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2000년대 감염성 질환
2. 감염성 질환의 전파
3. 신체 방어기전 : 물리적 방어 및 세포의 면역계
4. 예방접종
5. 면역반응
6. 감염성 질환의 원인과 관리
7. 성감염질환
2. 감염성 질환의 전파
3. 신체 방어기전 : 물리적 방어 및 세포의 면역계
4. 예방접종
5. 면역반응
6. 감염성 질환의 원인과 관리
7. 성감염질환
본문내용
감염성 질환 예방
1. 2000년대 감염성 질환
1900년대에는 감염성 질환이 사망의 주요 원인이었다. 이런 사망들은 소아마비, 폐결핵, 인플루엔자, 백일해,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같은 질환들을 일으키는 미생물들에 대한 노출의 결과였다. 그러나 중반이 되었을 때, 치료법으로서 항생제들과 예방요법인 백신 접종으로 감염성 질환으로 죽는 사람의 수는 상당히 줄어들었다.
오늘날 우리는 감염성 질환의 새로운 측면을 목격하고 있다. 에이즈는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위협하고 있다. 우리는 폐결핵의 재기 역시 목격하고 있다. 불임에서 자궁감염의 역할을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아동을 완전히 면역화하지 못한 실패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백일해, 소아마비와 다른 심각한 아동기 질환의 복귀의 온상을 마련하고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2. 감염성 질환의 전파
(1) 병원체
전파되는 질병의 경우, 질병을 발생시키는 요소 또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 같은 병원체에 접촉해야만 감염이 된다. 병원체가 인체로 들어왔을 때, 그들은 때때로 인체 방어체계에 저항하고, 번성하며 질병을 발생시킨다. 이를 흔히 감염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또 크기가 작아 병원체들은 때때로 미생물 또는 세균으로 불린다.
(2) 감염사슬구조
감염의 사슬에서 다양한 연결 고리를 통해 병원체가 질병을 어떻게 퍼뜨리는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병원체가 감염사슬구조를 통해 똑같은 방식으로 움직이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사슬 안에 있는 다양한 연결 고리들이 깨지기 때문이다.
병인체 : 감염사슬의 첫 번째 고리는 질병을 야기하는 병인체이다. 일부 병인체들은 매우 악성이어서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 같은 심각한 감염성 질환을 일으키지만, 다른 병인체들은 일반 감기같이 가벼운 감염성 질환을 발생시킨다.
병원소 : 감염성 병인체들은 생존하기 바람직한 환경의 지원과 보호를 받아야 생존할 수 있다. 이 환경은 감염사슬의 두 번째 고리를 이루고 있으며 병원소라고 한다. 보통 감염성 질병에서, 병원성 미생물이 살고 있는 병원소는 이미 감염된 사람들의 체내이다. 여기서 병인체들은 다른 사람에게 퍼지기 전에 먼저 번성한다. 감염된 사람들은 특정 질환 병원체들의 숙주가 된다.
출구 : 다른 사람들에게 병을 일으키기 위해서 병원체들은 그들의 병원소를 떠나야 한다. 감염사슬의 세 번째 연결 고리는 그것을 위한 출구, 즉 병워
1. 2000년대 감염성 질환
1900년대에는 감염성 질환이 사망의 주요 원인이었다. 이런 사망들은 소아마비, 폐결핵, 인플루엔자, 백일해,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같은 질환들을 일으키는 미생물들에 대한 노출의 결과였다. 그러나 중반이 되었을 때, 치료법으로서 항생제들과 예방요법인 백신 접종으로 감염성 질환으로 죽는 사람의 수는 상당히 줄어들었다.
오늘날 우리는 감염성 질환의 새로운 측면을 목격하고 있다. 에이즈는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위협하고 있다. 우리는 폐결핵의 재기 역시 목격하고 있다. 불임에서 자궁감염의 역할을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아동을 완전히 면역화하지 못한 실패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백일해, 소아마비와 다른 심각한 아동기 질환의 복귀의 온상을 마련하고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2. 감염성 질환의 전파
(1) 병원체
전파되는 질병의 경우, 질병을 발생시키는 요소 또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 같은 병원체에 접촉해야만 감염이 된다. 병원체가 인체로 들어왔을 때, 그들은 때때로 인체 방어체계에 저항하고, 번성하며 질병을 발생시킨다. 이를 흔히 감염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또 크기가 작아 병원체들은 때때로 미생물 또는 세균으로 불린다.
(2) 감염사슬구조
감염의 사슬에서 다양한 연결 고리를 통해 병원체가 질병을 어떻게 퍼뜨리는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병원체가 감염사슬구조를 통해 똑같은 방식으로 움직이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사슬 안에 있는 다양한 연결 고리들이 깨지기 때문이다.
병인체 : 감염사슬의 첫 번째 고리는 질병을 야기하는 병인체이다. 일부 병인체들은 매우 악성이어서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 같은 심각한 감염성 질환을 일으키지만, 다른 병인체들은 일반 감기같이 가벼운 감염성 질환을 발생시킨다.
병원소 : 감염성 병인체들은 생존하기 바람직한 환경의 지원과 보호를 받아야 생존할 수 있다. 이 환경은 감염사슬의 두 번째 고리를 이루고 있으며 병원소라고 한다. 보통 감염성 질병에서, 병원성 미생물이 살고 있는 병원소는 이미 감염된 사람들의 체내이다. 여기서 병인체들은 다른 사람에게 퍼지기 전에 먼저 번성한다. 감염된 사람들은 특정 질환 병원체들의 숙주가 된다.
출구 : 다른 사람들에게 병을 일으키기 위해서 병원체들은 그들의 병원소를 떠나야 한다. 감염사슬의 세 번째 연결 고리는 그것을 위한 출구, 즉 병워
추천자료
[여성건강간호학] 여성관련질병(골반내감염, 자궁근종, 자궁외임신, 자궁탈출증, 자궁내막증,...
[생활위생학]감염의 주요 원인이 되는 병원미생물의 종류별 기능
항생제(Antibiotics) 내성문제의 심각성과 감염예방 및 관리
[간호학] Conference 요로 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케이스
성인 간호학 - 염증, 감염, 면역반응 요약
[성인간호학]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 간염바이러스 구분 및 각각의 감염 경로, 급...
성인간호-5가지 간염바이러스 구분,감염경로
[아동] 신증후군, 급성사구체신염, 방광요관 역류, 요로감염 예방수칙
[AIDS] 에이즈의 원인, 감염경로, 증상, 검사, 치료, 예방방안 레포트
식품위생학 공통) 1. 식중독 세균을 감염형과 독소형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2...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 아동기 호흡기 감염의 특징 상기도 문제 A+
[간호학] 외음과 질의 감염
[동서협진과 CASE] 두개내출혈 후 VRE 감염된 여환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