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의 선사 미술」(노혁진) 정리
<내용 요약>
I. 서언
II. 신석기, 청동기 시대의 미술
1. 문화
2. 미술
III. 초기 철기 - 원삼국시대의 미술
1. 문화
2. 미술
IV. 결언
<감상>
<내용 요약>
I. 서언
II. 신석기, 청동기 시대의 미술
1. 문화
2. 미술
III. 초기 철기 - 원삼국시대의 미술
1. 문화
2. 미술
IV. 결언
<감상>
본문내용
리와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던 시베리아 유목민들의 암각화는 우리들의 선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가? 그러면 그 지역 역시 우리의 선사라 할 것인가?
도대체 ‘우리들만이’ ‘어떤 측면에서’ 즐문토기인이나 무문토기인, 비파형동검인의 후예란 말인가? 이 글에서도 밝혔듯이 문화라는 것이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이라면 우리의 시야는 좀 더 넓어질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즉 동아시아에서 선사는, 아니 적어도 고대사라 일컬어지는 삼국시대 역사(우리 역사 기준)까지는 동아시아 공통의 역사가 아닌가한다.
우리를 포함한 동아시아에서는 어디를 막론하고 역사를 이야기할 때 지나치게 국가 혹은 민족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특히나 문자로 기록되어 있지 않은 선사, 고대사의 경우 그 정도는 오히려 더 하다. 하지만 선사나 고대사는 인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들의 흐름과 맥락이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자신들의 위대한 뿌리 찾기 식의 선사와 고대사 연구는 곤란하다. 물론 이 글도 그런 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우리 선사의 근간을 찾는 것보다 동아시아에서 선사시대엔 어떠한 인적 문화적 흐름과 갈등이 있었는지를 공부하는 것이 더욱 필요한 요즘인 것 같다.
도대체 ‘우리들만이’ ‘어떤 측면에서’ 즐문토기인이나 무문토기인, 비파형동검인의 후예란 말인가? 이 글에서도 밝혔듯이 문화라는 것이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이라면 우리의 시야는 좀 더 넓어질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즉 동아시아에서 선사는, 아니 적어도 고대사라 일컬어지는 삼국시대 역사(우리 역사 기준)까지는 동아시아 공통의 역사가 아닌가한다.
우리를 포함한 동아시아에서는 어디를 막론하고 역사를 이야기할 때 지나치게 국가 혹은 민족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특히나 문자로 기록되어 있지 않은 선사, 고대사의 경우 그 정도는 오히려 더 하다. 하지만 선사나 고대사는 인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들의 흐름과 맥락이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자신들의 위대한 뿌리 찾기 식의 선사와 고대사 연구는 곤란하다. 물론 이 글도 그런 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우리 선사의 근간을 찾는 것보다 동아시아에서 선사시대엔 어떠한 인적 문화적 흐름과 갈등이 있었는지를 공부하는 것이 더욱 필요한 요즘인 것 같다.
추천자료
80년대의 미술에 대하여 (80년대 미술계의 주요변화와 민중미술을 중심으로)
미술교과교육과 감상 및 미술비평
박물관.미술관에서의 전통미술교육
미술교과 교육과 미술비평
미술시장 및 미술경매 심층분석과 활성화 방안
미술의 기원 미술의 이해
[미술교육][미대입시제도][미대입시]미술교육의 배경, 미술교육의 목적, 미대입시제도의 현황...
우리나라 미술 시장 경제학적 분석, 경제적 가치, 국내 미술시장 현황, 활성화 방안, 역사, ...
[오방색][오방색 색채의식][오방색과 전통미술][오방색과 민화][오방색 현대적 변용]오방색의...
[비엔날레, 비엔날레 개념, 현대미술, 도시마케팅, 비엔날레 의의, 비엔날레 평가, 전람회]비...
[한미일, 한미일경제시스템, 한미일거래시스템, 한미일기업, 한미일노인교육, 한미일미술교육...
미술관 벽 허물기 - 어린이미술관을 중심으로...
페미니즘미술 : 페미니즘미술작품의 분석 ; 페미니즘미술의 형성배경과 특성
현대미술)자신이 생각하는 현대미술 (서술은 자유) 작가나 작품 예를 들어서 설명해도 무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