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폐기물이란 무엇인가?
2. 핵폐기물의 종류 및 성질
3. 저장 방법 및 그 안정성
4. 외국의 예-미국,대만
5. 한국에서 적당한 저장 방법 및 저장 장소.
2. 핵폐기물의 종류 및 성질
3. 저장 방법 및 그 안정성
4. 외국의 예-미국,대만
5. 한국에서 적당한 저장 방법 및 저장 장소.
본문내용
, 깡통공장이라고 속여 건설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허술한 핵폐기장 운영으로 인해 핵폐기물 드럼통이 부서지는 등의 사고가 연이으면서 방사능이 누출되었고, 이로 인한 암, 백혈병 등의 발병자가 증가하면서 의심을 가진 지역주민들에 의해 그것이 핵폐기장이라는 것이 밝혀지게 된다. 이에 섬 주민들은 1988년 처음으로 핵폐기장에 반대하는 집회를 갖고 란위섬에서 핵폐기물을 이동시킬 것을 주장한다.
여기에 애초부터 많지 않은 저장용량으로 지어진 란위섬 핵폐기장이 96년 포화됨에 따라 대만전력공사는 지역주민들에게 란위섬의 핵폐기물을 다른 곳으로 이전할 것을 약속하였다. 하지만 97년 대만핵폐기물의 북한 수출이 좌절된 이후, 대만은 해외는 물론 자국 내에서도 마땅히 이전할 부지를 찾지 못하고 있다.
2000년과 2001년에는 대만의 핵폐기물을 러시아로 수출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으나 대만원자력에너지위원회에서는 이 사실을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러시아는 자국내 핵폐기물 재처리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전 세계 3개국중의 하나이며, 최근 들어 재처리를 하기 위해 반입한 핵폐기물을 영구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국 대만은 지금 이 순간에도 핵폐기물에 대한 처리방안을 찾지 못한 상태에서 핵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하고 또 가동하고 있다. 20여년간 핵폐기장으로 인해 고통받았던 것은 대만내 소수인종이었던 타오민족 이었고 이로 인한 혜택을 누린 것은 대만 본섬 주민들이었다. 하지만 핵정책이 전환되어 핵폐기물 생산이 중단되지 않는다면 핵폐기물로 인한 위협은 전 세계적이며 전 세대에 걸친 문제로 확장될 것이다.
- http://negohyang.org/index/baroalja.htm#1
5. 한국에서 적당한 저장 방법 및 저장 장소.
위에서 언급했듯이 우리 나라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방사성폐기물은 방사능이 낮은 중저준위폐기물이다. 플루토늄이 들어있지도 않고 반감기가 수 만년이나 되는 방사성물질도 없다. 대부분이 반감기 30년 이하인 방사성 물질이고 약 300년 정도만 관리하면 방사선이 거의 나오지 않는 일반폐기물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핵 저분장을 지어 그곳에 보관해도 크게 위험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있다.
핵 처분장의 처분 방식에는 크게 천층처분과 심층처분으로 나뉘는데 이는 세계 여러 나라들의 제각기 자기 나라의 특성에 맞는 처분방식을 택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심층처분방식으로 관리할 계획으로 부지를 물색 중에 있다. 그리고 지난 2월4일 정부는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후보지를 발표했다. 동해안 울진과 영덕, 서해안 영광과 고창이 대상 후보지다. 이들 지역에 대해선 향후 정밀 지질조사와 환경영향평가를 하고 주민협의를 통해 내년 3월께 동해안과 서해안에 각기 한 곳씩 최종부지를 선정하게 된다.
- http://www.khnp.co.kr/develop/energy/know-8.htm
- http://midamilbo.netian.com/사0030225방사.htm
- http://negohyang.org/index/baroalja.htm#1
여기에 애초부터 많지 않은 저장용량으로 지어진 란위섬 핵폐기장이 96년 포화됨에 따라 대만전력공사는 지역주민들에게 란위섬의 핵폐기물을 다른 곳으로 이전할 것을 약속하였다. 하지만 97년 대만핵폐기물의 북한 수출이 좌절된 이후, 대만은 해외는 물론 자국 내에서도 마땅히 이전할 부지를 찾지 못하고 있다.
2000년과 2001년에는 대만의 핵폐기물을 러시아로 수출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으나 대만원자력에너지위원회에서는 이 사실을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러시아는 자국내 핵폐기물 재처리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전 세계 3개국중의 하나이며, 최근 들어 재처리를 하기 위해 반입한 핵폐기물을 영구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국 대만은 지금 이 순간에도 핵폐기물에 대한 처리방안을 찾지 못한 상태에서 핵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하고 또 가동하고 있다. 20여년간 핵폐기장으로 인해 고통받았던 것은 대만내 소수인종이었던 타오민족 이었고 이로 인한 혜택을 누린 것은 대만 본섬 주민들이었다. 하지만 핵정책이 전환되어 핵폐기물 생산이 중단되지 않는다면 핵폐기물로 인한 위협은 전 세계적이며 전 세대에 걸친 문제로 확장될 것이다.
- http://negohyang.org/index/baroalja.htm#1
5. 한국에서 적당한 저장 방법 및 저장 장소.
위에서 언급했듯이 우리 나라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방사성폐기물은 방사능이 낮은 중저준위폐기물이다. 플루토늄이 들어있지도 않고 반감기가 수 만년이나 되는 방사성물질도 없다. 대부분이 반감기 30년 이하인 방사성 물질이고 약 300년 정도만 관리하면 방사선이 거의 나오지 않는 일반폐기물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핵 저분장을 지어 그곳에 보관해도 크게 위험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있다.
핵 처분장의 처분 방식에는 크게 천층처분과 심층처분으로 나뉘는데 이는 세계 여러 나라들의 제각기 자기 나라의 특성에 맞는 처분방식을 택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심층처분방식으로 관리할 계획으로 부지를 물색 중에 있다. 그리고 지난 2월4일 정부는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후보지를 발표했다. 동해안 울진과 영덕, 서해안 영광과 고창이 대상 후보지다. 이들 지역에 대해선 향후 정밀 지질조사와 환경영향평가를 하고 주민협의를 통해 내년 3월께 동해안과 서해안에 각기 한 곳씩 최종부지를 선정하게 된다.
- http://www.khnp.co.kr/develop/energy/know-8.htm
- http://midamilbo.netian.com/사0030225방사.htm
- http://negohyang.org/index/baroalja.htm#1
추천자료
쓰레기 및 감염성 폐기물 처리 지침
핵의 정의 및 장단점과 관련 사례에 대한 대책 마련
[북한][미국][핵무기][미사일위협][미사일방어체제][동북아안정][미사일][주한미군][남북관계...
대학교 교내 폐기물 처리 및 실험
원전수거물(방사성 폐기물) 처분장과 주변 환경오염 문제
네덜란드, 독일, 오스트리아의 폐기물처리 정책 및 관리
[핵][세포핵][세포의 핵]핵(세포핵, 세포의 핵) 특징, 핵(세포핵, 세포의 핵) 분열, 핵(세포...
환경보건학-8(폐기물관리및건강영향)
[재활용][음식물쓰레기][가축분뇨][냉장고][머리카락][의복][자동차]음식물쓰레기(유기성 폐...
도시행정 환경문제 - 폐기물로 이에 우리는 음식물 쓰레기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 처리방...
[행정기획론] 폐기물에너지 자원화 - 기획 사례 조사
핵 확산과 국제 테러리즘(Terrorism)의 위험성 (핵무기와 테러의 위험성)
생태환경 관련 주요 문제 [인간수명 단축문제, 주거환경의 파괴문제, 공해방지시설과 폐기물...
핵발전소를 없애면 경제가 좋아지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