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와 무자비
③ 자의와 정의
『일리아드』의 신들은 사소한 이해 관계 때문에 편을 지어 인간사에 개입할 뿐 아니라 자기들끼리 서로 속이고 서로 싸우다가 때로는 다치기도 한다. 적어도 도덕적인 측면에서는 그들은 인간들보다 별로 나을 게 없다. 대체 이러한 신들의 부도덕성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이 문제는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해야만 어느 정도 해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서사시는 귀족계급을 위한 문학이다. 서사시는 귀족계급의 과거의 영광과 생활 감정과 가치관을 이상화한 문학화하는 문학이다. 그러므로 서사시는 귀족계급의 보편적인 도덕적 수준을 넘어설 수 없거니와 또 넘어서서도 안된다. 이 점에 있어서는 인간들 뿐만 아니라 신들도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서사시의 신들은 윤리적인 신들이 아니라 아무런 도덕적 제약도 받지 않는 자유롭고 충만한 생존을 누리는 보다 위해한 인간들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하여 호메로스의 신들이 전적으로 부도덕한 것만은 아니다.
또 한가지 특징은 그들의 성격이 추상적이 아니라 매우 개성적이라는 것이다. 위대한 신들일수록 그 기능에서 해방된 자유로운 개성이다. 이것은 귀족계급의 장인 『일리아드』에서는 귀족의
③ 자의와 정의
『일리아드』의 신들은 사소한 이해 관계 때문에 편을 지어 인간사에 개입할 뿐 아니라 자기들끼리 서로 속이고 서로 싸우다가 때로는 다치기도 한다. 적어도 도덕적인 측면에서는 그들은 인간들보다 별로 나을 게 없다. 대체 이러한 신들의 부도덕성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이 문제는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해야만 어느 정도 해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서사시는 귀족계급을 위한 문학이다. 서사시는 귀족계급의 과거의 영광과 생활 감정과 가치관을 이상화한 문학화하는 문학이다. 그러므로 서사시는 귀족계급의 보편적인 도덕적 수준을 넘어설 수 없거니와 또 넘어서서도 안된다. 이 점에 있어서는 인간들 뿐만 아니라 신들도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서사시의 신들은 윤리적인 신들이 아니라 아무런 도덕적 제약도 받지 않는 자유롭고 충만한 생존을 누리는 보다 위해한 인간들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하여 호메로스의 신들이 전적으로 부도덕한 것만은 아니다.
또 한가지 특징은 그들의 성격이 추상적이 아니라 매우 개성적이라는 것이다. 위대한 신들일수록 그 기능에서 해방된 자유로운 개성이다. 이것은 귀족계급의 장인 『일리아드』에서는 귀족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