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연구방법 2
II. 이론적 배경 3
1. 아동관 3
2. 교육관 10
3. 교육과정관 16
III. 현대교육에 있어서의 몬테소리 교육의 의의 24
V. 결론 및 제언 27
■ 참고문헌 2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연구방법 2
II. 이론적 배경 3
1. 아동관 3
2. 교육관 10
3. 교육과정관 16
III. 현대교육에 있어서의 몬테소리 교육의 의의 24
V. 결론 및 제언 27
■ 참고문헌 29
본문내용
, 전자 미디어와 위성을 통한 통신 체제, 인간 수명의 연장, 생명의 인위적 복제, 인구 과잉과 환경 오염, 인간 스스로 만들어낸 모든 파괴의 수단들, 이 모든 문제점은 우리에게 지금까지와는 다른 대응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시대에 조응하지 않는 방식을 아이들에게 전수하는 전통적인 교육은 더 이상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이 점점 명확해지고 있다. 젊은 사람들이 직면한 생존을 위한 도전을 극복하게 하려면 창조성, 진취성, 독립심, 내적 훈련, 자신감을 갖도록 그들의 잠재력을 키워주는 교육이 절실하다. 바로 이 점이 몬테소리 교육의 핵심이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현대 아동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몬테소리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등을 살펴보고 현대교육에 있어서의 몬테소리 교육의 의의를 찾아봄으로서 새로운 아동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한 것이다.
몬테소리는 아동을 끊임없이 자신을 창조해 가는 무한한 잠재 능력을 지닌 자유로운 존재로서, 아동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잠재력을 전개해 나간다고 보았다. 아동을 독립적인 인격체로 존중하여 아동이 주체가 되는 교육이 되도록 아동들의 학습 선택권과 자율권을 보장하는 민주적인 교육을 추구한 것이다. 그런 까닭에 몬테소리는 교육의 과학화, 풍부한 교구 활용과 놀이를 통한 인지적 발달, 도덕교육과 노작활동이 함께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현대아동교육의 주춧돌이 된 셈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내면의 발달 단계는 개인차가 있으므로 이를 존중해 주어야 하며, 발달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구를 제공해주어 스스로 학습하여 즐거움을 느끼게 해야 한다는 그녀의 이론은 현대의 아동중심 교육에 큰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몬테소리의 이론들 역시 다른 여러 교육이론들과 마찬가지로 비판점을 지니고 있다. 몬테소리의 이론은 교구의 사용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서 아동의 창의성을 제한시키고 사회적정서적 생활을 도외시하며, 인간적인 상호작용보다 교구와의 상호작용을 더 중시함으로서 학습을 비인간적으로 만든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몬테소리의 교육 이론이나 방법을 우리의 아동교육에 그냥 수용할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새로운 관점으로 몬테소리 교육을 재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현대에서의 몬테소리 교육의 방향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몬테소리가 아동의 관찰과 연구를 기초로 하여 교구 방법을 고안한 것은 사실이지만 몬테소리 교육법은 아동교육의 일부임을 인식해야 한다. 아동 교육은 아동의 기본적인 생활 교육을 중요시하고 아동의 요구와 흥미, 개별성을 인정해가며 아동의 전인적 성장 발달을 도와주는 폭넓은 활동이다. 이에 일부로서 몬테소리의 방법을 수용하되 지향하는 아동교육의 기본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 방법을 고려하여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몬테소리는 교육의 특징인 교구를 매개체로 교수법을 채택했지만 주의할 것은 꼭 교구가 전부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몬테소리 교육의 쟁점은 교구를 교육의 매개체로서 사용할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인 것이다. 교사는 교구 본래의 의미를 인식한 후에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교육 실천을 해야 할 것이다. 이는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교구보다 인적 환경으로서의 교사의 자질이 더욱 중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재의 교육은 아동이 가지고 있는 창조성(creativity), 자발성(spontaneity), 자립성(independence), 내적 단련(inner discipline) 및 자신감(self-confidence)의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몬테소리 교육에는 이것을 위한 이론적이며 실천적인 배려가 되어 있기는 하지만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과학의 다양한 성과를 바탕으로 더 체계적인 이론과 실천적인 틀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교육 제도상 특정인의 교육 프로그램을 주장하기보다는 한국의 아동교육과정을 우선으로 하여 상호보완적인 교육 방법을 실행해야 할 것이며, 다양한 교수법을 각 학급의 현황에 맞게 통합해야 하므로 교사의 열린 교육 철학 사상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김경숙(1983). 몬테소리 교육의 본질. 효성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숙이(2002). 몬테소리의 유아교육사상. 한국교육사학 제 24권, 제 2호, 133-158.
김위자, 하영례(1992). 몬테소리 지리 역사 교육. 서원.
김한선(1982). 몬테소리교육. 보육사.
돈보스꼬 몬테소리 교육실천연구소(2006). 유아교육 현장을 위한 총체적 통합프로그램과 창의적 몬테소리 교육의 실천 방법. 창지사.
박정자(1992). Frobel과 Montessori의 敎育思想 比較硏究.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화식 외(1992). 몬테소리 교육모형. 양서원.
이기숙(1983).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이영숙(2000). 몬테소리, 그 교육의 모든 것. 창지사.
이영숙, 김기열(1995). 왜 몬테소리인가? 창지사.
Maria Montessori(1995). 몬테소리의 어린이 발견. (조성자 역). 창지사.
Gettman(1987). Basic Montessori Learning Activities for under fives. New york: St. Martin's press. Inc.
Gottstein(1984). Defining and Examining Areas of Criticism Concerning the Pedagogical Ideas of Maria Montessori with Emphasis on Critics and their Criticism from 1910 to 1925.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Michigan.
Lillard(1973). Montessori : A Modern Approach. New York : Schocken Books, Inc.
Standing(1962). Maria Montessori. Her Life and Work. New York : A Mentor Book from New America Library of World Literature, Inc.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현대 아동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몬테소리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등을 살펴보고 현대교육에 있어서의 몬테소리 교육의 의의를 찾아봄으로서 새로운 아동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한 것이다.
몬테소리는 아동을 끊임없이 자신을 창조해 가는 무한한 잠재 능력을 지닌 자유로운 존재로서, 아동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잠재력을 전개해 나간다고 보았다. 아동을 독립적인 인격체로 존중하여 아동이 주체가 되는 교육이 되도록 아동들의 학습 선택권과 자율권을 보장하는 민주적인 교육을 추구한 것이다. 그런 까닭에 몬테소리는 교육의 과학화, 풍부한 교구 활용과 놀이를 통한 인지적 발달, 도덕교육과 노작활동이 함께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현대아동교육의 주춧돌이 된 셈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내면의 발달 단계는 개인차가 있으므로 이를 존중해 주어야 하며, 발달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구를 제공해주어 스스로 학습하여 즐거움을 느끼게 해야 한다는 그녀의 이론은 현대의 아동중심 교육에 큰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몬테소리의 이론들 역시 다른 여러 교육이론들과 마찬가지로 비판점을 지니고 있다. 몬테소리의 이론은 교구의 사용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서 아동의 창의성을 제한시키고 사회적정서적 생활을 도외시하며, 인간적인 상호작용보다 교구와의 상호작용을 더 중시함으로서 학습을 비인간적으로 만든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몬테소리의 교육 이론이나 방법을 우리의 아동교육에 그냥 수용할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새로운 관점으로 몬테소리 교육을 재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현대에서의 몬테소리 교육의 방향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몬테소리가 아동의 관찰과 연구를 기초로 하여 교구 방법을 고안한 것은 사실이지만 몬테소리 교육법은 아동교육의 일부임을 인식해야 한다. 아동 교육은 아동의 기본적인 생활 교육을 중요시하고 아동의 요구와 흥미, 개별성을 인정해가며 아동의 전인적 성장 발달을 도와주는 폭넓은 활동이다. 이에 일부로서 몬테소리의 방법을 수용하되 지향하는 아동교육의 기본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 방법을 고려하여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몬테소리는 교육의 특징인 교구를 매개체로 교수법을 채택했지만 주의할 것은 꼭 교구가 전부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몬테소리 교육의 쟁점은 교구를 교육의 매개체로서 사용할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인 것이다. 교사는 교구 본래의 의미를 인식한 후에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교육 실천을 해야 할 것이다. 이는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교구보다 인적 환경으로서의 교사의 자질이 더욱 중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재의 교육은 아동이 가지고 있는 창조성(creativity), 자발성(spontaneity), 자립성(independence), 내적 단련(inner discipline) 및 자신감(self-confidence)의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몬테소리 교육에는 이것을 위한 이론적이며 실천적인 배려가 되어 있기는 하지만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과학의 다양한 성과를 바탕으로 더 체계적인 이론과 실천적인 틀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교육 제도상 특정인의 교육 프로그램을 주장하기보다는 한국의 아동교육과정을 우선으로 하여 상호보완적인 교육 방법을 실행해야 할 것이며, 다양한 교수법을 각 학급의 현황에 맞게 통합해야 하므로 교사의 열린 교육 철학 사상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김경숙(1983). 몬테소리 교육의 본질. 효성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숙이(2002). 몬테소리의 유아교육사상. 한국교육사학 제 24권, 제 2호, 133-158.
김위자, 하영례(1992). 몬테소리 지리 역사 교육. 서원.
김한선(1982). 몬테소리교육. 보육사.
돈보스꼬 몬테소리 교육실천연구소(2006). 유아교육 현장을 위한 총체적 통합프로그램과 창의적 몬테소리 교육의 실천 방법. 창지사.
박정자(1992). Frobel과 Montessori의 敎育思想 比較硏究.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화식 외(1992). 몬테소리 교육모형. 양서원.
이기숙(1983).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이영숙(2000). 몬테소리, 그 교육의 모든 것. 창지사.
이영숙, 김기열(1995). 왜 몬테소리인가? 창지사.
Maria Montessori(1995). 몬테소리의 어린이 발견. (조성자 역). 창지사.
Gettman(1987). Basic Montessori Learning Activities for under fives. New york: St. Martin's press. Inc.
Gottstein(1984). Defining and Examining Areas of Criticism Concerning the Pedagogical Ideas of Maria Montessori with Emphasis on Critics and their Criticism from 1910 to 1925.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Michigan.
Lillard(1973). Montessori : A Modern Approach. New York : Schocken Books, Inc.
Standing(1962). Maria Montessori. Her Life and Work. New York : A Mentor Book from New America Library of World Literature, Inc.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