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완전한 가변성 아이디어를 만듦으로써 그들은 그것을 실험하고 가르칠 수 있도록 했다(Understanding Organizations, 1976:423)
J. M. Burns의 작품 리더십(1978)은 퓰리처상을 받았다. 그 책은 많은 리더십 적인 사고를 특징짓는 심리학이나 사회학의 시각은 갖지 않았다. Burns는 리더십과 역사적 리더들에게 관심을 갖고 있는 철학적인 역사가이다. 그의 책은 철학적 인 에세이와 문체로 쓰였다. 그는 특별히 정치적 리더십에 관심이 있다. 그의 \"변형적 리더십\"의 개념은 아마도 복합성론 시대에 현저하게 나타난 리더십연구의 철학적 요소와 같이 영향력을 끼칠 것이다.
Carbondale 시리즈들(대략 매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리더십 컨퍼런스의 편집물인 6개의 다른 책들)은 가변론성 시대 동안에 약 8년의 기간에 걸쳐 등장했다. 그리고 그것은 배후(back)를 보고 리더십 연구에서 이루어져오고 있는 것들을 획득하였기에 중요한 시리즈들이다. 또한 그것은 새로운 리서치로 가는 방식을 전망하고 지목하고 있다.
동기이론의 영역에서 몇몇 저자들은 가변론성 시대 동안에 중요한 책들을 저술하였다. Abraham Maslow의 Motivation & Personality(1970), Harry Levinson의 Great Jackass Fallacy(1973-위대한 멍텅구리 궤변-), & M. Maccoby의 Gamesman(1978) 이들은 리더십의 동기적인 특질을 다루고 있다 - - 결국은 리더십연구가들을 자극함으로서 윤리학과 철학을 포함한 리더십을 확장시킨 요소, 그리고 Christopher Hodgkinson에 의해 강력히 주장된 개념. 이 시대에는 많은 저명한 사람들이 있다. 여기에 리더십의 복합성은 너무나 명백해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 이 시기의 종국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많은 전문 지식인들이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에 가변성론 시대에 저명한 사람을 3명으로 좁힌다면 우리는 Fiedler와 헌트와 하우스를 택할 것이다. Fiedler는 그의 가변성모델이 리더십 역사에서 줄곧 가장 지배적인 것으로 있어온 때문이며, 헌트는 Carbondale 시리즈에서의 그의 촉진제역할 때문이며, 그리고 하우스는 상황적인 리더십이론이 우세한 시대에 그의 유일무이한 차별적인 사고능력 때문이다.
V. 복합성 시대 (1980- ?)
R. J. House, P. Hersey, K. H. Blanchard, 그리고 Henry Mintzberg 는 복합성의 초기국면에서 리더십에 있어서 두드러진 사람이 될 것이라고 우리는 생각한다. House는 그가 주장한 이론의 라인을 따라 조사하도록 사람들을 보충하는 능력이 있다. 복합성에 관하여 말하는 Hersey의 리더십 이론은 유동적이며, 리더십의 많은 다양한 요소들을 받아들인다. 그는 자신만의 연구방법론을 가졌던 선구자적인 사역자들(practitioners) 사이에서 일반 대중(grassroots level)에게 영향력을 끼칠 것이고 그의 이론을 펼쳐갈 것이다. Mintzberg 는 그가 할 수 있는 한 조직화되어진 이론을 배우기 위한 분명한 목적이 있다. 이미 그는 최고의 출판사에 의해 최근 4개 또는 그 이상의 책들을 출간하였다. 그의 리더십은 House와 같이 연구자들의 흥미를 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Hodgkinson의 책 ‘리더십의 철학’은 참으로 잘 알려지거나 영향력을 끼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가 리더십의 철학적인 사로잡힘을 넘어 리더십 학문들을 확장시킬 뚜렷한 동향을 사로잡고 있다고 생각한다.
결론
21세기를 살아가는 현 시대는 뭐든지 리더십이다. 성공하면 훌륭한 리더십 덕분이요, 실패하면 모자란 리더십 탓이다. 리더에게 모든 책임이 집중된다. 리더십에 대한 책도 홍수를 이룬다. 인터넷 서점인 아마존닷컴에서 리더십을 키워드로 검색하면 20만 권이 넘는 책들이 나온다. 이런 현상을 \'리더십 과잉\' 때문이다.
현실을 바라보면 어느 조직이든 리더보다는 팔로워(follower)가 더 많은 법이다. 사실 리더 혼자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다. 아무리 만기총람형 지도자라 해도 주위에서 보좌하고 따르는 사람이 필요하다. 그래야 권한을 위임하고, 리더십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여유가 생긴다.
리더십이란 어떤 집단의 활동을 역동적이고 진취적으로 이끌어 소정의 목표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리더십의 유형 구분법에는 일반적으로 전제형과 민주형, 자유방임형으로 나누는 방법이 있다. 이것들 중에서 어느 것이 가장 우월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각각 장단점이 있고, 주어진 상황 하에서 효과 있는 리더십 유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리더십의 유형은 집단 내 구성원들의 성숙도에 따라 상황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지도자는 구성원들의 성숙을 강화시켜가야 한다.
성경에는 “머리”라는 구약적 리더십의 개념과 “종”이라는 신약적 리더십의 개념이 나타나 있다. 그리스도는 교회와 세상의 머리(왕)이시지만 세속적인 왕이나 통치자들과는 다르게 종으로서 왕권을 수행하셨다. 그러므로 성경적 리더십의 표준적인 모델은 왕-종이신 예수님에게서 찾아 볼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시다는 이러한 모델을 지칭하여 “섬기는 지도자(Servant Leader)”라고 불렀다. P. Cedar, 「섬기는 지도자」, 김성웅 역(서울 : 횃불, 1993), p. 14
그의 주장은 섬기는 지도자 상은 가장 성경적이며, 이상적이며, 현실적인 모델이라는 것이다. 머리이지만 군림하는 계급적 머리가 아니라 십자가의 사랑의 정신으로 종으로서 섬기는 지도자 상이 예수님이 몸소 보여 주신 성경적인 지도자 상이며, 금일의 한국 교회에도 요청되는 영적 지도자 상이라고 할 수 있다. “머리-종” 지도자상의 궁극적 목표는 구원이다. 바울은 이러한 영적 지도자의 사역을 에베소서 4:12에서 잘 표현하였다 : 이는 성도를 온전케 하며 봉사의 일을 하게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려 하심이라. 교회 지도자는 복음으로 영혼을 구원하며 교회를 든든히 세우고 하늘나라를 확장하는 사역을 위하여 성령 충만을 얻어 헌신하여야 한다.
J. M. Burns의 작품 리더십(1978)은 퓰리처상을 받았다. 그 책은 많은 리더십 적인 사고를 특징짓는 심리학이나 사회학의 시각은 갖지 않았다. Burns는 리더십과 역사적 리더들에게 관심을 갖고 있는 철학적인 역사가이다. 그의 책은 철학적 인 에세이와 문체로 쓰였다. 그는 특별히 정치적 리더십에 관심이 있다. 그의 \"변형적 리더십\"의 개념은 아마도 복합성론 시대에 현저하게 나타난 리더십연구의 철학적 요소와 같이 영향력을 끼칠 것이다.
Carbondale 시리즈들(대략 매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리더십 컨퍼런스의 편집물인 6개의 다른 책들)은 가변론성 시대 동안에 약 8년의 기간에 걸쳐 등장했다. 그리고 그것은 배후(back)를 보고 리더십 연구에서 이루어져오고 있는 것들을 획득하였기에 중요한 시리즈들이다. 또한 그것은 새로운 리서치로 가는 방식을 전망하고 지목하고 있다.
동기이론의 영역에서 몇몇 저자들은 가변론성 시대 동안에 중요한 책들을 저술하였다. Abraham Maslow의 Motivation & Personality(1970), Harry Levinson의 Great Jackass Fallacy(1973-위대한 멍텅구리 궤변-), & M. Maccoby의 Gamesman(1978) 이들은 리더십의 동기적인 특질을 다루고 있다 - - 결국은 리더십연구가들을 자극함으로서 윤리학과 철학을 포함한 리더십을 확장시킨 요소, 그리고 Christopher Hodgkinson에 의해 강력히 주장된 개념. 이 시대에는 많은 저명한 사람들이 있다. 여기에 리더십의 복합성은 너무나 명백해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 이 시기의 종국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많은 전문 지식인들이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에 가변성론 시대에 저명한 사람을 3명으로 좁힌다면 우리는 Fiedler와 헌트와 하우스를 택할 것이다. Fiedler는 그의 가변성모델이 리더십 역사에서 줄곧 가장 지배적인 것으로 있어온 때문이며, 헌트는 Carbondale 시리즈에서의 그의 촉진제역할 때문이며, 그리고 하우스는 상황적인 리더십이론이 우세한 시대에 그의 유일무이한 차별적인 사고능력 때문이다.
V. 복합성 시대 (1980- ?)
R. J. House, P. Hersey, K. H. Blanchard, 그리고 Henry Mintzberg 는 복합성의 초기국면에서 리더십에 있어서 두드러진 사람이 될 것이라고 우리는 생각한다. House는 그가 주장한 이론의 라인을 따라 조사하도록 사람들을 보충하는 능력이 있다. 복합성에 관하여 말하는 Hersey의 리더십 이론은 유동적이며, 리더십의 많은 다양한 요소들을 받아들인다. 그는 자신만의 연구방법론을 가졌던 선구자적인 사역자들(practitioners) 사이에서 일반 대중(grassroots level)에게 영향력을 끼칠 것이고 그의 이론을 펼쳐갈 것이다. Mintzberg 는 그가 할 수 있는 한 조직화되어진 이론을 배우기 위한 분명한 목적이 있다. 이미 그는 최고의 출판사에 의해 최근 4개 또는 그 이상의 책들을 출간하였다. 그의 리더십은 House와 같이 연구자들의 흥미를 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Hodgkinson의 책 ‘리더십의 철학’은 참으로 잘 알려지거나 영향력을 끼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가 리더십의 철학적인 사로잡힘을 넘어 리더십 학문들을 확장시킬 뚜렷한 동향을 사로잡고 있다고 생각한다.
결론
21세기를 살아가는 현 시대는 뭐든지 리더십이다. 성공하면 훌륭한 리더십 덕분이요, 실패하면 모자란 리더십 탓이다. 리더에게 모든 책임이 집중된다. 리더십에 대한 책도 홍수를 이룬다. 인터넷 서점인 아마존닷컴에서 리더십을 키워드로 검색하면 20만 권이 넘는 책들이 나온다. 이런 현상을 \'리더십 과잉\' 때문이다.
현실을 바라보면 어느 조직이든 리더보다는 팔로워(follower)가 더 많은 법이다. 사실 리더 혼자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다. 아무리 만기총람형 지도자라 해도 주위에서 보좌하고 따르는 사람이 필요하다. 그래야 권한을 위임하고, 리더십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여유가 생긴다.
리더십이란 어떤 집단의 활동을 역동적이고 진취적으로 이끌어 소정의 목표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리더십의 유형 구분법에는 일반적으로 전제형과 민주형, 자유방임형으로 나누는 방법이 있다. 이것들 중에서 어느 것이 가장 우월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각각 장단점이 있고, 주어진 상황 하에서 효과 있는 리더십 유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리더십의 유형은 집단 내 구성원들의 성숙도에 따라 상황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지도자는 구성원들의 성숙을 강화시켜가야 한다.
성경에는 “머리”라는 구약적 리더십의 개념과 “종”이라는 신약적 리더십의 개념이 나타나 있다. 그리스도는 교회와 세상의 머리(왕)이시지만 세속적인 왕이나 통치자들과는 다르게 종으로서 왕권을 수행하셨다. 그러므로 성경적 리더십의 표준적인 모델은 왕-종이신 예수님에게서 찾아 볼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시다는 이러한 모델을 지칭하여 “섬기는 지도자(Servant Leader)”라고 불렀다. P. Cedar, 「섬기는 지도자」, 김성웅 역(서울 : 횃불, 1993), p. 14
그의 주장은 섬기는 지도자 상은 가장 성경적이며, 이상적이며, 현실적인 모델이라는 것이다. 머리이지만 군림하는 계급적 머리가 아니라 십자가의 사랑의 정신으로 종으로서 섬기는 지도자 상이 예수님이 몸소 보여 주신 성경적인 지도자 상이며, 금일의 한국 교회에도 요청되는 영적 지도자 상이라고 할 수 있다. “머리-종” 지도자상의 궁극적 목표는 구원이다. 바울은 이러한 영적 지도자의 사역을 에베소서 4:12에서 잘 표현하였다 : 이는 성도를 온전케 하며 봉사의 일을 하게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려 하심이라. 교회 지도자는 복음으로 영혼을 구원하며 교회를 든든히 세우고 하늘나라를 확장하는 사역을 위하여 성령 충만을 얻어 헌신하여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리더십] 리더십 사례연구 - 이순신의 리더십 : 우수한 리더들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평가...
[리더십연구] 막스 베버의 세가지 리더십 모델(카리스마적 리더십, 합리적 리더십, 관찰적 리...
경영 리더십(경영자 리더쉽)의 종류, 의의, 경영 리더십(경영자 리더쉽)의 이론, 경영 리더십...
경영자 리더십(경영 리더쉽)의 정의, 중요성, 경영자 리더십(경영 리더쉽)의 기존연구, 경영...
[기독교리더십] 참된 기독교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리더십 이야기, 따르는 일의 중요성, 상...
[리더십의이해] 리더십의 정의, 리더십의 중요성, 리더십의 주요이론, 리더십특성이론, 리더...
사회복지사의 리더십은 무엇이며 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사회복지사) - 거래적 리더...
마에스트로 리더십(Maestro leadership)이 교장 리더십에 주는 시사점,마에스트로의 개념,마...
[리더십] 리더십 이론과 실제를 통해 보는 현대사회의 리더십 (리더십 이론의 유형, 리더십의...
[리더십교육]관리자의 리더십 (리더십의 정의와 중요성 및 특성과 유형, 리더십 조건, 자기혁...
[변혁적리더십 사례] 변혁적리더십 구성요소, 장단점, 변혁적 리더십의 사례 분석 - 변혁적...
[슈퍼리더십 셀프리더십] 슈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의 관계 조사 - 슈퍼리더십 셀프리더십 비교
사회복지조직 리더십 : 조직관리에서 리더십의 개념과 리더십 유형 요약 그리고 사회복지조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