷모음조화
3.음운의 축약과 탈락 ⑴축약
⑵탈락
4.사잇소리현상
--------------------------
1. 표준어와 표준발음
1.표준어와 방언
2.표준발음
2. 한글 맞춤법
3.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 외래어 표기법
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음성과 발음기관 (1)음성
(2)발음기관
2.국어의 음운 체계 (1)음운
(2)모음
(3)자음
(4)소리의 길이
3.음절
2. 음운의 변동
1.음절의 끝소리 규칙
2.음운의 동화 ⑴자음동화
⑵구개음화
⑶모음동화
⑷모음조화
3.음운의 축약과 탈락 ⑴축약
⑵탈락
4.사잇소리현상
--------------------------
1. 표준어와 표준발음
1.표준어와 방언
2.표준발음
2. 한글 맞춤법
3.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 외래어 표기법
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본문내용
음 운 론 2
단 원
2.말소리/8.국어의 규범
1. 음운과 음운체계
1.음성과 발음기관 (1)음성
(2)발음기관
2.국어의 음운 체계 (1)음운
(2)모음
(3)자음
(4)소리의 길이
3.음절
2. 음운의 변동
1.음절의 끝소리 규칙
2.음운의 동화 ⑴자음동화
⑵구개음화
⑶모음동화
⑷모음조화
3.음운의 축약과 탈락 ⑴축약
⑵탈락
4.사잇소리현상
--------------------------
1. 표준어와 표준발음
1.표준어와 방언
2.표준발음
2. 한글 맞춤법
3.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 외래어 표기법
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 국어의 음운상의 특질 ①계통상 알타이어, 형태상 교착어(첨가어)
②모음조화 두음법칙
③자음 19개, 모음 21개(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
④음절 끝에 오는 자음 발음은 7개
⑤자음은 파열음 계열의 삼중체계 이룬다(예사-된-거센)
⑥비분절 음운으로 말소리의 길이가 있다.
1. 음운과 음운체계
1.음성과 발음기관
개 념
기 타
(1) 음성
사람의 발음기관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음운의 실현 단위
물리적, 구체적, 분절적 소리
↔음운 ↔음향
※음운-추상적인 말소리
※음향-모든 자연의 소리
♥탐구2-음성과 음운의 개념 및 관계 정리p.56
음성-물리적, 구체적 소리→어느 언어에서나 존재
음운-추상적 인식→언어마다 다르다.(=변별자질에 대한 인식이 언어마다 다르다)
ex)우리말-f, p 변별자질 X / ㄷ, ㄸ, ㅌ 변별자질O
영 어- O / X
(2)발음기관
①자음
공기가 조음기관(목안, 입안)애서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
②모음
받지않고 나는 소리
2.국어의 음운 체계
(1) 음운
개념
①사람들이 머릿속에서 같은 소리로 인식하는 추상적인 말소리
②말의 의미를 구별함
③소리의 가장 최소단위
※현실음운 체계의 문제점
1.모음-단모음①
②
③
④
-이중모음
2.자음-된소리 발음 경향 강
EX)감쪽같이, 거꾸로, 거리낌,
고가 도로, 곱살끼다, 곶감,
교과서, 김밥, 땅거미(黃昏),
번데기, 새 차, 숙맥, 자투리,
작은형, 조금
3.비분절음운-젊은 세대들이
잘 구별X 경향
※최소대립
→
최소대립쌍
둘 이상의 단어가 같은 위치에 있는 하나의 음운 때문에
의미차이를 가져오는 경우
(두 단어의 의미를 변별하여 주는 음운의 대립)
※변이음
-상보적
분포
하나의 음운은 ‘환경’에 따라 여러 변이음으로 실현
→여러 변이음들이 합해져서(상보하여) 한 음운을 이룸
(상보적 분포)
→주로 파열음 계열의 “ㅂ, ㄷ, ㄱ”로 다 설명 가능
1)공통점-파열음
2)차이점-①어두-완전한 파열음 [가 /비빔밥 /삽 ]
②유성음사이-울림소리[아가 /비빔밥 /바지 ]
③어말-닫음소리 [악 /비빔밥 /아버지]
(2)모음
1)정의
공기가 조음기관(목안, 입안)애서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
※반모음
1.개념①모음과유사
②자음과유사-다른 모음에
붙어야 발음가능
③온전한 모음X
2.종류①반모음 l [ j ]
② ㅗ/ㅜ[ w ]
도표♡
2)분류기준
①혀의 앞 뒤 ②입술 모양 ③혀의 높이
전설/후설 평순/원순 고/중/저
3)종류
①단모음
②이중모음 : 혀가 일정한 자리에서 시작
→다른 자리로 옮겨가면서 발음되는 소리(반모음+단모음)
♥탐구4. 이중모음
㉠ ‘ㅣ\'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 : ㅣ(i)계 - ㅑ,ㅕ,ㅛ,ㅠ,ㅒ,ㅖ (6개)
㉡‘ㅗ/ㅜ’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 :ㅗ,ㅜ(W)계 - ㅘ,ㅙ,ㅝ,ㅞ (4개)
※ 이 외에도 국어에는 이중 모음 ‘ㅢ’가 있다.
→국어 이중 모음의 총 개수 11개
♥탐구1.단모음 중 발음이 어려운 모음(=모음 체계의 문제점)
①전설 평순 중모음이 가장 어렵다.[ㅔ] : ㅔ→ㅐ로 통합하여 발음하는 실정
②단모음 ㅚ,ㅟ ↔ 이중모음 ㅞ,위 구별 X (실제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경향 더多]
(표준발음→ㅚ,ㅟ 이중모음 발음도 허용)
③방언에서 ㅡ, ㅓ 구별X(혼동)( ㅡ → ㅓ로 발음경향)
④중부방언 2음절 이하의 ㅗ→ㅜ로 발음 혼동
※[의]이중모음 체계
설정시 논란
①상향이중모음 : ㅡ + l
←새로ㅡ설정해야하는 부담
②하향이중모음 : ㅡ + l
←학교문법
③수평이중모음 : ㅡ + l
←둘 다 완전 단모음
(이중모음 개념에 위배)
♥탐구2.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단모음
국어에서 단모음을→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
ㅚ,ㅟ→ㅞ,위 로 가능 / 실제 이중모음으로 발음경향 더 많음
♥탐구3.이중모음 ㅢ[의]
①원칙-[의]→다만 ③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의’→[이]
④단어의 첫 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ㅔ]로 발음함도 허용
첫소리 가운데 소리 조 사
①늴리리
단 원
2.말소리/8.국어의 규범
1. 음운과 음운체계
1.음성과 발음기관 (1)음성
(2)발음기관
2.국어의 음운 체계 (1)음운
(2)모음
(3)자음
(4)소리의 길이
3.음절
2. 음운의 변동
1.음절의 끝소리 규칙
2.음운의 동화 ⑴자음동화
⑵구개음화
⑶모음동화
⑷모음조화
3.음운의 축약과 탈락 ⑴축약
⑵탈락
4.사잇소리현상
--------------------------
1. 표준어와 표준발음
1.표준어와 방언
2.표준발음
2. 한글 맞춤법
3.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 외래어 표기법
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 국어의 음운상의 특질 ①계통상 알타이어, 형태상 교착어(첨가어)
②모음조화 두음법칙
③자음 19개, 모음 21개(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
④음절 끝에 오는 자음 발음은 7개
⑤자음은 파열음 계열의 삼중체계 이룬다(예사-된-거센)
⑥비분절 음운으로 말소리의 길이가 있다.
1. 음운과 음운체계
1.음성과 발음기관
개 념
기 타
(1) 음성
사람의 발음기관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음운의 실현 단위
물리적, 구체적, 분절적 소리
↔음운 ↔음향
※음운-추상적인 말소리
※음향-모든 자연의 소리
♥탐구2-음성과 음운의 개념 및 관계 정리p.56
음성-물리적, 구체적 소리→어느 언어에서나 존재
음운-추상적 인식→언어마다 다르다.(=변별자질에 대한 인식이 언어마다 다르다)
ex)우리말-f, p 변별자질 X / ㄷ, ㄸ, ㅌ 변별자질O
영 어- O / X
(2)발음기관
①자음
공기가 조음기관(목안, 입안)애서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
②모음
받지않고 나는 소리
2.국어의 음운 체계
(1) 음운
개념
①사람들이 머릿속에서 같은 소리로 인식하는 추상적인 말소리
②말의 의미를 구별함
③소리의 가장 최소단위
※현실음운 체계의 문제점
1.모음-단모음①
②
③
④
-이중모음
2.자음-된소리 발음 경향 강
EX)감쪽같이, 거꾸로, 거리낌,
고가 도로, 곱살끼다, 곶감,
교과서, 김밥, 땅거미(黃昏),
번데기, 새 차, 숙맥, 자투리,
작은형, 조금
3.비분절음운-젊은 세대들이
잘 구별X 경향
※최소대립
→
최소대립쌍
둘 이상의 단어가 같은 위치에 있는 하나의 음운 때문에
의미차이를 가져오는 경우
(두 단어의 의미를 변별하여 주는 음운의 대립)
※변이음
-상보적
분포
하나의 음운은 ‘환경’에 따라 여러 변이음으로 실현
→여러 변이음들이 합해져서(상보하여) 한 음운을 이룸
(상보적 분포)
→주로 파열음 계열의 “ㅂ, ㄷ, ㄱ”로 다 설명 가능
1)공통점-파열음
2)차이점-①어두-완전한 파열음 [가 /비빔밥 /삽 ]
②유성음사이-울림소리[아가 /비빔밥 /바지 ]
③어말-닫음소리 [악 /비빔밥 /아버지]
(2)모음
1)정의
공기가 조음기관(목안, 입안)애서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
※반모음
1.개념①모음과유사
②자음과유사-다른 모음에
붙어야 발음가능
③온전한 모음X
2.종류①반모음 l [ j ]
② ㅗ/ㅜ[ w ]
도표♡
2)분류기준
①혀의 앞 뒤 ②입술 모양 ③혀의 높이
전설/후설 평순/원순 고/중/저
3)종류
①단모음
②이중모음 : 혀가 일정한 자리에서 시작
→다른 자리로 옮겨가면서 발음되는 소리(반모음+단모음)
♥탐구4. 이중모음
㉠ ‘ㅣ\'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 : ㅣ(i)계 - ㅑ,ㅕ,ㅛ,ㅠ,ㅒ,ㅖ (6개)
㉡‘ㅗ/ㅜ’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 :ㅗ,ㅜ(W)계 - ㅘ,ㅙ,ㅝ,ㅞ (4개)
※ 이 외에도 국어에는 이중 모음 ‘ㅢ’가 있다.
→국어 이중 모음의 총 개수 11개
♥탐구1.단모음 중 발음이 어려운 모음(=모음 체계의 문제점)
①전설 평순 중모음이 가장 어렵다.[ㅔ] : ㅔ→ㅐ로 통합하여 발음하는 실정
②단모음 ㅚ,ㅟ ↔ 이중모음 ㅞ,위 구별 X (실제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경향 더多]
(표준발음→ㅚ,ㅟ 이중모음 발음도 허용)
③방언에서 ㅡ, ㅓ 구별X(혼동)( ㅡ → ㅓ로 발음경향)
④중부방언 2음절 이하의 ㅗ→ㅜ로 발음 혼동
※[의]이중모음 체계
설정시 논란
①상향이중모음 : ㅡ + l
←새로ㅡ설정해야하는 부담
②하향이중모음 : ㅡ + l
←학교문법
③수평이중모음 : ㅡ + l
←둘 다 완전 단모음
(이중모음 개념에 위배)
♥탐구2.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단모음
국어에서 단모음을→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
ㅚ,ㅟ→ㅞ,위 로 가능 / 실제 이중모음으로 발음경향 더 많음
♥탐구3.이중모음 ㅢ[의]
①원칙-[의]→다만 ③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의’→[이]
④단어의 첫 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ㅔ]로 발음함도 허용
첫소리 가운데 소리 조 사
①늴리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