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성만찬 예배회복의 필요성
2.성만찬의 의미
3.성만찬의 기원
4.성만찬의 다양한 이해
5.종교 개혁가들의 성만찬
6.성만찬 예배 회복의 필요성
7.토착화의 모색
8.리마예식서
9.한국교회 성만찬 예문
2.성만찬의 의미
3.성만찬의 기원
4.성만찬의 다양한 이해
5.종교 개혁가들의 성만찬
6.성만찬 예배 회복의 필요성
7.토착화의 모색
8.리마예식서
9.한국교회 성만찬 예문
본문내용
us(흰색)에서 유래한 것으로 그리스도의 순결과 빛을 상징한다. 이것은 가장 오래된 예복으로서 11C까지 모든 예배를 위한 성직자의 예복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성만찬의 경우에는 alb 위에다 체스유블(chasuble)을 입었다.
체스유블(chasuble 제의복): 주요 의식을 위해 입는 옷으로서 alb와 영대위에 입는 판초나 망또 모양의 예복으로 소매 없이 판초 모양으로 넓게 만들어 졌다. 여기서 넓은 것은 하나님의 포옹을 상징하는데 즉 하나님의 은혜의 충성함과 거룩한 만찬의 충만함을 표징한다. 전통적으로 이 예복은 주께서 십자가에 달리시기 전에 입었던 왕의 옷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 자체가 깊은 뜻을 표상해 주기 때문에 그 위에 장식물이 부착되지 않았고, 다만 절기에 따라 색을 달리하여 사용하였다.
영대(stole): '그리스도의 복종의 멍에'를 상징한다. 안수 받은 성직자가 alb 나 써플라스(surplice) 위에 영대를 둘렀다. 영대는 안수의 표상이므로 평신도가 사용해서는 안되는 것이며 그 날 교회력에 따라 색깔을 달리하였다. 세례시 사용되는 영대는 한쪽은 흰색, 다른 쪽은 보라색으로 되어있다.
검정색 까운(black gown): 16C 교수, 법관, 관리, 성직자들이 입었던 학위복 및 외출복이었다.
캐석(cassock): 처음에는 성직자들의 평상복이었으나 예복으로 입기 위해 기본적으로 입는 의상이 되었다.
3)성만찬 집기
고배, 발, 대접 등 흙의 재료와 선의 입체감이나 조선조 백자의 예술적 표현을 더해, 그리스도교 성만찬의 상징성을 보다 잘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흙은 생명의 근원, 처음과 나중 즉 생명의 영원성을 상징한다.
8.리마예식서
리마 예식서는 그동안에 분열된 교회를 갱신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만 더불어 교회의 일치를 위한 한 방법으로 성만찬을 통하여 신학적 공감대를 설명하려는 데 주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그 순서는 아래와 같다.
1)개회 예전 (Liturgy of entrance)
개회찬송과 인사(입당송과 인사)
죄의 고백(참회)
용서의 선언(사죄경)
자비의 언도(자비송 = kyrie)
영광송(대 영광송)
2)말씀의 예전(Liturgy of the word)
오늘의 기도(본기도)
하나님의 말씀 선포
구약성서 봉독, 명상의 시편, 사도서신 봉독, 할렐루야 영창, 복음서 봉독,
설교(제1독서, 화답시편, 제2독서, 할레루야와 성구,복음서, 강론)
신앙고백
온 교회와 세계를 위한 중보 기도(보편 기도,신자들의 기도)
3)성찬의 예전(Liturgy of Eucharist)
준비 기원 (예물봉헌)
인사의 교환(대화 형식의 서대한 기도 권고)
처음 기원(감사송), 창조와 구원과 성화의 은혜에 대한 감사기도
삼성창 (거룩하시다)
성령임재의 기원Ⅰ
-성령이여 오시어 빵과 포도주를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되도록 해주십사고 빈다.
성만찬 제정사
-그리스도께서 성찬의 성례전을 제정하신 말씀들로서 신약성서의 전승에 근거한다.
기념사(기념 기도- anamnesis)
-그리스도의 구원, 고난, 죽음, 부활 및 승천을 기억하고 아울러 교회를 창립한 성령 강림 사건을 기억한다.
성령 임재의 기원 Ⅱ
-성령께서 오시어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들의 친교, 그리스도인들 상호간의 친교를 이룩해 주십사고 빈다.
추모의 기원(간청기도 = intercessions)
-교회를 위해서 기도하고 살아계신 분들과 돌아 가신 분들의 구원을 위해 기도한다.
주의 기도
평화의 인사
분 병례(빵 나눔)
하나님의 어린 양
성만찬에의 참여(영성체)
-그리스도의 몸인 빵을 먹고 그리스도의 피인 포도주를 마심으로써 그리스도와의 친교를 도모함과 아울러 그리스도인들 서로 간의 친교도 도모 한다.
감사의 기도(영성체 후 기도)
축복 기도와 파견
이상과 같은 리마 예식서는 개신교 측에서는 복잡한 예식이다. 이 예식서의 간소화의 가능성은 상황과 교파 본래적 전통에 비추어 충분히 있다.
9.한국교회 성만찬 예문
1)카톨릭 미사 통상문
개회식
입당송 / 인사 / 참회 / 자비송 / 대영광송 / 본기도
말씀의 전례
성경봉독 1-구약 / 성경봉독 2-서신서 / 복음서 축복 / 복음서 낭독 / 강론 /
신앙고백 / 신자들의 기도
성찬의 전례
봉헌송 / 빵을 바치는 기도, 포도주를 바치는 기도 / 정결의 기도-이어서 향을 드리고 손을 씻는다.
기도에의 초대 / 봉헌기도 / 감사송-인사의 교환, 감사송, 삼성창이 이어진다.
성찬기도-성찬제정사, 기념사, 성령임재의 기원
성찬식
주의기도/ 평화의 기도 / 천주의 어린양-이후 영성체를 받는 기도를 드린다. /
영성체-영성체를 보여주며 그리스도의 몸과 피임을 선언한다. / 영성체송 /
회중의 영성체-영성체가 마무리 되면 기도로 성만찬을 마친다.
페회식
공지사항 / 파견인사
2)성공회 미사
말씀의 전례
입당찬미 / 개회기도 / 키리에 / 영광송 / 인사 / 본기도 / 구약성경 / 서신성경 /
복음성경 / 설교 / 니케이신경 / 신자들의 기도 / 십계명 / 죄의고백:죄의 고백후 잠시 묵상의 시간
성찬의 전례
평화의 인사 / 봉헌례 / 성찬기도-인사와 감사송, 삼성창, 축성기도가 이어진다 /
성찬제정사, 기념사, 성령임재의 기원 / 주의 기도 / 천주의 어린양-이때 빵을 뗀다. /
성찬에의 초대-참례자를 향해 성체와 보혈을 든다 / 사제의 영성체 / 명상후 기도 /
축복기도
3)대한예수교 장로회(통합) 성만찬 순서
신앙고백 / 성찬찬송 / 제정의 말씀 / 성령임재의 기원 / 떡을 뗌 / 참예선언 /
떡을 받음 / 잔을 부음 / 참예선언 / 찬을 받음 / 감사의 기도 / 감사 찬송 / 파송의 말씀
축도 / 후주-성도의 교제
4)기독교 대한 감리회 성찬문 예문
묵도 / 성경 / 기도-묵사와 회중이 함께 / 초청의 말씀(예식사) / 통성기도 /
기도-주례목사가 기도 / 사죄와 위로의 말씀-성경말씀을 인용하여 사죄와 위로를 말한다.
성결의 기도-떡과 포도주를 성결케 하는 기도 /
주기도-목사가 먼저 떡과 포도주를 먹고 교인들과 같이 주기도를 한다. /
찬송 - 성찬을 받기 위해 마음의 준비를 위한 찬송 / 성찬 분급 /
기도 - 성찬을 베푼 후 감사기도 / 송영 / 축도
체스유블(chasuble 제의복): 주요 의식을 위해 입는 옷으로서 alb와 영대위에 입는 판초나 망또 모양의 예복으로 소매 없이 판초 모양으로 넓게 만들어 졌다. 여기서 넓은 것은 하나님의 포옹을 상징하는데 즉 하나님의 은혜의 충성함과 거룩한 만찬의 충만함을 표징한다. 전통적으로 이 예복은 주께서 십자가에 달리시기 전에 입었던 왕의 옷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 자체가 깊은 뜻을 표상해 주기 때문에 그 위에 장식물이 부착되지 않았고, 다만 절기에 따라 색을 달리하여 사용하였다.
영대(stole): '그리스도의 복종의 멍에'를 상징한다. 안수 받은 성직자가 alb 나 써플라스(surplice) 위에 영대를 둘렀다. 영대는 안수의 표상이므로 평신도가 사용해서는 안되는 것이며 그 날 교회력에 따라 색깔을 달리하였다. 세례시 사용되는 영대는 한쪽은 흰색, 다른 쪽은 보라색으로 되어있다.
검정색 까운(black gown): 16C 교수, 법관, 관리, 성직자들이 입었던 학위복 및 외출복이었다.
캐석(cassock): 처음에는 성직자들의 평상복이었으나 예복으로 입기 위해 기본적으로 입는 의상이 되었다.
3)성만찬 집기
고배, 발, 대접 등 흙의 재료와 선의 입체감이나 조선조 백자의 예술적 표현을 더해, 그리스도교 성만찬의 상징성을 보다 잘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흙은 생명의 근원, 처음과 나중 즉 생명의 영원성을 상징한다.
8.리마예식서
리마 예식서는 그동안에 분열된 교회를 갱신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만 더불어 교회의 일치를 위한 한 방법으로 성만찬을 통하여 신학적 공감대를 설명하려는 데 주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그 순서는 아래와 같다.
1)개회 예전 (Liturgy of entrance)
개회찬송과 인사(입당송과 인사)
죄의 고백(참회)
용서의 선언(사죄경)
자비의 언도(자비송 = kyrie)
영광송(대 영광송)
2)말씀의 예전(Liturgy of the word)
오늘의 기도(본기도)
하나님의 말씀 선포
구약성서 봉독, 명상의 시편, 사도서신 봉독, 할렐루야 영창, 복음서 봉독,
설교(제1독서, 화답시편, 제2독서, 할레루야와 성구,복음서, 강론)
신앙고백
온 교회와 세계를 위한 중보 기도(보편 기도,신자들의 기도)
3)성찬의 예전(Liturgy of Eucharist)
준비 기원 (예물봉헌)
인사의 교환(대화 형식의 서대한 기도 권고)
처음 기원(감사송), 창조와 구원과 성화의 은혜에 대한 감사기도
삼성창 (거룩하시다)
성령임재의 기원Ⅰ
-성령이여 오시어 빵과 포도주를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되도록 해주십사고 빈다.
성만찬 제정사
-그리스도께서 성찬의 성례전을 제정하신 말씀들로서 신약성서의 전승에 근거한다.
기념사(기념 기도- anamnesis)
-그리스도의 구원, 고난, 죽음, 부활 및 승천을 기억하고 아울러 교회를 창립한 성령 강림 사건을 기억한다.
성령 임재의 기원 Ⅱ
-성령께서 오시어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들의 친교, 그리스도인들 상호간의 친교를 이룩해 주십사고 빈다.
추모의 기원(간청기도 = intercessions)
-교회를 위해서 기도하고 살아계신 분들과 돌아 가신 분들의 구원을 위해 기도한다.
주의 기도
평화의 인사
분 병례(빵 나눔)
하나님의 어린 양
성만찬에의 참여(영성체)
-그리스도의 몸인 빵을 먹고 그리스도의 피인 포도주를 마심으로써 그리스도와의 친교를 도모함과 아울러 그리스도인들 서로 간의 친교도 도모 한다.
감사의 기도(영성체 후 기도)
축복 기도와 파견
이상과 같은 리마 예식서는 개신교 측에서는 복잡한 예식이다. 이 예식서의 간소화의 가능성은 상황과 교파 본래적 전통에 비추어 충분히 있다.
9.한국교회 성만찬 예문
1)카톨릭 미사 통상문
개회식
입당송 / 인사 / 참회 / 자비송 / 대영광송 / 본기도
말씀의 전례
성경봉독 1-구약 / 성경봉독 2-서신서 / 복음서 축복 / 복음서 낭독 / 강론 /
신앙고백 / 신자들의 기도
성찬의 전례
봉헌송 / 빵을 바치는 기도, 포도주를 바치는 기도 / 정결의 기도-이어서 향을 드리고 손을 씻는다.
기도에의 초대 / 봉헌기도 / 감사송-인사의 교환, 감사송, 삼성창이 이어진다.
성찬기도-성찬제정사, 기념사, 성령임재의 기원
성찬식
주의기도/ 평화의 기도 / 천주의 어린양-이후 영성체를 받는 기도를 드린다. /
영성체-영성체를 보여주며 그리스도의 몸과 피임을 선언한다. / 영성체송 /
회중의 영성체-영성체가 마무리 되면 기도로 성만찬을 마친다.
페회식
공지사항 / 파견인사
2)성공회 미사
말씀의 전례
입당찬미 / 개회기도 / 키리에 / 영광송 / 인사 / 본기도 / 구약성경 / 서신성경 /
복음성경 / 설교 / 니케이신경 / 신자들의 기도 / 십계명 / 죄의고백:죄의 고백후 잠시 묵상의 시간
성찬의 전례
평화의 인사 / 봉헌례 / 성찬기도-인사와 감사송, 삼성창, 축성기도가 이어진다 /
성찬제정사, 기념사, 성령임재의 기원 / 주의 기도 / 천주의 어린양-이때 빵을 뗀다. /
성찬에의 초대-참례자를 향해 성체와 보혈을 든다 / 사제의 영성체 / 명상후 기도 /
축복기도
3)대한예수교 장로회(통합) 성만찬 순서
신앙고백 / 성찬찬송 / 제정의 말씀 / 성령임재의 기원 / 떡을 뗌 / 참예선언 /
떡을 받음 / 잔을 부음 / 참예선언 / 찬을 받음 / 감사의 기도 / 감사 찬송 / 파송의 말씀
축도 / 후주-성도의 교제
4)기독교 대한 감리회 성찬문 예문
묵도 / 성경 / 기도-묵사와 회중이 함께 / 초청의 말씀(예식사) / 통성기도 /
기도-주례목사가 기도 / 사죄와 위로의 말씀-성경말씀을 인용하여 사죄와 위로를 말한다.
성결의 기도-떡과 포도주를 성결케 하는 기도 /
주기도-목사가 먼저 떡과 포도주를 먹고 교인들과 같이 주기도를 한다. /
찬송 - 성찬을 받기 위해 마음의 준비를 위한 찬송 / 성찬 분급 /
기도 - 성찬을 베푼 후 감사기도 / 송영 / 축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