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청소년소비자란?
- 청소년소비의 특징
1. 개성추구와 유행추종
2. 감각적, 외모지향적
3. 즉흥적, 충동적
4. 또래문화
5. 과시소비
- 청소년의 소비문화가 학교에서는 어떻게 통용되는가?
- 청소년 소비문화의 문제점
- 청소년 소비문화의 교육접근
Ⅲ. 마무리
Ⅳ. 참고문헌
Ⅱ. 본론
- 청소년소비자란?
- 청소년소비의 특징
1. 개성추구와 유행추종
2. 감각적, 외모지향적
3. 즉흥적, 충동적
4. 또래문화
5. 과시소비
- 청소년의 소비문화가 학교에서는 어떻게 통용되는가?
- 청소년 소비문화의 문제점
- 청소년 소비문화의 교육접근
Ⅲ. 마무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새로운 것을 계속 추구하며, 그로 인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의 수명주기도 짧아지는 추세라고 한다.
청소년 61% \"갖고 싶으면 일단 산다\"
청소년 10명 가운데 6명이 충동구매 성향을 보이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신용회복위원회가 전국 고등학교 3학년생 8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갖고 싶은 것은 일단 사고 본다\'는 항목에 \'자주 그렇다\' 또는 \'보통이다\'라고 답한 비율이 전체의 61%로 나타났습니다.
또 \'용돈을 초과해서 사고 싶은 물건을 산다\'는 항목에도 72.1%가 그렇다고 응답했고, \'광고나 유행, 친구를 따라 산다\'는 비율도 80%에 달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지불수단에 관한 질문에서는 사이버머니라는 응답이 67.3%로 가장 높았습니다.
신용 회복 위원회 측은 그러나 용돈기입장을 매일 쓰거나, 정기적으로 저금을 하는 청소년은 각각 5.4%, 6.7%에 그쳤다며, 청소년들의 소비습관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최종편집 : 2006-02-06 14:05 최선호 기자 choish@sbs.co.kr
4. 또래문화
또래 문화적 소비특징은 제품의 필요성 보다는 또래집단의 문화에 영향을 받는 소비 형태로 이는 기성세대보다 소비의 중심이 청소년층에서 이뤄지는 경향이 크다. 이에 대표적인 첫 번째, 예는 매월 14일 마다 존재하는 \'day\'이다. 2월 14일은 기성세대도 잘 알고 있는 발렌타인데이 인데, 이렇게 기성서대가 알고 있는 day의 문화를 제외 하고도 수많은 day가 존재하고 있다. 3월 14일은 화이트데이로 남성이 사랑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는 날, 4월 14일은 블랙데이로 화이트데이, 발렌타인데이에 사탕 초콜릿을 받지 못한 솔로들이 자장면을 먹으면서 위로 받는 날, 5월 15일은 로즈데이로 장미를 선물하는 날 11월 11일은 빼빼로 데이로 빼빼로를 선물하는 날 등 각종 데이가 존재하며, 이런 각종 데이에 중심적 소비의 주체들은 청소년이다.
두 번째는 미디어 소비인데, 이는 청소년의 특성상 대충매체와 인터넷을 빼놓을 수 없다는 점에 있다. 이는 싸이월드에서 도토리를 구매하여 자신의 미니홈피를 꾸미며 그로써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소비를 하는 경향도 두드러진다.
5. 과시소비
청소년이 선호하는 상표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매우 높다. 고가의 제품, 특정 브랜드 제품의 선호와 소유를 통해 자신의 지위나 경제력을 과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특정 상품의 선호와 소비는 청소년 집단의 규범적 표준으로 여겨지게 된다. 이것이 과시소비성향 최윤형(2003), “청소년 소비자의 명품 구매 행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이라고 할 수 있다. 상품의 용도나, 효율성 보다는 상징성을 통하여 지위를 획득하거나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타인에게 부를 과시하는 것이다. 즉, 물건을 사용하면서 얻는 기능적인 가치 때문에 효용을 얻는 것이 아니라 그 재화를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는 것을 남에게 보임으로써 남들이 자신의 부에 반응하는 것에서 만족을 얻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청소년의 과시소비 성향은 다음의 통계조사의 결과가 보여준다. 표에서 보면 청소년들의 상품선택의 기준 중 브랜드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가지고 있고(40.5%) 두 번째로 품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N
%
브랜드 이미지
206
40.5
디자인과 색상
83
16.3
품질
71
13.9
인지도
43
8.4
소유하는 만족감
40
7.9
가격
32
6.4
희소성
9
1.8
유행성
9
1.8
로고와 심벌마크
7
1.4
신뢰성
5
1.0
원산지(이태리,프랑스 등)
2
0.4
광고, 판촉활동
2
0.4
계
509
100
\"명품에 취한 한국사회…\"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071222181307522&p=newsis
뉴시스 | 기사입력 2007.12.22 18:13
◇ 초·중·고생…\"명품 아니면 안 돼\"
한국사회의 명품 선호도는 연령, 성별, 지역을 가리지 않고 신드룸이 만연해 있다.
일부 부유층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해외명품 구입은 이제 직장인, 대학생은 물론 초등학생까지 명품 바이러스에 잇달아 감염됐다. 일부 여고생들이 명품 구입을 위해 계를 만든다는 얘기는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다.
또 초등학생들은 고가의 명품을 구입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진짜와 똑같이 만든 모조품이라도 구입하기 위해 많은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명품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사회 전체에 만연하면서 10대들이 이제는 가짜 명품에까지 눈을 돌리고 있다. 청소년들의 이같은 명품 선호 현상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과시욕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고등학교 2학년 이모양(18)은 \"가짜 명품이라도 구입하는 이유는 친구들에게 비싼 명품을 하고 다닌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이 크다\"며 \"제품의 실용성이나 디자인이 뛰어나서 구매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중학교 1학년 윤모양(14)은 \"일단 명품을 하고 다니면 같은 반 친구들이 약간은 부러워하는 시선이 많다\"며 \"명품 구입은 다른 친구들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밝혔다.
배민욱기자 mkbae@newsis.com
- 청소년들의 소비문화가 학교에서는 어떻게 통용되는가?
이러한 소비문화는 분명 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양식은 경제생활의 일부이면서 일상생활의 일부이다. 하지만 이러한 청소년들의 소비가 경제적 생활에 그치고 일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그건 분명 낭비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학교생활 속에서의 그들의 소비문화 통용도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했다. 이는 몇 가지 질문을 토대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름(가명)
성별
나이
학교
용돈
A
남자
19세
춘천기계공고
일주일에 2만원/아르바이트로 충당
B
여자
18세
유봉여고
한 달에 10만원
중고등학교에서는 학생시분을 만들어주는 교복을 입기 때문에 교복으로 인해 그들의 개성을 획일적으로 만들고 있다. 하지만 기성세대에게 모두가 같아 보이는 교복이지만, 학생들 사이에서는 교복에도 유행이 존재하고 있었다. 여학생의 경우는 짧은 스커트, A라인 스커트, 짧은 조끼와
청소년 61% \"갖고 싶으면 일단 산다\"
청소년 10명 가운데 6명이 충동구매 성향을 보이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신용회복위원회가 전국 고등학교 3학년생 8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갖고 싶은 것은 일단 사고 본다\'는 항목에 \'자주 그렇다\' 또는 \'보통이다\'라고 답한 비율이 전체의 61%로 나타났습니다.
또 \'용돈을 초과해서 사고 싶은 물건을 산다\'는 항목에도 72.1%가 그렇다고 응답했고, \'광고나 유행, 친구를 따라 산다\'는 비율도 80%에 달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지불수단에 관한 질문에서는 사이버머니라는 응답이 67.3%로 가장 높았습니다.
신용 회복 위원회 측은 그러나 용돈기입장을 매일 쓰거나, 정기적으로 저금을 하는 청소년은 각각 5.4%, 6.7%에 그쳤다며, 청소년들의 소비습관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최종편집 : 2006-02-06 14:05 최선호 기자 choish@sbs.co.kr
4. 또래문화
또래 문화적 소비특징은 제품의 필요성 보다는 또래집단의 문화에 영향을 받는 소비 형태로 이는 기성세대보다 소비의 중심이 청소년층에서 이뤄지는 경향이 크다. 이에 대표적인 첫 번째, 예는 매월 14일 마다 존재하는 \'day\'이다. 2월 14일은 기성세대도 잘 알고 있는 발렌타인데이 인데, 이렇게 기성서대가 알고 있는 day의 문화를 제외 하고도 수많은 day가 존재하고 있다. 3월 14일은 화이트데이로 남성이 사랑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는 날, 4월 14일은 블랙데이로 화이트데이, 발렌타인데이에 사탕 초콜릿을 받지 못한 솔로들이 자장면을 먹으면서 위로 받는 날, 5월 15일은 로즈데이로 장미를 선물하는 날 11월 11일은 빼빼로 데이로 빼빼로를 선물하는 날 등 각종 데이가 존재하며, 이런 각종 데이에 중심적 소비의 주체들은 청소년이다.
두 번째는 미디어 소비인데, 이는 청소년의 특성상 대충매체와 인터넷을 빼놓을 수 없다는 점에 있다. 이는 싸이월드에서 도토리를 구매하여 자신의 미니홈피를 꾸미며 그로써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소비를 하는 경향도 두드러진다.
5. 과시소비
청소년이 선호하는 상표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매우 높다. 고가의 제품, 특정 브랜드 제품의 선호와 소유를 통해 자신의 지위나 경제력을 과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특정 상품의 선호와 소비는 청소년 집단의 규범적 표준으로 여겨지게 된다. 이것이 과시소비성향 최윤형(2003), “청소년 소비자의 명품 구매 행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이라고 할 수 있다. 상품의 용도나, 효율성 보다는 상징성을 통하여 지위를 획득하거나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타인에게 부를 과시하는 것이다. 즉, 물건을 사용하면서 얻는 기능적인 가치 때문에 효용을 얻는 것이 아니라 그 재화를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는 것을 남에게 보임으로써 남들이 자신의 부에 반응하는 것에서 만족을 얻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청소년의 과시소비 성향은 다음의 통계조사의 결과가 보여준다. 표에서 보면 청소년들의 상품선택의 기준 중 브랜드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가지고 있고(40.5%) 두 번째로 품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N
%
브랜드 이미지
206
40.5
디자인과 색상
83
16.3
품질
71
13.9
인지도
43
8.4
소유하는 만족감
40
7.9
가격
32
6.4
희소성
9
1.8
유행성
9
1.8
로고와 심벌마크
7
1.4
신뢰성
5
1.0
원산지(이태리,프랑스 등)
2
0.4
광고, 판촉활동
2
0.4
계
509
100
\"명품에 취한 한국사회…\"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071222181307522&p=newsis
뉴시스 | 기사입력 2007.12.22 18:13
◇ 초·중·고생…\"명품 아니면 안 돼\"
한국사회의 명품 선호도는 연령, 성별, 지역을 가리지 않고 신드룸이 만연해 있다.
일부 부유층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해외명품 구입은 이제 직장인, 대학생은 물론 초등학생까지 명품 바이러스에 잇달아 감염됐다. 일부 여고생들이 명품 구입을 위해 계를 만든다는 얘기는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다.
또 초등학생들은 고가의 명품을 구입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진짜와 똑같이 만든 모조품이라도 구입하기 위해 많은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명품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사회 전체에 만연하면서 10대들이 이제는 가짜 명품에까지 눈을 돌리고 있다. 청소년들의 이같은 명품 선호 현상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과시욕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고등학교 2학년 이모양(18)은 \"가짜 명품이라도 구입하는 이유는 친구들에게 비싼 명품을 하고 다닌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이 크다\"며 \"제품의 실용성이나 디자인이 뛰어나서 구매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중학교 1학년 윤모양(14)은 \"일단 명품을 하고 다니면 같은 반 친구들이 약간은 부러워하는 시선이 많다\"며 \"명품 구입은 다른 친구들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밝혔다.
배민욱기자 mkbae@newsis.com
- 청소년들의 소비문화가 학교에서는 어떻게 통용되는가?
이러한 소비문화는 분명 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양식은 경제생활의 일부이면서 일상생활의 일부이다. 하지만 이러한 청소년들의 소비가 경제적 생활에 그치고 일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그건 분명 낭비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학교생활 속에서의 그들의 소비문화 통용도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했다. 이는 몇 가지 질문을 토대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름(가명)
성별
나이
학교
용돈
A
남자
19세
춘천기계공고
일주일에 2만원/아르바이트로 충당
B
여자
18세
유봉여고
한 달에 10만원
중고등학교에서는 학생시분을 만들어주는 교복을 입기 때문에 교복으로 인해 그들의 개성을 획일적으로 만들고 있다. 하지만 기성세대에게 모두가 같아 보이는 교복이지만, 학생들 사이에서는 교복에도 유행이 존재하고 있었다. 여학생의 경우는 짧은 스커트, A라인 스커트, 짧은 조끼와
추천자료
[청소년 약물남용][청소년 약물중독][약물중독]청소년 약물남용과 청소년 약물중독의 특징, ...
[청소년약물남용][청소년약물중독][약물중독]청소년약물남용(약물중독)의 특징, 청소년약물남...
[청소년, 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정책, 청소년복지지원법, 청소년문제] 청소년의 특징, 실태,...
[청소년복지]청소년복지(청소년복지정책)의 시대별 특징, 청소년복지(청소년복지정책)의 전개...
[청소년복지][청소년복지정책][청소년복지서비스][청소년복지활동]청소년복지의 특징과 지역...
[청소년복지][지역사회 청소년복지]청소년복지의 의의와 특징, 청소년복지의 접근방법, 지역...
[청소년비행]비행청소년(청소년비행)의 유형, 비행청소년(청소년비행)의 특징, 비행청소년(청...
[청소년보호법][청소년유해물 규제]청소년보호법의 특징, 청소년보호법의 주요내용, 청소년유...
[청소년흡연][청소년흡연 예방과제][금연][담배][흡연]청소년흡연의 특징, 청소년흡연의 현황...
[청소년흡연][비행][청소년흡연의 사례]청소년흡연의 배경, 청소년흡연의 특징, 청소년흡연의...
[청소년 성문제] 청소년 성문제의 배경, 청소년 성문제 특징, 청소년 성문제 사례, 청소년 성...
[가족복지론]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정책의 향후 방향 (청소년복지의 필요성,특징,개념, 선진외...
[청소년문화] 청소년 문화의 속성에 관해서 서술하고 청소년 문화의 특징을 다문화 청소년들...
[문학교육론] 청소년 문학의 개념과 특징 - 청소년 문학에 대한 다양한 정의, 발견적 개념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