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임용]통사론 - 국어 임용고사 서브노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임용]통사론 - 국어 임용고사 서브노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장의 성분
1. 문장과 문법 단위
2. 문장 성분의 종류
(1) 서술어와 주어
(2) 목적어와 보어
(3)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

2. 문장의 짜임
1. 문장의 짜임새
2. 안은 문장과 안긴 문장
(1) 명사절을 안은 문장
(2) 관형절을 안은 문장
(3) 부사절을 안은 문장
(4) 서술절을 안은 문장
(5) 인용절을 안은 문장
3. 이어진 문장
(1)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2)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3. 문법 요소
1. 문장 종결 표현
2. 높임 표현
3. 시간 표현
4. 피동 표현
5. 사동 표현
6. 부정 표현

본문내용

문만 사용 ex)울퉁불퉁하지 않다
4.‘모르다’ ‘없다’→긴 부정문만 사용 ex)모르지 않다. (안모르다X)
5.긍정적 의지동사 견디다
의지가 작용 x 알다 깨닫다 →안 부정문 x
6.부정동사 →안부정문만 사용 ex)모르다/못나다(모르지 않다/못나지 않다.)
②못부정문
-지 못하다
(붙여씀)
1.‘못’은 주로 긍정적인 의미의 동사에 쓰인다. ex)예쁘지 못하다, 귀엽지 못하다 (O)
나쁘지 못하다, 망하지 못하다(X)
2.형용사가 ‘못’과 결합할 경우 →기대에 미치지 못함을 아쉬워할 때 쓰인다.
ex)캠퍼스가 넓지 못하다
3.목적 의미의 어미 ‘~려고, 러“와 사용 X
5.긍정적 의지동사 견디다
의지가 작용 x 알다 깨닫다 참다→못 부정문 o
③말다부정문
명령문,
청유문
1. ‘말다’가 평서문, 의문문에도 쓰인 경우
①어제 하다가 만 일: stop의 의미(부정X)
②바라다라는 원망의 의미 동사에 쓰임 ex)바라지 말아야지. / 바라지 말까?
③부정 명령문을 되묻는 경우에 한정 ex) “나, 학교 가지 말아?”
②짧은부정문
①안부정문
안(아니)+용언
심리동사-‘모르다’등에 짧은 의지부정표현 안됨 ex) 철수가 영희를 안몰랐다.
②못부정문
못+동사
못 하다(띄여씀)
관용적으로 굳어진 형태 그런 말을 하면 못써요
*그런 말을 하면 쓰지 못해요 →아니면 의미가 달라짐
3)부정문의
중의성
: 부정문이
미치는
범위에
따라
(안부정문
못부정문
둘 다 가능)
①초점에
의한 중의성
같은 문장이라도
둘 이상의 의미로 해석될 가능성 O
1)다윤이는 그 책을 읽지 않았다.
<의미>부정의 대상-‘다윤이’(그 책을 읽은 것은 다윤이가 아니다.)
부정의 대상-‘그 책’(다윤이가 읽은 것은 그 책이 아니다)
부정의 대상-‘읽다’ (다윤이가 그 책에 관해 한 일은 읽은 것이 아니다.)
2)나는 희연이를 보지 못했다.
<의미>부정의 대상-‘나’ (희연이를 보지 못한 것은 나다.)
부정의 대상-‘희연’(내가 보지 못한 사람은 희연이다)
부정의 대상-‘보다’ (내가 희연이를 보지만 못했을 뿐이다.)
②부정문에
수량을
나타내는 부사가
있을 경우
부정문에 수량을 나타내는 부사
‘다, 모두, 조금, 많이’ 등이 있으면
부정의 범위에
그 부사의 의미가 포함될 수도 있고,⇒전체부정
그렇지 않을 수도 있어서 ⇒부분 부정
두 가지의 해석이 가능하다.
※동네 사람들이 다 오지 않았다.
<의미1> 동네 사람들 가운데 온 사람은 하나도 없다.
<의미2> 동네 사람들이 오긴 왔는데, 모두 온 것은 아니다.
⇒해결방법 : 보조사 ‘는’이 결합하여 ‘동네 사람들이 다 오지는 않았다’가 되면
<의미2>로만 해석
⇒BUT, 보조사 는을 붙여도
①학생들이 다는 오지는 않았다.
②학생들이 다 오지는 않았다.가 되어 중의성이 해소되지 않는다♥
이유▶보조사를 붙여도 여전히 부분을 부정한 의미가(부준부정)
남아 있기 때문에 중의성이 사라지지 않는다.
※중의성
해소 방법
★★★
①어느 한 단어에 강세를 주어 구별
②문맥을 통해서도 가능
③어순을 바꿈으로서도 해결 가능-----7차
④보조사 은/는/도/만을 넣어 해소-----6차
※부정 아닌 부정 표현
1. 반어의문문의 경우는 부정의 의미 X ex) 영희, 예쁘지 않니?
2. 실제 의미로 부정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부정문 형식이지만, 의심, 확인 나타냄
ex)하림이가 가지 않을까 걱정이다.(의심)
하경이가 갔지 않니?(확인)
하경이가 가지 않았니?(의문)
3,어제 하다가 만 일: stop의 의미(부정X)
♥탐구-부정 표현의 특이성
1. 모르다, 없다-짧은 부정 표현 X(긴 부정 표현만 가능)
ex)*저도 그 사실을 안 모릅니다./저도 그 사실을 모르지 않습니다.
이유?-부정하는 의미가 ‘모르다’가 아닌 ‘저도 그 사실을 모르다’는 문장 전체이므로
2. 말다-명령문과 청유문에사 긴 부정문만 가능
ex) *안 읽어라 *안 읽자 -읽지 말아라 / 읽지 말자
3. 짧은 부정문의 형태가 관용적으로 굳어진 경우
ex) 그런 말을 하면 못써요(관용구로 된 합성어→붙여쓰기★)
*그런 말을 하면 쓰지 못해요



짧은

짧은
~ 지 아니하다
안 하다
~지 못하다
못 먹다
1.서술격 조사 ‘이다’의 부정
→ ‘-이 아니다’
1.‘못’은 주로 긍정적인 의미의
동사에 쓰인다.
ex)예쁘지 못하다, 귀엽지 못하다 (O)
나쁘지 못하다, 망하지 못하다(X)
2.서술어(동사,형용사)가
합성어,파생어 용언→긴 부정문이 자연.
ex)그를 안 얕보았다 →얕보지 않았다
2.형용사가 ‘못’과 결합할 경우
→기대에 미치지 못함을
아쉬워할 때 쓰인다.
ex)캠퍼스가 넓지 못하다
3.음절이 긴 형용사
ex)울퉁불퉁하지 않다
4.의지동사 견디다 x
의지 작용 x 알다 깨닫다 참다 x
4.의지동사 견디다
의지 작용 x 알다 깨닫다 참다
5.모르다’ ‘없다’ ex)모르지 않다.(안모르다X)
심리동사-‘모르다’등에
짧은 의지부정표현 x
ex) 철수가 영희를 안몰랐다.
5. 모르다’ ‘없다’ x
6.부정동사 →안부정문만 사용
ex)모르다/못나다]
(모르지 않다/못나지 않다.)
7. .목적 의미의 어미
‘~려고, 러“와 사용
7.목적 의도의 어미
‘~려고, 러“와 사용 X
2. 합성 동사 ① 명사-동사 : 힘-들다, 선-보다
② 동사-동사 : 얽-매다, 오르-내리다
③ 형용사-동사 : 늦-되다, 설-익다
④ 부사-동사 : 그만-두다, 마주-보다
3. 합성 형용사① 명사-형용사 : 값-싸다, 꿈-같다
② 형용사-형용사 : 굳-세다, 높-푸르다
③ 명사-동사 : 맛-나다, 풀-죽다
④ 형용사-동사 : 게을러-터지다,
약아-빠지다
⑤ 부사-동사 : 못-나다, 막-되다
2. 파생 동사 ① 명사-접미사 : 위반-하다, 운동-하다
② 동사-접미사 : 남-기다, 먹-이다
③ 형용사-접미사 : 낮-추다, 밝-히다
④ 부사-접미사 : 깜박-이다, 출렁-거리다
3. 파생 형용사 ① 명사-접미사 : 신사-답다, 복-스럽다
② 동사-접미사 : 그리-ㅂ다, 놀라-ㅂ다
③ 형용사-접미사 : 넓-적하다, 높-다랗다
④ 관형사-접미사 : 새-롭다
⑤ 부사-접미사 : 울퉁불퉁-하다,
반듯반듯-하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11.25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5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