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명
2. 수업목표
3. 지도상의 유의점
4. 학습내용 구조도
5. 수업실천계획
6. 본시계획
7. 형성평가
8. 이원목적분류표
9. 학습지
2. 수업목표
3. 지도상의 유의점
4. 학습내용 구조도
5. 수업실천계획
6. 본시계획
7. 형성평가
8. 이원목적분류표
9. 학습지
본문내용
대답하며 각자 전시 학습 내용을 확인한다.
- 발음의 차이
- 억양과 어조의 차이
- 어휘의 차이
ppt
동기 유발
▶ 북한말의 특징이 담긴 음성을 들려준다.
- 북한의 올림픽 중계방송
▶ 말하는 사람의 억양과 어조의 특징에 유의하며 감상한다.
ppt
학습 목표
제시
▶ 동기 유발과 연관 지어 학습 목표를 유도하고 학습 목표를 큰 소리로 읽도록 한다.
▶ 동기 유발 과정에서 자연스럽 게 학습 목표를 인지하고 선 생님과 함께 큰소리로 읽는 다.
ppt
판서
단계
(시간)
학습 내용
교수 - 학습 활동
자료 및 지도상의 유의점
교사
학생
전 개
(33분)
활동 2-1
활동 2-2
▶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의 특징 이 잘 담긴 북한 방송 자료를 보여준다.
- 북한의 만화영화 동영상을 제시한다. 학생들에게 억양과 어조의 특징에 집중해서 듣도록 강조한다.
▶ 방송을 토대로 북한말의 억양 과 어조의 특징을 쓰도록 한 다.
- 학생들이 억양과 어조의 특징을 쓰는 동안 동영상을 한 번 더 들려준다.
▶ 선생님이 제시한 북한 방송 을 관심을 갖고 지켜본다.
- 억양과 어조가 어떠한지 잘 생각하면서 듣는다.
▶ 북한말의 특징을 생각하며 억양과 어조에 대해서 적 는다.
- 방송에서 나온 아나운서의 목소리와 억양, 어조를 고려하여 북한말의 특징을 적어본다.
억양과 어조에 유의하며 듣도록 유도함
ppt
교과서
127
활동 2-3
모둠 활동
▶ 지문으로 제시된 동영상을 보 여준다.
- 미리 준비해 온 북한의 일기예보 동영상을 지문을 읽기 전에 보여준다.
- 일기예보 방송을 보고 난 후의 느낌을 발문하고, 모둠활동에 들어간다.
▶ 모둠별로 낭독을 연습하게 한 다. 서로 확인해 가며 북한의 억양과 어조를 잘 살려 낭독하 는 활동을 유도한다.
- 연습할 시간을 충분히 주고, 활동이 끝나면 모둠에서 가장 잘한 사람을 추천 받아 반을 대상으로 낭독 시킨다.
▶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의 특 징을 생각하면서 동영상을 시청한다.
- 북한 방송의 특징을 생각하고,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를 고려해서 시청한다.
▶ 미리 본 방송을 참고해, 북 한말의 억양과 어조에 유의 하며 실제 북한 방송을 하 듯 낭독해 본다. 친구들이 낭독할 때 잘 듣고 비교해 본다.
- 모둠 안에서 서로 낭독한 것을 비교해보고 가장 잘 한사람을 추천한다.
교과서 128
ppt
단계
(시간)
학습 내용
교수 - 학습 활동
자료 및 지도상의 유의점
교사
학생
전 개
(33분)
개별 활동
▶ 학습지를 제공하고 시간을 줘 서 개별적으로 적게 한다. 다 적고 난 후에 자발적으로 발표 하도록 유도한다.
- 주제1. 북한말을 들은 후의 억양과 어조와 관련하여 느낌이나 생각 말하기
- 주제2. 북한 방송에 나오는 이야기의 내용상의 특징을 살피고 느낌 말하기
▶ 학습지에 제시된 두 가지의 주제에 따라 자신의 의견을 학습지에 적고, 자발적으로 발표한다.
- 북한말과 북한 방송의 특징을 잘 살피고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말한다.
학습지
정리
(5분)
본시 학습
내용 정리
▶ 본시 학습 목표를 환기시키고, 본시 학습 내용을 간략히 요약 및 정리한다.
▶ 본시 학습 목표를 상기하고, 질문에 대답하며, 본시 학습 내용을 정리한다.
ppt
확인 학습
▶ 교과서를 덮게 한 뒤 확인 학 습 문제를 풀게 하고, 정답을 확인한다.
▶ 교과서를 덮은 뒤 확인 학 습 문제를 풀고, 정답을 확 인한다.
학습지
차시 예고
및
과제 제시
▶ 다음 시간에 배울 ‘활동3’ 에 대한 예고를 하고, 131쪽에 제시된 사이트에 들어가 북한 의 어휘자료를 조사해 오도록 과제로 낸다.
▶ 각자 공책에 과제 내용을 기록한다.
수업 정리
▶ 상호 인사 후 수업을 마무리 한다.
Ⅶ. 형성평가
<확인 학습>
3학년 ( )반 이름 ( )
단원명 : 6. 남북한의 언어
(1) 남북한 언어의 차이
학습 목표
1.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2. 북한 방송을 듣고, 생각이나 느낌을 말할 수 있다.
1. 다음 중 맞는 것은 ○, 틀린 것은 X 표시를 해보자.
북한말은 대체로 낮은 억양으로 말한다. ( )
북한말은 명확하고 또박또박하면서 동시에 강하고 드센 인상을 준다. ( )
2. 다음 중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감정에 호소하는 듯한 어조를 띤다.
② 정확을 기하기 위해 또박 또박 말을 한다.
③ 높은데서 낮은 데로 떨어지는 억양이 반복된다.
④ 부드럽게 흘러가는 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
⑤ 낮은 소리, 굵은 소리, 깊은 소리 등의 변화를 준다.
3. 텔레비전을 통해 북한말을 들어본 친구들의 느낌을 적은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강하고 또렷한 인상을 준다는 것도 특징인 것 같아.
② 높은 데서 낮은 데로 떨어지는 억양이 반복되던 걸.
③ 대체로 낮은 억양인데 끝을 올리던걸.
④ 한 문장을 여러 토막으로 나누어 읽으니까 분명한 느낌이 들었어.
⑤ 아나운서들이 대체로 감정에 호소하듯이 말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어.
구분
표준어
문화어
억양
대체로 ( ) 억양
( )데서 ( )데로 떨어지는 억양 반복
어조
4. 다음은 북한말과 남한말의 억양과 어조를 비교한 표이다. 빈 칸에 알맞은 내용을 써 보자.
Ⅷ. 이원 목적 분류표
실시일자
2007. 11. 15
평가대상
3학년 8반
출제교사
김수현
이원분류
난이도
단원
문항번호
내용
지식
이해
적용
출제근거
정답
상
중
하
6.
남
북
한
의
언
어
1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
○
p.124
x, o
○
2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
○
p.125
3
○
3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
○
p.127
4
○
4
북한말과 남한말의 억양과 어조 비교
○
p.126
낮은
높은, 낮은
부드럽게 흘러가는 듯한 느낌 등
명확하고 또박또박, 강하고 드셈 등
○
계
3
1
1
3
%
75%
25%
0%
0%
25%
75%
Ⅸ. 학습지
<학습지>
3학년 ( )반 이름 ( )
■ 다음 주제에 따라 학습지에 정리해 보고, 자유롭게 발표해 보자.
주제1. 북한말을 듣고 난 후, 억양과 어조와 관련하여 느낌이나
생각을 말해보자.
-
-
-
주제2. 북한 방송에 나오는 이야기의 내용상의 특징을 살피고,
느낌을 말해보자.
-
-
-
- 발음의 차이
- 억양과 어조의 차이
- 어휘의 차이
ppt
동기 유발
▶ 북한말의 특징이 담긴 음성을 들려준다.
- 북한의 올림픽 중계방송
▶ 말하는 사람의 억양과 어조의 특징에 유의하며 감상한다.
ppt
학습 목표
제시
▶ 동기 유발과 연관 지어 학습 목표를 유도하고 학습 목표를 큰 소리로 읽도록 한다.
▶ 동기 유발 과정에서 자연스럽 게 학습 목표를 인지하고 선 생님과 함께 큰소리로 읽는 다.
ppt
판서
단계
(시간)
학습 내용
교수 - 학습 활동
자료 및 지도상의 유의점
교사
학생
전 개
(33분)
활동 2-1
활동 2-2
▶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의 특징 이 잘 담긴 북한 방송 자료를 보여준다.
- 북한의 만화영화 동영상을 제시한다. 학생들에게 억양과 어조의 특징에 집중해서 듣도록 강조한다.
▶ 방송을 토대로 북한말의 억양 과 어조의 특징을 쓰도록 한 다.
- 학생들이 억양과 어조의 특징을 쓰는 동안 동영상을 한 번 더 들려준다.
▶ 선생님이 제시한 북한 방송 을 관심을 갖고 지켜본다.
- 억양과 어조가 어떠한지 잘 생각하면서 듣는다.
▶ 북한말의 특징을 생각하며 억양과 어조에 대해서 적 는다.
- 방송에서 나온 아나운서의 목소리와 억양, 어조를 고려하여 북한말의 특징을 적어본다.
억양과 어조에 유의하며 듣도록 유도함
ppt
교과서
127
활동 2-3
모둠 활동
▶ 지문으로 제시된 동영상을 보 여준다.
- 미리 준비해 온 북한의 일기예보 동영상을 지문을 읽기 전에 보여준다.
- 일기예보 방송을 보고 난 후의 느낌을 발문하고, 모둠활동에 들어간다.
▶ 모둠별로 낭독을 연습하게 한 다. 서로 확인해 가며 북한의 억양과 어조를 잘 살려 낭독하 는 활동을 유도한다.
- 연습할 시간을 충분히 주고, 활동이 끝나면 모둠에서 가장 잘한 사람을 추천 받아 반을 대상으로 낭독 시킨다.
▶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의 특 징을 생각하면서 동영상을 시청한다.
- 북한 방송의 특징을 생각하고,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를 고려해서 시청한다.
▶ 미리 본 방송을 참고해, 북 한말의 억양과 어조에 유의 하며 실제 북한 방송을 하 듯 낭독해 본다. 친구들이 낭독할 때 잘 듣고 비교해 본다.
- 모둠 안에서 서로 낭독한 것을 비교해보고 가장 잘 한사람을 추천한다.
교과서 128
ppt
단계
(시간)
학습 내용
교수 - 학습 활동
자료 및 지도상의 유의점
교사
학생
전 개
(33분)
개별 활동
▶ 학습지를 제공하고 시간을 줘 서 개별적으로 적게 한다. 다 적고 난 후에 자발적으로 발표 하도록 유도한다.
- 주제1. 북한말을 들은 후의 억양과 어조와 관련하여 느낌이나 생각 말하기
- 주제2. 북한 방송에 나오는 이야기의 내용상의 특징을 살피고 느낌 말하기
▶ 학습지에 제시된 두 가지의 주제에 따라 자신의 의견을 학습지에 적고, 자발적으로 발표한다.
- 북한말과 북한 방송의 특징을 잘 살피고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말한다.
학습지
정리
(5분)
본시 학습
내용 정리
▶ 본시 학습 목표를 환기시키고, 본시 학습 내용을 간략히 요약 및 정리한다.
▶ 본시 학습 목표를 상기하고, 질문에 대답하며, 본시 학습 내용을 정리한다.
ppt
확인 학습
▶ 교과서를 덮게 한 뒤 확인 학 습 문제를 풀게 하고, 정답을 확인한다.
▶ 교과서를 덮은 뒤 확인 학 습 문제를 풀고, 정답을 확 인한다.
학습지
차시 예고
및
과제 제시
▶ 다음 시간에 배울 ‘활동3’ 에 대한 예고를 하고, 131쪽에 제시된 사이트에 들어가 북한 의 어휘자료를 조사해 오도록 과제로 낸다.
▶ 각자 공책에 과제 내용을 기록한다.
수업 정리
▶ 상호 인사 후 수업을 마무리 한다.
Ⅶ. 형성평가
<확인 학습>
3학년 ( )반 이름 ( )
단원명 : 6. 남북한의 언어
(1) 남북한 언어의 차이
학습 목표
1.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2. 북한 방송을 듣고, 생각이나 느낌을 말할 수 있다.
1. 다음 중 맞는 것은 ○, 틀린 것은 X 표시를 해보자.
북한말은 대체로 낮은 억양으로 말한다. ( )
북한말은 명확하고 또박또박하면서 동시에 강하고 드센 인상을 준다. ( )
2. 다음 중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감정에 호소하는 듯한 어조를 띤다.
② 정확을 기하기 위해 또박 또박 말을 한다.
③ 높은데서 낮은 데로 떨어지는 억양이 반복된다.
④ 부드럽게 흘러가는 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
⑤ 낮은 소리, 굵은 소리, 깊은 소리 등의 변화를 준다.
3. 텔레비전을 통해 북한말을 들어본 친구들의 느낌을 적은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강하고 또렷한 인상을 준다는 것도 특징인 것 같아.
② 높은 데서 낮은 데로 떨어지는 억양이 반복되던 걸.
③ 대체로 낮은 억양인데 끝을 올리던걸.
④ 한 문장을 여러 토막으로 나누어 읽으니까 분명한 느낌이 들었어.
⑤ 아나운서들이 대체로 감정에 호소하듯이 말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어.
구분
표준어
문화어
억양
대체로 ( ) 억양
( )데서 ( )데로 떨어지는 억양 반복
어조
4. 다음은 북한말과 남한말의 억양과 어조를 비교한 표이다. 빈 칸에 알맞은 내용을 써 보자.
Ⅷ. 이원 목적 분류표
실시일자
2007. 11. 15
평가대상
3학년 8반
출제교사
김수현
이원분류
난이도
단원
문항번호
내용
지식
이해
적용
출제근거
정답
상
중
하
6.
남
북
한
의
언
어
1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
○
p.124
x, o
○
2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
○
p.125
3
○
3
북한말의 억양과 어조
○
p.127
4
○
4
북한말과 남한말의 억양과 어조 비교
○
p.126
낮은
높은, 낮은
부드럽게 흘러가는 듯한 느낌 등
명확하고 또박또박, 강하고 드셈 등
○
계
3
1
1
3
%
75%
25%
0%
0%
25%
75%
Ⅸ. 학습지
<학습지>
3학년 ( )반 이름 ( )
■ 다음 주제에 따라 학습지에 정리해 보고, 자유롭게 발표해 보자.
주제1. 북한말을 듣고 난 후, 억양과 어조와 관련하여 느낌이나
생각을 말해보자.
-
-
-
주제2. 북한 방송에 나오는 이야기의 내용상의 특징을 살피고,
느낌을 말해보자.
-
-
-
추천자료
남북한 언어의 차이점.
언어와 언어생활
북한의 언어표현 및 남북한의 특이한 어휘
북한의 신문을 통해 살펴 본 북한언어의 어휘 문법적 특징과 남북한의 언어 이질화 (2007년 ...
TV토크쇼 속의 언어생활 - '야심만만'을 통해 본 성별에 따른 언어사용 특성 비교
[언어와생활]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언어의 자료를 직접수집 조사하여 분석해보시오
정신지체아교육의 특징, 정신지체아교육의 목적, 정신지체아교육의 국어교육과 지역사회중심...
정신지체아교육의 역사, 정신지체아교육의 목표, 정신지체아교육의 기능적 생활기술교육, 정...
인터넷 언어생활 지도
(언어와생활2공통) 교재 1장을 참고, 통신 언어의 자료를 직접 수집- 각 예들에서 어떤 표현...
[동작훈련교육]동작훈련(동작훈련교육)과 기본생활교육, 동작훈련(동작훈련교육)과 레크레이...
남북한 언어분화의 배경 검토 (언어)
방언속의 한국어 -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 방언과 표준어의 자리매김
[유치원 교육과정] 유치원 교육과정, 6차, 7차 교육과정, 교육과정 비교, 유치원 교육 방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