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속의 한국어 -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 방언과 표준어의 자리매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언속의 한국어 -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 방언과 표준어의 자리매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 방언과 언어----------------------
 1.방언의 유래
 2.방언의 개념
 3.방언과 언어
Ⅱ. 표준어와 방언--------------------
 <표>표준어와 방언의 차이
 1.표준어의 기능
 2.방언의 역할(필요성)
 3.방언의 가치
Ⅲ. 국어 하위 방언 구획---------------
 1.하위 방언 구획
 2.하위 방언의 특징
Ⅳ. 사회적방언(社會方言)---------------
Ⅴ. 방언과 사회현상과의 연관관계--------

결론

본문내용

다.
예] 비할라 온디 어디를 가냐? (비조차 오는데 어디를 가니?)
어미
①-드라고
청유형 종결 어미로 ‘-드라고’가 쓰인다.
예] 인자 가 보드라고. (이제 가 보세.)
②-으까미, -으깜시
중앙 방언의 ‘-을까봐’에[ 해당하는 연결 어미로서 이 방언에서는 ‘-으까미’. ‘-으깜시’가 쓰인다.
예] 죽으까미 그냐?(죽을까봐 그러니?), 가깜시 꺽정하드라. (갈까봐 걱정하더라.)
어휘: 머시락하다(야단치다), 깨깟허니(깨끗하게)
-동남방언
경상도에서 쓰이는 방언을 동남방언이라고 한다.
자음체계: 경북의 낙동강 동쪽 지역과 경남의 동북 지역에는 ‘ㅆ’이 ‘ㅅ’으로 발음된다.
모음변화: ‘ㅔ\'가 ‘ㅣ’로 바뀌는 현상은 모든 방언에 보이지만 북부 동남 방언에서 많이 나타난다.
예] 시금(세금), 비(베), 미느리(←메느리←며느리)
자음변화: 동남방언에는 된소리되기 현상과 구개음화 현상이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예] 까시(가시), 뽈떼기(볼), 짐(김), 질다(길다)
조사: 공동격 조사로 ‘-캉’이 쓰이며, 주격 조사로 ‘-이가’가 쓰이기도 한다.
예] 니캉 내캉(너랑 나랑), 가심이가 아푸다(가슴이 아프다)
어미
①선어말 어미: 관형절에 ‘-았/었-’과 ‘-는’이 결합하여 나타난다.
예] 어지 박을 묵었는 사람(어제 밥을 먹은 사람)
②어말 어미: 의문형 어미 ‘-가’와 ‘-나’는 의문사가 없을 때, ‘-고’와 ‘-노’는 의문사가 있을 때 쓰 인다. 그리고 ‘-예’가 어말에 결합된다.
예]야가 가가? (이 애가 그 애니?), 언제 오노? (언제 오니?), 우짤까예? (어떻게 할까요?)
-제주방언
제주도는 한반도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방언전파설이나 지역언어학의 관점에서 보아 보수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일반인들뿐만 아니라 특히 관련학계에서 관심이 모아져 왔다. 제주방언에는 표준어나 다른 지역 방언에서 지금은 소멸된 것으로 파악하는 한글자모 중 일부가 계속 사용되고 있는 등 고어의 보고라 일컬어진다. 특히 음운사적으로 아래 아 \'·\'가 제1음절에서 유지되고 있는 사실과 반치음 \'ㅿ\'의 형태가 남아 있으며, \'ㅂ\'계의 어두자음군이 거센소리인 유기음으로 변화한 사실 등은 주목되는 현상이다. 또 문법형태소의 형태론적 특성과 어휘면에서의 중요성도 자주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방언의 언어적 중요성은 이처럼 음운과 문법, 어휘 등에서 그대로 확인되므로 제주방언은 \'언어의 보배\'라 할 수 있다.
생활언어로서 제주방언을 조상 대대로 이어온 것은 제주 지역 주민들로서는 큰 자랑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제주도는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문화를 많이 가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방언이다. 왜냐하면 방언은 그 방언 사용 지역문화의 밑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방언이 없는 제주도 문화는 상상조차 할 수 없으며, 제주방언 없이 제주문화를 바르게 표현하거나 나타낼 수 없는 일이다. 제주도의 고유한 문화를 항구적으로 유지하기를 원한다면 무엇보다도 제주방언을 지키고 보존해야 함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①음운
홀소리는 /ㅟ, ㅚ/가 [wi], [we]로 실현되고 그밖의 홑홀소리는 표준어와 같으나 다른 방언에는 이미 소실된 //가 실현된어 ‘멀(나물), (말)’등과 같은 낱말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와 반홀소리 /j/가 연속적으로 발음되는 겹홀소리 //가 실현되었다. 그리고 운소를 나타내는 높이와 길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어두닿소리들이 육지와는 달리 ‘튀-,착, 차-’와 같이 거센소리로 바뀌었으며 어두된소리 현상도 ‘시(다시),까격(가격), 씨집(시집)’등에서와 같이 두드러지게 실현된다. 그러나 ‘신고, 지, 게’등과 같은/ㄴ,ㅁ/으로 끝나는 풀이씨가 닿소리와 결합되더라도 된소리가 발음되지 않는다.
‘한국, 맏, 지집, 비단’과 같은 앞 낱말 끝소리 /ㄱ, ㄷ, ㅂ, ㄴ/은 윗낱말의 첫소리로 연결되어 ‘한국끔식, 맏따덜, 지집빠이, 비단놋’과 같이 실현된다. 그리고 끝소리가 된소리나 거센소리일 때는 ‘으’를 붙여 ‘뜨~트(같다), 노프(높다), 나끄(낚다)’와 같이 실현된다.
겹받침을 회피하여 ‘어서라(없어라), 여덥(열덟), 야프다(얇다), (흙), (닭), 만다(많다)’로 재음절화 되면, ‘흙고(굵고), 다(밟다)’와 같이 /,/겹받침으로 끝나는 풀이씨가 닿소리와 결합될 때는 /ㄹ/을 탈락시켜 발음한다.
또한 표준어의 ‘ㅅ’불규칙 풀이씨는 ‘잇지, 잇으난(이으니까),잇언’과 같이 규칙으로 실현되며, ‘오다, 새다, 아이서다, 지붕이다’와 같은 풀이씨는 ‘(으)ㄹ’이 첨가되어 ‘오/올-, 샐-, 아이설-, 지붕일-’과 같이 실현된다. 특히 ‘오다’의 경우 닿소리나 ‘으’로 시작하는 씨끝 아래에서는 ‘오곡(오고)/ 오민(오면)’과 같이 ‘오’가 결합되고, 홀소리로 시작되는 씨끝 아래에서는 ‘완~오란(와서)’과 같이 ‘와’와 ‘올’이 수의적으로 교체된다.
②말본
토씨가 생략되는 것이 제주방언의 특징인데 함께함을 나타낼 때는 ‘영, 왕, 광’, 단독을 나타낼때는 ‘랑/이랑’. 견ㅂ줌을 나타낼 때는 ‘왕./광’, 위치를 나타낼 때는 ‘레/더레/테레/드레/’가 있다.
예]나영 가게.(나하고 가자)
너랑 이디 시라.(너는 여기 있어라)
밥광 떡광 어느게 조니?(밥과 떡 가운에 어느 것이 좋으니)
학교레 감디아?(학교에 가느냐?)
집 안테레 걸라.(집 안으로 걸어라)
이수다( 곁에 있습니다.)
어떤 동작이 현재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안맺음 씨끝 ‘-암ㅅ-/-엄ㅅ-’이 실현되는데, 과거를 나타낼 때는 ‘-앗-/-엇-/-랏-’으로 교체되며, 과거일을 회상할 경우 맺음 씨끝 ‘-라’로 바꾸고 회상의 안맺음 씨끝 ‘-아-/-어-’를 교체시킨다.
예]가이가 지금 질을 막암ㅅ어. (그 애가 지금 길을 막았어)
어젠 가이가 질을 막앗어. “(어제는 그 애가 길을 막았어)
가이가 싸 질을 막아라.(그 애가 아까 길을 막더라)
잡음씨 ‘-이다’뒤에서는 ‘-암ㅅ-/-엄ㅅ-’은 쓰이지 않고 현재일 때는 ‘-라’, 과거일때는 ‘-랏’으로 쓰인다. 그리고 의도나 추측을 나타내는 안맺음 씨끝 ‘-으크-’앞에서는 ‘-암시/-엄시-’와 ‘-아시-/-어시-’로 교체된다.
간접 인용의 경우 피인용문의 맺음 씨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10.21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5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