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본문내용
자매 수도회가 Clara, Agnes 자매들에 의해서 설립
- Clara에게 먼저 가난한 생활의 지혜를 St. Clara에게 확신.
창설. Clarisses 혹은 Poor Clares
B. 프란시스코 수도회의 발전
1226년( 프란시스코 소천)에는 6000명의 수도사가 가담.
청빈 운동의 제도화의 논란
수도회에 절대 가난 명령. 규칙의 명령을 불허.
두파( Rigorists & Moderates)
엄수파- 설립자의 지시에 절대 순종
온건파- 상황의 변화가 문자적 해석과 적용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교황 그레고리 9세(1230)- 프란시스코의 유언이 절대적으로 적용될 수는 없다.
- 교황청이 소유권, 사용권은 수도회가 .
엄수파의 반동-- 교회의 계급제도와 유리.
피오르의 요아킴(Joachim of Fiore. 1130-1202)의 주장을 수용
- 성부시대, 성자 시대, 성령
- 1260년에 성자시대가 바뀌고 성령시대가 온다.
- 당시의 엄수파가 당한 어려움은 새로운 시대를 위한 마지막 고난.
- 교황과 교회 지도자들은 성령 시대에는 불필요.
St. Bonaventura가 수도원장이던 시대에는 경건성과 계급 제도에 대한 엄격한 순종을 동시에 주장. 성령파들이 기세를 잃음.
설립자의 기도: “오 예수님이시여. 제가 하늘 아래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게 해 주시고 남들로부터 구제받은 최소한의 물질을 통해 생명을 유지하도록 허락하여 주소서\"
(Francis. Collat( Collation). Monast., 5.)
- 수도원에서 저녁의 성경읽기
프란시스의 규칙은 단순한 것이었다.
각 수도사는 오직 복음에 의한 생활
무소유 -입회 자격을 갖기 위해서는 모두 소유를 다 처분해서 가난한 자들에게 분배후이다.
옷은 두 벌까지.
걸어서 여행.
구걸시의 한계. - 구제 헌금과 악 천후 대비 의복.
프란시스는 그리스도에게서 직접 받았다는 이유로 교황 호노리우스 3세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한 단어도 고치기를 거부하였다.
프란시스 - “완전한 희열은 기적 이사를 행하거나 병자를 고치거나 귀신을 쫓0때거냐 죽은 자를 살리는 데 있지 않다. 모든 지식과 학문에 달려 있는 정도 아니며, 세상을 개종시킬 수 있는 유려한 언변에 좌우되는 것도 아니다. 단지 모든 역경과 고단과 불의와 처참한 상황 속을 인내와 겸손으로 참고 견디는 데 있다\"
cf. 프란시스칸과 도미니칸의 차이점.
프란시스칸- 생활 모습 자체를 보여주려 함. 이들의 생활모습이 사회의 모습과 차이가 있었고 그 것 자체가 영향력의 근본.
프란시스 수도회는 처음부터 학문과 설교의 중요성을 부정하였으므로 그 전도의 방법은 교종을 통해서가 아니라 모범을 보여 주는 것이어야 했다. 그러나 후에는 저명한 학자들을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Alexander Halesius( 1185-1245)
Bonaventura (1217-1274)
Duns Scotus( 1265-1308)
Roger Bacon( 1214-1294)
William of Ockham( 1300-1350)
-어거스틴 사상을 기초.
- 계시종교와 철학을 구분하여 철학을 신학과 상관없는 자립적인 것.
- 감각적 경험으로 합리적 방법에 이르고자함.
- 반교황적, 반체제적.
(2) 도미니크 수도원 운동
A. 도미니크와 거룩한 전도단.
도미니크 수도회는 전적으로 한 개인의 정신적 산물이었다. 그는 다름 아닌 보통 도미니크(Dominic)라고 부르는 스페인 출신 도밍고 드 구쪼민 (Domingo de Gvzmen)이라는 인물이다.
도미니크(1170-1221)- 서반아의 북부 카스틸리아( Castilia) 지방 출신
Domingo(서), Dominic( 영)
복음적 삶의 강조와 교리 연구 강조
- 이단을 감화 시키기 위해서는 청빈을 문자 그대로 실천.
cf. 프란체스코들과의 차이점.
B. 도미니크 수도회의 발전
거룩한 형제단 창설((1215)
-알비파( Albigenses) 같은 이단 개종을 위해서 거룩한 전도단( Sancta Praedicatio(라); preaching friars(영)을 창설.
교황에 의한 승인( 1216. 교황 Honorius 3세(1216-27))
- 폴케와 도미니크는 교황 이노센트 3세 시절에는 어거스틴파 계율을 채택했다가 후임 교황 호노리우스 3세 시절에 도미니크 수도회로 승인.
툴루즈에서 16명의 수도사가 설교를 무기로 서유럽 전체를 복음화 시키려함.
도미니크의 조직 계획- 종신직인 총수도원장 하에 지방을 통솔하는 부원장.
절대 복종이 강조. 군대같은 기동성 강조. 회원들은 그리스도의 병사들이라고 자임. 수도원에 거주하지 않음. 설교를 통한 개종을 의도.
“전도자 형제단” 명칭 수여( 1218. 공식 명칭. The Order of Preachers)
cf. 알비파 십자군 전쟁.
- * 알비파- 프랑스 남부 도시 Albi를 중심으로 번성. 이원론을 신봉하는 마니교의 한분파.
툴루즈 감독 폴케(Foulques)의 지원
- 교구 십일조의 1/6을 지원
전도자 형제들이 구라파의 명성있는 대학들( 파리와 볼로냐 대학)에 확산되기 시작( 1217)
* 파리 대학( The University of Paris. 1150)
* 볼로냐 대학( The University of Bologna. 1088)
도미니크의 시성( 1234) - 소천 후 13년후에.
1300년경에는 회원수 약 15000명
도미니크 수도회는 학문을 기초로 한 최초의 수도회로써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
Albertus Magnus(1193- 1280)
Thomas Aquinas( 1224-74)
-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을 강조
- 이성, 철학, 교리 연구를 강조
- 교황에 봉사.
- 이단 감시에 적극.
*중세 수도원의 평가
1. 순수한 사도적 신앙과 계승을 도모.
자발적 가난, 자발적 동정, 자발적 복종
2. 사도적 삶에대한 열망은 중세의 낙후된 봉건적 영농생활에 실천적 농장 역할을 감당케 하였다.
노동은 죄의 결과다!
그러나 노동에 대한 칭송이 수도원을 통하여 이뤄졌다.
삼림과 늪지대를 개발. 도로를 만들고, 씨앗과 가축의 품종을 개량. 문맹을 탈피하도록 힘
- Clara에게 먼저 가난한 생활의 지혜를 St. Clara에게 확신.
창설. Clarisses 혹은 Poor Clares
B. 프란시스코 수도회의 발전
1226년( 프란시스코 소천)에는 6000명의 수도사가 가담.
청빈 운동의 제도화의 논란
수도회에 절대 가난 명령. 규칙의 명령을 불허.
두파( Rigorists & Moderates)
엄수파- 설립자의 지시에 절대 순종
온건파- 상황의 변화가 문자적 해석과 적용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교황 그레고리 9세(1230)- 프란시스코의 유언이 절대적으로 적용될 수는 없다.
- 교황청이 소유권, 사용권은 수도회가 .
엄수파의 반동-- 교회의 계급제도와 유리.
피오르의 요아킴(Joachim of Fiore. 1130-1202)의 주장을 수용
- 성부시대, 성자 시대, 성령
- 1260년에 성자시대가 바뀌고 성령시대가 온다.
- 당시의 엄수파가 당한 어려움은 새로운 시대를 위한 마지막 고난.
- 교황과 교회 지도자들은 성령 시대에는 불필요.
St. Bonaventura가 수도원장이던 시대에는 경건성과 계급 제도에 대한 엄격한 순종을 동시에 주장. 성령파들이 기세를 잃음.
설립자의 기도: “오 예수님이시여. 제가 하늘 아래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게 해 주시고 남들로부터 구제받은 최소한의 물질을 통해 생명을 유지하도록 허락하여 주소서\"
(Francis. Collat( Collation). Monast., 5.)
- 수도원에서 저녁의 성경읽기
프란시스의 규칙은 단순한 것이었다.
각 수도사는 오직 복음에 의한 생활
무소유 -입회 자격을 갖기 위해서는 모두 소유를 다 처분해서 가난한 자들에게 분배후이다.
옷은 두 벌까지.
걸어서 여행.
구걸시의 한계. - 구제 헌금과 악 천후 대비 의복.
프란시스는 그리스도에게서 직접 받았다는 이유로 교황 호노리우스 3세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한 단어도 고치기를 거부하였다.
프란시스 - “완전한 희열은 기적 이사를 행하거나 병자를 고치거나 귀신을 쫓0때거냐 죽은 자를 살리는 데 있지 않다. 모든 지식과 학문에 달려 있는 정도 아니며, 세상을 개종시킬 수 있는 유려한 언변에 좌우되는 것도 아니다. 단지 모든 역경과 고단과 불의와 처참한 상황 속을 인내와 겸손으로 참고 견디는 데 있다\"
cf. 프란시스칸과 도미니칸의 차이점.
프란시스칸- 생활 모습 자체를 보여주려 함. 이들의 생활모습이 사회의 모습과 차이가 있었고 그 것 자체가 영향력의 근본.
프란시스 수도회는 처음부터 학문과 설교의 중요성을 부정하였으므로 그 전도의 방법은 교종을 통해서가 아니라 모범을 보여 주는 것이어야 했다. 그러나 후에는 저명한 학자들을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Alexander Halesius( 1185-1245)
Bonaventura (1217-1274)
Duns Scotus( 1265-1308)
Roger Bacon( 1214-1294)
William of Ockham( 1300-1350)
-어거스틴 사상을 기초.
- 계시종교와 철학을 구분하여 철학을 신학과 상관없는 자립적인 것.
- 감각적 경험으로 합리적 방법에 이르고자함.
- 반교황적, 반체제적.
(2) 도미니크 수도원 운동
A. 도미니크와 거룩한 전도단.
도미니크 수도회는 전적으로 한 개인의 정신적 산물이었다. 그는 다름 아닌 보통 도미니크(Dominic)라고 부르는 스페인 출신 도밍고 드 구쪼민 (Domingo de Gvzmen)이라는 인물이다.
도미니크(1170-1221)- 서반아의 북부 카스틸리아( Castilia) 지방 출신
Domingo(서), Dominic( 영)
복음적 삶의 강조와 교리 연구 강조
- 이단을 감화 시키기 위해서는 청빈을 문자 그대로 실천.
cf. 프란체스코들과의 차이점.
B. 도미니크 수도회의 발전
거룩한 형제단 창설((1215)
-알비파( Albigenses) 같은 이단 개종을 위해서 거룩한 전도단( Sancta Praedicatio(라); preaching friars(영)을 창설.
교황에 의한 승인( 1216. 교황 Honorius 3세(1216-27))
- 폴케와 도미니크는 교황 이노센트 3세 시절에는 어거스틴파 계율을 채택했다가 후임 교황 호노리우스 3세 시절에 도미니크 수도회로 승인.
툴루즈에서 16명의 수도사가 설교를 무기로 서유럽 전체를 복음화 시키려함.
도미니크의 조직 계획- 종신직인 총수도원장 하에 지방을 통솔하는 부원장.
절대 복종이 강조. 군대같은 기동성 강조. 회원들은 그리스도의 병사들이라고 자임. 수도원에 거주하지 않음. 설교를 통한 개종을 의도.
“전도자 형제단” 명칭 수여( 1218. 공식 명칭. The Order of Preachers)
cf. 알비파 십자군 전쟁.
- * 알비파- 프랑스 남부 도시 Albi를 중심으로 번성. 이원론을 신봉하는 마니교의 한분파.
툴루즈 감독 폴케(Foulques)의 지원
- 교구 십일조의 1/6을 지원
전도자 형제들이 구라파의 명성있는 대학들( 파리와 볼로냐 대학)에 확산되기 시작( 1217)
* 파리 대학( The University of Paris. 1150)
* 볼로냐 대학( The University of Bologna. 1088)
도미니크의 시성( 1234) - 소천 후 13년후에.
1300년경에는 회원수 약 15000명
도미니크 수도회는 학문을 기초로 한 최초의 수도회로써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
Albertus Magnus(1193- 1280)
Thomas Aquinas( 1224-74)
-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을 강조
- 이성, 철학, 교리 연구를 강조
- 교황에 봉사.
- 이단 감시에 적극.
*중세 수도원의 평가
1. 순수한 사도적 신앙과 계승을 도모.
자발적 가난, 자발적 동정, 자발적 복종
2. 사도적 삶에대한 열망은 중세의 낙후된 봉건적 영농생활에 실천적 농장 역할을 감당케 하였다.
노동은 죄의 결과다!
그러나 노동에 대한 칭송이 수도원을 통하여 이뤄졌다.
삼림과 늪지대를 개발. 도로를 만들고, 씨앗과 가축의 품종을 개량. 문맹을 탈피하도록 힘
추천자료
루터의 두 왕국론
신학자는 시대안에, 神은 시대너머에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을 읽고
자연법과 계몽주의 사상이 기독교에 미친 영향
종교개혁사상 입문
어거스틴의 신 개념
[장로교회][장로교회 예배순서][장로교회 정치][미국 장로교회][한국 장로교회]장로교회의 역...
[성경해석][성서해석]성경해석(성서해석)의 시대별 특징과 요소, 성경해석(성서해석)의 비개...
[종교개혁]종교개혁의 개념, 종교개혁의 원인, 종교개혁의 교육론, 종교개혁과 가톨릭, 종교...
칼빈과어거스틴
[역사해석][역사][해석][역사해석 과정][역사해석 중요성][역사해석과 신학][역사해석과 데이...
존 칼빈 (John Calvi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