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본문내용
서 최후를 맞이함.
*영웅들이 죽은 후 그리스 신화도 끝남.
학습정리
* 아버지 크로노스를 제거한 후, 올림포스의 새 주인이 된 제우스
* 티탄신족에서 올림포스 신들로 권력이동이 이루어진것
* 제우스 형제들은 힘을 합하여 여러 전쟁에서 승리함
* 제우스의 강력한 통치시대 열림
* 사악한 인류의 등장
* 황금시대 → 은의시대 → 청동시대 → 철의시대
학습평가
1. 크로노스의 아들로서, 크로노스를 제압하고 올림포스의 으뜸 신으로 등극하는 신?
⇒ 제우스
2. 제우스의 형제로 바다를 통치하게 될 신의 이름은?
⇒ 포세이돈
3. 청동 인간으로서 영웅시대에까지 살아남아 있었던 자는 누구인가?
⇒ 탈로스
====================================================================
제 3주차 인류를 멸망시킨 대홍수와 이오를 사랑한 제우스
제우스가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다1(제우스의 분노)
-인육을 먹는 아르카디아의 폭군 뤼카온
*성서의 ‘노아의 방주’같은 대홍수 그리스 신화 속에서도 존재
→사악한 인류에 대한 심판
#갈수록 사악해지는 인간들을 대홍수로 멸종시키려는 제우스
#인육을 먹는 잔치를 열었던 아르카디아의 왕 뤼카온의 만행이 결정적 계기가 됨
제우스가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다2(제우스의 분노)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기로 결심한 제우스
* 세상을 불바다로 만들면 불기둥이 올라와 자칫 천궁에 까지 불이 붙을 지도 모른다고 판 단 → 대홍수로 멸망시키기로 결심.
제우스가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다3(새 인류의 조상 데우칼리온과 퓌르라[Pyrrha])
-홍수를 일으키는 제우스의 무서운 명령
* 남풍의 신 노토스, 바다의 신 포세이돈을 동원하여 많은 비가 쏟아지도록 하는 제우스
* 남풍의 신 노토스 → 하늘에 걸린 구름에 손을 대자 많은 비가 쏟아짐
* 바다의 신 포세이돈&강을 다스리는 신들 → 모든 물을 총동원
제우스가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다4(새 인류의 조상 데우칼리온과 퓌르라)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삼지창
* 포세이돈이 삼지창으로 대지를 때림 → 대지가 요동치며 물길이 모두 열림.
* 엄청난 양의 바닷물이 대지를 덮치고 강과 하천은 모두 범람→9일간 지속됨.
* 세상에 남은 것이 아무것도 없음.
제우스가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다5(새 인류의 조상 데우칼리온과 퓌르라)
-두명의 생존자, 데우칼리온과 퓌르라
*모든것이 물속에 잠겼으나 파르나소스 산만 꼭대기를 드러냄
*조그만 배를 타고 꼭대기에 이르는 데우칼리온 & 퓌르라
⇒ 가장 올바르고 의롭게 살아온 믿음이 깊은 사람들
*제우스의 생각을 눈치 챈 프로메테우스의 언질로 미리 배를 준비한 데우칼리온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1(인간들로 변신하는 돌)
-테미스 여신의 충고
* 테미스 여신의 충고를 구하는 데우칼리온&퓌르라
* “너희들 크신 어머니의 뼈를 어깨 너머로 던지거라.”
* 어머니 → 대지, 뼈 → 대지 속의 돌
* 어깨 너머로 돌을 던지는 데우칼리온&퓌르라
구르던 돌의 형태가 변해 사람이 됨
↓
새로운 인류 등장
* 데우칼리온의 돌 → 남자
* 퓌르라의 돌 → 여자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2(인간들로 변신하는 돌)
-프로메테우스의 아들 데우칼리온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3(인간들로 변신하는 돌)
-프로메테우스의 아들 데우칼리온
1. 현 인류의 아버지 데우칼리온은 프로메테우스 아들. 어떤의미가 있을까?
⇒ 제우스의 불방망이에서 인간에게 불을 훔쳐다 준 프로메테우스
2. 에피메테우스와 판도라의 딸 퓌르라. 어떤의미가 있을까?
⇒ 인간에게 불행, 질병, 전쟁 등 나쁜것을 가져다 준 판도라
* 그리스를 건설하게 될 새 인류는 프로메테우스의 자손, 판도라의 자손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4(왕뱀 퓌톤과 아폴론의 신탁)
-왕뱀 퓌톤의 탄생
* 땅의 습기가 햇볕에 뜨거워질 즈음 동물들 저절로 생겨남
* 대지의 여신 → 왕뱀 퓌톤 만들어냄
* 산자락 하나를 덮을 만큼 거대한 퓌톤
* 아폴론의 신탁?
- 영웅들 앞에 나타난 아폴론
그리스 영웅 55인이 아르고 호를 타고 황금양피를 찾으러 흑해의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한 나라 콜키스로 항해할 때, 그들이 흑해 입구의 티니아스 섬에 도달하자, 아폴론 신이 나타난다. 이는 신이 영웅을 돕고 있다는 징표이다.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5(왕뱀 퓌톤과 아폴론의 신탁)
-왕뱀을 죽이는 아폴론
“ 오르페우스는 언젠가 암반 투성이의 파르나소스 산등성이에서 활로 끔찍한 괴물 뱀 델피네스(왕뱀 퓌톤)를 어떻게 죽였는지 노래했다. 아폴론이 아직 수염이 나지 않은 소년이고 자신의 곱슬머리를 뽐내던 시절이었다.”
* 델포이에 자신의 신전을 꾸미기 전, 그곳을 지배하던 왕뱀을 죽인 소년 아폴론
* 제우스의 뜻에 따라 사람으로 변신한 왕뱀의 부인 퓌티아
제우스의 예언을 전달하는 여사제역할
삼각대 모양의 의자에 앉아 상징적 언어로 신탁 내림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6(왕뱀 퓌톤과 아폴론의 신탁)
-아폴론 찬가
* (델포이를 접수하기 위해 퓌톤을 죽일 때) 왕뱀의 독이 모두 빠질 때까지 화살 통 하나는 다 비워야 하는 아폴론
* 님프(파르나소스 산 코리키온 동굴의 요정)들의 응원소리 → 이에이에
le → 쏘다, 이에이에 → 쏴요 쏴
↓
아폴론 찬가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7(왕뱀 퓌톤과 아폴론의 신탁)
-델로스 섬에서 태어난 아폴론
※ 아폴론은 왜 왕뱀 퓌톤을 죽였을까요??
* 제우스와 레토 사이에서 태어난 아폴론 남매(아폴론과 아르테미스)
* 제우스의 아이를 임신한 레토를 질투하는 헤라
* 왕뱀 퓌톤을 만들어 레토를 괴롭히는 헤라
* 뿌리가 없기 때문에 저주를 피할 수 있었던 델로스섬에서 아이를 낳는 레토
* 바다 깊숙이 뿌리를 내리게 하여 은혜를 갚은 제우스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8(왕뱀 퓌톤과 아폴론의 신탁)
- 델로스 섬에서 태어난 아폴론
* 왕뱀의 정복자, 태양의 신 아폴론
* 늘 화살 통을 지니고 다니는 아폴론
* 고대 그리스의 이상적인 남성의 모습
* 마라톤승자의 상징 월계관의 유래- 아폴론이 요정 다프네를
*영웅들이 죽은 후 그리스 신화도 끝남.
학습정리
* 아버지 크로노스를 제거한 후, 올림포스의 새 주인이 된 제우스
* 티탄신족에서 올림포스 신들로 권력이동이 이루어진것
* 제우스 형제들은 힘을 합하여 여러 전쟁에서 승리함
* 제우스의 강력한 통치시대 열림
* 사악한 인류의 등장
* 황금시대 → 은의시대 → 청동시대 → 철의시대
학습평가
1. 크로노스의 아들로서, 크로노스를 제압하고 올림포스의 으뜸 신으로 등극하는 신?
⇒ 제우스
2. 제우스의 형제로 바다를 통치하게 될 신의 이름은?
⇒ 포세이돈
3. 청동 인간으로서 영웅시대에까지 살아남아 있었던 자는 누구인가?
⇒ 탈로스
====================================================================
제 3주차 인류를 멸망시킨 대홍수와 이오를 사랑한 제우스
제우스가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다1(제우스의 분노)
-인육을 먹는 아르카디아의 폭군 뤼카온
*성서의 ‘노아의 방주’같은 대홍수 그리스 신화 속에서도 존재
→사악한 인류에 대한 심판
#갈수록 사악해지는 인간들을 대홍수로 멸종시키려는 제우스
#인육을 먹는 잔치를 열었던 아르카디아의 왕 뤼카온의 만행이 결정적 계기가 됨
제우스가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다2(제우스의 분노)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기로 결심한 제우스
* 세상을 불바다로 만들면 불기둥이 올라와 자칫 천궁에 까지 불이 붙을 지도 모른다고 판 단 → 대홍수로 멸망시키기로 결심.
제우스가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다3(새 인류의 조상 데우칼리온과 퓌르라[Pyrrha])
-홍수를 일으키는 제우스의 무서운 명령
* 남풍의 신 노토스, 바다의 신 포세이돈을 동원하여 많은 비가 쏟아지도록 하는 제우스
* 남풍의 신 노토스 → 하늘에 걸린 구름에 손을 대자 많은 비가 쏟아짐
* 바다의 신 포세이돈&강을 다스리는 신들 → 모든 물을 총동원
제우스가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다4(새 인류의 조상 데우칼리온과 퓌르라)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삼지창
* 포세이돈이 삼지창으로 대지를 때림 → 대지가 요동치며 물길이 모두 열림.
* 엄청난 양의 바닷물이 대지를 덮치고 강과 하천은 모두 범람→9일간 지속됨.
* 세상에 남은 것이 아무것도 없음.
제우스가 대홍수로 인류를 멸망시키다5(새 인류의 조상 데우칼리온과 퓌르라)
-두명의 생존자, 데우칼리온과 퓌르라
*모든것이 물속에 잠겼으나 파르나소스 산만 꼭대기를 드러냄
*조그만 배를 타고 꼭대기에 이르는 데우칼리온 & 퓌르라
⇒ 가장 올바르고 의롭게 살아온 믿음이 깊은 사람들
*제우스의 생각을 눈치 챈 프로메테우스의 언질로 미리 배를 준비한 데우칼리온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1(인간들로 변신하는 돌)
-테미스 여신의 충고
* 테미스 여신의 충고를 구하는 데우칼리온&퓌르라
* “너희들 크신 어머니의 뼈를 어깨 너머로 던지거라.”
* 어머니 → 대지, 뼈 → 대지 속의 돌
* 어깨 너머로 돌을 던지는 데우칼리온&퓌르라
구르던 돌의 형태가 변해 사람이 됨
↓
새로운 인류 등장
* 데우칼리온의 돌 → 남자
* 퓌르라의 돌 → 여자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2(인간들로 변신하는 돌)
-프로메테우스의 아들 데우칼리온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3(인간들로 변신하는 돌)
-프로메테우스의 아들 데우칼리온
1. 현 인류의 아버지 데우칼리온은 프로메테우스 아들. 어떤의미가 있을까?
⇒ 제우스의 불방망이에서 인간에게 불을 훔쳐다 준 프로메테우스
2. 에피메테우스와 판도라의 딸 퓌르라. 어떤의미가 있을까?
⇒ 인간에게 불행, 질병, 전쟁 등 나쁜것을 가져다 준 판도라
* 그리스를 건설하게 될 새 인류는 프로메테우스의 자손, 판도라의 자손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4(왕뱀 퓌톤과 아폴론의 신탁)
-왕뱀 퓌톤의 탄생
* 땅의 습기가 햇볕에 뜨거워질 즈음 동물들 저절로 생겨남
* 대지의 여신 → 왕뱀 퓌톤 만들어냄
* 산자락 하나를 덮을 만큼 거대한 퓌톤
* 아폴론의 신탁?
- 영웅들 앞에 나타난 아폴론
그리스 영웅 55인이 아르고 호를 타고 황금양피를 찾으러 흑해의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한 나라 콜키스로 항해할 때, 그들이 흑해 입구의 티니아스 섬에 도달하자, 아폴론 신이 나타난다. 이는 신이 영웅을 돕고 있다는 징표이다.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5(왕뱀 퓌톤과 아폴론의 신탁)
-왕뱀을 죽이는 아폴론
“ 오르페우스는 언젠가 암반 투성이의 파르나소스 산등성이에서 활로 끔찍한 괴물 뱀 델피네스(왕뱀 퓌톤)를 어떻게 죽였는지 노래했다. 아폴론이 아직 수염이 나지 않은 소년이고 자신의 곱슬머리를 뽐내던 시절이었다.”
* 델포이에 자신의 신전을 꾸미기 전, 그곳을 지배하던 왕뱀을 죽인 소년 아폴론
* 제우스의 뜻에 따라 사람으로 변신한 왕뱀의 부인 퓌티아
제우스의 예언을 전달하는 여사제역할
삼각대 모양의 의자에 앉아 상징적 언어로 신탁 내림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6(왕뱀 퓌톤과 아폴론의 신탁)
-아폴론 찬가
* (델포이를 접수하기 위해 퓌톤을 죽일 때) 왕뱀의 독이 모두 빠질 때까지 화살 통 하나는 다 비워야 하는 아폴론
* 님프(파르나소스 산 코리키온 동굴의 요정)들의 응원소리 → 이에이에
le → 쏘다, 이에이에 → 쏴요 쏴
↓
아폴론 찬가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7(왕뱀 퓌톤과 아폴론의 신탁)
-델로스 섬에서 태어난 아폴론
※ 아폴론은 왜 왕뱀 퓌톤을 죽였을까요??
* 제우스와 레토 사이에서 태어난 아폴론 남매(아폴론과 아르테미스)
* 제우스의 아이를 임신한 레토를 질투하는 헤라
* 왕뱀 퓌톤을 만들어 레토를 괴롭히는 헤라
* 뿌리가 없기 때문에 저주를 피할 수 있었던 델로스섬에서 아이를 낳는 레토
* 바다 깊숙이 뿌리를 내리게 하여 은혜를 갚은 제우스
새로운 인류와 왕뱀 퓌톤이 지상에 생겨나다8(왕뱀 퓌톤과 아폴론의 신탁)
- 델로스 섬에서 태어난 아폴론
* 왕뱀의 정복자, 태양의 신 아폴론
* 늘 화살 통을 지니고 다니는 아폴론
* 고대 그리스의 이상적인 남성의 모습
* 마라톤승자의 상징 월계관의 유래- 아폴론이 요정 다프네를
추천자료
그리스 신화에 나타나는 비극& 비극의 현대적 재해석
그리스 신화의 세계
그리스 신화가 현대사회와 문학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그리스 로마신화를 읽고,,
그리스 신화를 주제로한 회화 7편
그리스 신화를 읽고
그리스 신화를 읽고[장영란]
그리스 신화와 문학
그리스 로마신화에 대해
[문학] 그리스 신화와 그리스 비극의 특징 - [오이디푸스왕 & 안티고네]
그리스 로마신화를 이용한 광고
신화와 철학 - 일리아스, 소포클래스 비극 전집을 통한 그리스 신화의 특징
그리스 로마신화를 읽고
[조선대 그리스 과제] 그리스 신화 - 아킬레우스, 아이네이아스, 헤라클레스, 페르세우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