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고대 근동의 유목생활
Ⅱ.고대 근동 세계의 歷史
Ⅲ.고대 근동 세계의 종족
Ⅳ.고대 근동 세계의 종교
Ⅴ.고대 근동의 예언운동
Ⅵ.고대 근동의 신비종교
Ⅶ.고대 근동의 법전
Ⅱ.고대 근동 세계의 歷史
Ⅲ.고대 근동 세계의 종족
Ⅳ.고대 근동 세계의 종교
Ⅴ.고대 근동의 예언운동
Ⅵ.고대 근동의 신비종교
Ⅶ.고대 근동의 법전
본문내용
트 문서에 어떤사람이 왕에게 독수리 점쟁이를 불러 달라는 이야기 있음. 아브라함이 비둘기 날아가는 방향과 모양 관찰하여 전조
※간점 : 제물로 가져온 동물과 신과의 상관관계 있다하여 간을 쪼개어 색깔을 살펴 신의 뜻을 앎
2.마술
※ James Frazer \"마술은 종교의 전신이다“ : 마술이 인간의 요구대로 되지 못할 때 종교적인 기원으로 바뀌어 갔다
※ 애매모호한 마술과 종교의 선
ex1) 왕하 18:4 : 히스기야 산당 깨뜨림, 롯뱀제거(당시까지 롯뱀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악령 재앙 피하기 위한 마법의 수단으로 보아왔음)
ex2) 왕하 4:25 : 엘리사의 지팡이로 수넴여자 아들 살릴때 게하시에게 침묵하며 지팡이 전달 명령
- 침묵 명령은 시간 허비 막기 위함 아닌 예언자 능력을 발산시킬 위험을 막기 위함
ex3) 왕하 5:11 : 나아만의 치유(나아만은 병마 추방법으로 문둥병 고칠 것 기대)
ex4) 창 30:14~ : 합환채(여자 가슴에, 남자 유혹) - 이성의 사랑을 빼앗고자 할 때 마술능력 있는 식물 로 여겨 왔음
▶ 마술과 점술이 점차 발달해서 선견자와 예언자의 활동에 점차 가까워지게 되었다(일반적 통론)
― 10 ―
Ⅵ.고대 근동의 신비종교
▶미드라이즘(Mithraism) : 유대교와 기독교의 적수
1.미드라이즘의 역사
- Mithras(Mithra)는 후리족의 태양신, 아리안족의 부족신이었다
- 미드라는 페르시아에 최고신인 아후라마즈(Ahura Maz)의 중재자, 혹은 아후라마즈다가 현현된 것으로 조로아스터교(후에 마니교)의 표상으로 나옴
※ 아후라마즈다 = 하나님, Mithra = 예수 그리스도
- 조로아스터교에서 미드라는 “하늘의 빛(the heavenly light)\"으로 불리웠다.
- 메소포타미아 갈대아인에게는 미드라가 샤마쉬(후리족의 태양신)로 불리움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에 아닥세(르세)스 2세(404~358BC)는 미드라이즘을 페르시아의 국교로 삼았으며, 서쪽으로 뻗어 나가다가 75~68BC에는 로마에 침투(즉, 로마 군인에 의해 전세계에 퍼져나갔음)
- AD1~3C 중엽까지 로마제국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200년간 기독교와 숙명의 대결을 벌이다가 콘스탄틴대제가 313년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밀라노칙령으로 기독교가 공인되고 미드라이즘은 표면적으로 사라지고 쇠퇴
- 아우렐리우스 황제 재위시 로마의 국교로 되기도 함
2.미드라이즘의 교리
- Mithras는 태양신 -
ⓛ창조주 : 어둠의 위협에서도 창조 사역을 감당한 빛의 신
②구세주 : 어둠의 왕자인 아리만(Ahriman)과의 싸움에서 세계를 파멸에서 구출, 신화적인 황소를 살해한 위대한 전사
③탄생일 : 태양 본성 확인 위해 태양의 암흑기간이 가장 긴 동지날 무렵(밤이 길다), 즉 양력 12월25일
④비천한 출생설화 : 어느 한 바위틈에서 탄생, 그의 탄생은 예물을 가져온 몇명의 목자들에게만 보여지며, 출생한 신은 추위를 느껴 스스로 무화가 나무로 옷을 해 입음
⑤임 무 : 태양과 더불어 우정과 사랑의 조약을 맺고 성스러운 황소를 죽임
※성스러운 황소 : 오르마즈드(ormazd)에 의해 창조됨(아후라마즈다와 오르마즈드는 동일 개념)
⑥황소희생제사 : 성스러운 황소를 죽일때 흘리는 피가 생명을 부여하는피(생명의 피, life giving blood)로 이해됨, 곧 신은 황소와 동일시 되었음, 황소 희생은 사신으로 까마귀를 보낸 태양의 요청에 의함
- 신은 마음으로부터 죽임을 원하지 않았지만 자신을 희생제물로 바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어둠의 왕자인 아리만은 황소를 죽이지 못하도록 방해공작을 계속 한다.그럼에도 미드라는 성스러운 황소를 죽임으로 인해 황소의 영혼은 천상에 오르게 된다. 결국 미드 라는 이 행위(황소 죽임)를 통해 생명의 창조자가 된다.(성경 구속론의 황소 제사와 비슷)
- 아리만은 방해공작이 실패로 끝나자 아리만의 세차례 보복이 시작되며 미드라는 방어
1)가뭄 → 미드라가 바위에 화살을 쏘아 물을 뽑아내 가뭄 해소(모세 반석 비교)
2)홍수 → 한 사람을 택해 그의 가축과 더불어 한 배에 들어감으로 멸망 면하게 함(노아비교)
3) 불 → 오르마즈드의 피조물들만 파멸에서 모면시킴
⑦천상에 오름 : 미드라는 구원사업 성취한 후 천상의 보좌로 되돌아가서 태양신의 수레를 타고 불멸의 처소로 인도되어가 그의 신실한 성도들을 보호하는 일을 계속 해오고 있음
⑧ 재림 - 그는 언젠가는 다시 돌아와서 그 종교의 입교자(신봉자)들에게 영생을 부여할 것임
- 이 메시야를 지칭해 조로아스터교에서 “곧 다시오실 사오쉬안트(Saoshgant)”로 부르며, 이 사오쉬안트는 반드시 처녀에게서 태어나 인류를 구원할 것임
- 그 악령인 앙그라마이뉴(아리만과 통속)는 폐하게 되고 아후라마즈다의 영원한 왕국이 시작될 것임
― 11 ―
Ⅶ.고대 근동의 법전
1. 히브리 법전들
①계약법전 : 출 20:22~23:19 ④신명기법전 : 신12장~26장
②십 계 명 : 출 20:2-7 ~ 신5:6-21 ⑤성결법전 : 레17장~25장
③제의십계명 : 출34:14~26 ⑥제사법전 : 레1~7장, 11~16장
→ 이러한 히브리 법전들은 고대근동의 법전들과 병행을 이루는 것이 많다.
2. 고대근동의 법전들
①우루이님기나 개혁법전(the Reform of Uruiningina)
- 수메르법전
- BC2350년경 추정
- 라기쉬의 왕이었던 우루이님기나에 의해 반포
- 내용 : 일반국민들의 재산과 임금에 관련
②우루-남무 법전 (Law of Ur-Nammu)
- 수메르의 법전
- 고대바벨론 시대
- 우루 제3왕조의 창시자인 우르-남무에 의해 반포
- 구성은 전문과 31개의 법조항 (특별히 31개 법조항으로 이혼, 상해, 노예, 거짓증언, 재산상속 관련)
③리핏-이쉬탄 법전 (the Law of Lipit-Ishitan)
- BC2000년경 수메르 법전
- 이신왕 리핏-이쉬탄(1875~1864BC)에 의해 반포
- 구성이 전문과 38개의 법조문, 후기로 내용은 가사, 상속, 재난, 노예, 민법등
④에쉬눈나 법전 (the Law of Eshnuna)
- 고대 바벨론시대, 60개의 법조항, 민법과 형법 구성
⑤함무라비 법전 (
※간점 : 제물로 가져온 동물과 신과의 상관관계 있다하여 간을 쪼개어 색깔을 살펴 신의 뜻을 앎
2.마술
※ James Frazer \"마술은 종교의 전신이다“ : 마술이 인간의 요구대로 되지 못할 때 종교적인 기원으로 바뀌어 갔다
※ 애매모호한 마술과 종교의 선
ex1) 왕하 18:4 : 히스기야 산당 깨뜨림, 롯뱀제거(당시까지 롯뱀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악령 재앙 피하기 위한 마법의 수단으로 보아왔음)
ex2) 왕하 4:25 : 엘리사의 지팡이로 수넴여자 아들 살릴때 게하시에게 침묵하며 지팡이 전달 명령
- 침묵 명령은 시간 허비 막기 위함 아닌 예언자 능력을 발산시킬 위험을 막기 위함
ex3) 왕하 5:11 : 나아만의 치유(나아만은 병마 추방법으로 문둥병 고칠 것 기대)
ex4) 창 30:14~ : 합환채(여자 가슴에, 남자 유혹) - 이성의 사랑을 빼앗고자 할 때 마술능력 있는 식물 로 여겨 왔음
▶ 마술과 점술이 점차 발달해서 선견자와 예언자의 활동에 점차 가까워지게 되었다(일반적 통론)
― 10 ―
Ⅵ.고대 근동의 신비종교
▶미드라이즘(Mithraism) : 유대교와 기독교의 적수
1.미드라이즘의 역사
- Mithras(Mithra)는 후리족의 태양신, 아리안족의 부족신이었다
- 미드라는 페르시아에 최고신인 아후라마즈(Ahura Maz)의 중재자, 혹은 아후라마즈다가 현현된 것으로 조로아스터교(후에 마니교)의 표상으로 나옴
※ 아후라마즈다 = 하나님, Mithra = 예수 그리스도
- 조로아스터교에서 미드라는 “하늘의 빛(the heavenly light)\"으로 불리웠다.
- 메소포타미아 갈대아인에게는 미드라가 샤마쉬(후리족의 태양신)로 불리움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에 아닥세(르세)스 2세(404~358BC)는 미드라이즘을 페르시아의 국교로 삼았으며, 서쪽으로 뻗어 나가다가 75~68BC에는 로마에 침투(즉, 로마 군인에 의해 전세계에 퍼져나갔음)
- AD1~3C 중엽까지 로마제국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200년간 기독교와 숙명의 대결을 벌이다가 콘스탄틴대제가 313년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밀라노칙령으로 기독교가 공인되고 미드라이즘은 표면적으로 사라지고 쇠퇴
- 아우렐리우스 황제 재위시 로마의 국교로 되기도 함
2.미드라이즘의 교리
- Mithras는 태양신 -
ⓛ창조주 : 어둠의 위협에서도 창조 사역을 감당한 빛의 신
②구세주 : 어둠의 왕자인 아리만(Ahriman)과의 싸움에서 세계를 파멸에서 구출, 신화적인 황소를 살해한 위대한 전사
③탄생일 : 태양 본성 확인 위해 태양의 암흑기간이 가장 긴 동지날 무렵(밤이 길다), 즉 양력 12월25일
④비천한 출생설화 : 어느 한 바위틈에서 탄생, 그의 탄생은 예물을 가져온 몇명의 목자들에게만 보여지며, 출생한 신은 추위를 느껴 스스로 무화가 나무로 옷을 해 입음
⑤임 무 : 태양과 더불어 우정과 사랑의 조약을 맺고 성스러운 황소를 죽임
※성스러운 황소 : 오르마즈드(ormazd)에 의해 창조됨(아후라마즈다와 오르마즈드는 동일 개념)
⑥황소희생제사 : 성스러운 황소를 죽일때 흘리는 피가 생명을 부여하는피(생명의 피, life giving blood)로 이해됨, 곧 신은 황소와 동일시 되었음, 황소 희생은 사신으로 까마귀를 보낸 태양의 요청에 의함
- 신은 마음으로부터 죽임을 원하지 않았지만 자신을 희생제물로 바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어둠의 왕자인 아리만은 황소를 죽이지 못하도록 방해공작을 계속 한다.그럼에도 미드라는 성스러운 황소를 죽임으로 인해 황소의 영혼은 천상에 오르게 된다. 결국 미드 라는 이 행위(황소 죽임)를 통해 생명의 창조자가 된다.(성경 구속론의 황소 제사와 비슷)
- 아리만은 방해공작이 실패로 끝나자 아리만의 세차례 보복이 시작되며 미드라는 방어
1)가뭄 → 미드라가 바위에 화살을 쏘아 물을 뽑아내 가뭄 해소(모세 반석 비교)
2)홍수 → 한 사람을 택해 그의 가축과 더불어 한 배에 들어감으로 멸망 면하게 함(노아비교)
3) 불 → 오르마즈드의 피조물들만 파멸에서 모면시킴
⑦천상에 오름 : 미드라는 구원사업 성취한 후 천상의 보좌로 되돌아가서 태양신의 수레를 타고 불멸의 처소로 인도되어가 그의 신실한 성도들을 보호하는 일을 계속 해오고 있음
⑧ 재림 - 그는 언젠가는 다시 돌아와서 그 종교의 입교자(신봉자)들에게 영생을 부여할 것임
- 이 메시야를 지칭해 조로아스터교에서 “곧 다시오실 사오쉬안트(Saoshgant)”로 부르며, 이 사오쉬안트는 반드시 처녀에게서 태어나 인류를 구원할 것임
- 그 악령인 앙그라마이뉴(아리만과 통속)는 폐하게 되고 아후라마즈다의 영원한 왕국이 시작될 것임
― 11 ―
Ⅶ.고대 근동의 법전
1. 히브리 법전들
①계약법전 : 출 20:22~23:19 ④신명기법전 : 신12장~26장
②십 계 명 : 출 20:2-7 ~ 신5:6-21 ⑤성결법전 : 레17장~25장
③제의십계명 : 출34:14~26 ⑥제사법전 : 레1~7장, 11~16장
→ 이러한 히브리 법전들은 고대근동의 법전들과 병행을 이루는 것이 많다.
2. 고대근동의 법전들
①우루이님기나 개혁법전(the Reform of Uruiningina)
- 수메르법전
- BC2350년경 추정
- 라기쉬의 왕이었던 우루이님기나에 의해 반포
- 내용 : 일반국민들의 재산과 임금에 관련
②우루-남무 법전 (Law of Ur-Nammu)
- 수메르의 법전
- 고대바벨론 시대
- 우루 제3왕조의 창시자인 우르-남무에 의해 반포
- 구성은 전문과 31개의 법조항 (특별히 31개 법조항으로 이혼, 상해, 노예, 거짓증언, 재산상속 관련)
③리핏-이쉬탄 법전 (the Law of Lipit-Ishitan)
- BC2000년경 수메르 법전
- 이신왕 리핏-이쉬탄(1875~1864BC)에 의해 반포
- 구성이 전문과 38개의 법조문, 후기로 내용은 가사, 상속, 재난, 노예, 민법등
④에쉬눈나 법전 (the Law of Eshnuna)
- 고대 바벨론시대, 60개의 법조항, 민법과 형법 구성
⑤함무라비 법전 (
추천자료
윤리학-서양 윤리 사상사(고대~현대)
[인문과학] 프랑스와 와인
그리스 아테네의 민주정치
유럽문화사 독후감
도량형 제도
[경제학사] 경제학사 A+ 완벽정리 서브노트
모세오경의문화적배경(G. 허버트 리빙스톤)
한국 무용사 (고대부터 근대까지)
구약개론 요약
[농업산출][농업][산출][농업산출 정의][농업산출 대상][농업산출 범위][농업산출 추계]농업...
중세 기독교 이전 유럽 문명의 발생과 종교에 대하여 논하시오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교육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