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 분류
◈ 척색 / 척추
1. 척색
2. 척추
◈ 척추 동물아문
《어 류》
《 양서류 》
《 파충류 》
《조 류》
《포유류》
1. 일반적인 특징
2. 먹이에 따른 형태상의 특징
3. 생활 방식
4. 번식과 생장
5. 종류
6. 예외적인 동물
◈ 용어 정리
♠ 정온동물과 변온동물
1. 정온동물
2. 변온동물
♠ 아가미 호흡과 폐호흡
1. 아가미
2. 폐
♠ 난생 / 난태생 /태생
1. 난생
2. 난태생
◈ 무척추동물
《연체동물문》
《 환형동물문》
《절지동물문》
《편형동물문》
《자포 동물문》
《극피 동물문》
◈ 척색 / 척추
1. 척색
2. 척추
◈ 척추 동물아문
《어 류》
《 양서류 》
《 파충류 》
《조 류》
《포유류》
1. 일반적인 특징
2. 먹이에 따른 형태상의 특징
3. 생활 방식
4. 번식과 생장
5. 종류
6. 예외적인 동물
◈ 용어 정리
♠ 정온동물과 변온동물
1. 정온동물
2. 변온동물
♠ 아가미 호흡과 폐호흡
1. 아가미
2. 폐
♠ 난생 / 난태생 /태생
1. 난생
2. 난태생
◈ 무척추동물
《연체동물문》
《 환형동물문》
《절지동물문》
《편형동물문》
《자포 동물문》
《극피 동물문》
본문내용
기후와 먹이, 알을 낳고 새끼를 키울 곳을 찾아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새
① 겨울새
- 우리 나라에서 겨울을 보내는 새
- 북쪽에서 번식하고 이듬해 봄이 되면 원래의 번식지로 돌아간다.
- 기러기, 청둥오리, 백조, 두루미, 개똥지빠귀, 딱새 등
② 여름새
- 우리 나라에서 봄부터 여름동안을 번식하며 보내는 새
- 늦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남쪽으로 날아간다.
- 뻐꾸기, 두견이, 파랑새, 제비, 물총새, 뜸부기 등
③ 나그네새
- 여름에는 우리 나라보다 북쪽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우리 나라보다 남쪽에서 보내는 새
- 이동하는 거리가 매우 멀어 우리 나라에서 쉬다가 간다.
- 도요새, 물떼새 등
2) 텃새 ; 철새와 달리 1년 동안 거의 같은 곳에 살며 이동하지 않는 새
① 우리 나라의 텃새
- 참새, 까마귀, 까치, 박새, 꿩 등
6. 새의 조상 (시조새)
새의 조상은 2억 3000만 년 전부터 1억 8000만 년에 걸쳐 파충류의 하나인 공룡의 무리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그 무렵 몸이 작고 두발로 걷는 공룡들은 무서운 공룡을 피해 나무 위에서 살게 되었고, 차츰 앞다리가 날개로 변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새의 조상이라고 여겨지는 시조새는 약 1억 500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생각되며 그 화석은 1861년 독일의 한 채석장에서 발견되었다.
1) 시조새의 특징
① 날개와 깃털, 부리를 가진다.(새와의 공통점)
② 까마귀만한 크기로 입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있고, 날개에 3개의 발가락이 있다.
③ 꼬리에 꼬리뼈가 있고, 뼛속이 비어 있지 않으며 용골 돌기뼈가 없다.
7. 날개를 가졌다고 다 새인가?
1) 파충류인 익룡의 날개와 새의 날개의 차이점
- 익룡의 날개는 앞부분에만 뼈가 있고 변형된 피부가 된 얇은 막으로 되어있다.
2) 포유류인 박쥐의 날개와 새의 날개의 차이점
- 박쥐의 날개는 피부가 변해서 생긴 얇은 막으로 그 속에 뼈는 있으나 깃털이 없다.
3) 곤충인 나비나 잠자리의 날개와 새의 날개의 차이점
- 곤충의 날개는 피부가 변해서 된 것이지만, 새의 날개는 뼈와 근육으로 되어있어 기본 구조가 완전히 다르다.
☞ 새의 날개는 뼈와 근육, 깃으로 되어 있다. 이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새의 날개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포유류》
1. 일반적인 특징
① 피부는 털로 덮여 있다 - 추위와 더위로부터 몸을 보호
- 털은 많은 공기층을 가지고 있어서 몸의 열을 빼앗기지 않게 해준다. 추운 겨울에는 털이 더 빽빽하게 나게 된다.
② 피부에는 땀샘, 지방샘, 젖샘이 발달 - 체온 조절 가능
③ 체온이 항상 35~38℃로 일정한 정온 동물
- 높은 체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추운 북극지방 가까이에서도 살 수 있으며, 여름이나 겨울 없이 살아 나갈 수 있다.
④ 심장은 2심방 2심실
- 온몸으로 피를 돌게 할 수 있어서 활발한 활동이 가능
⑤ 새끼를 낳아 번식.
- 암컷의 몸 속에는 일정 기간 새끼가 자라도록 보호해 주는 자궁이 발달
⑥ 주위 환경에 대한 감각 발달 - 지구상에 번성하게 된 가장 큰 이유
㉠ 코 : 먼 곳의 먹이를 잘 찾아냄 /적을 빨리 발견가능
㉡ 눈이 발달
㉢ 소리를 잘 들음. 귓바퀴가 발달해서 소리를 잘 모을 수 있음 - 적이 오는 소리를 빨리 알아내어 몸을 보호할 수 있음/ 먹이를 쉽게 찾아냄
⑦ 자웅이체. 체내수정
⑧ 발생 중 요막, 양막, 장막 등의 배막이 생김 - 유양막류
⑨ 고도로 발달된 뇌를 가짐. 12쌍의 뇌신경이 있음
⑩ 가슴과 배 사이에 근육성의 횡경막 존재.
⑪ 머리목몸통꼬리의 4부분으로 구분
⑫ 아래 위 양턱에 이빨들이 있는데 앞니 송곳니 앞어금니 어금니로 분화
⑬ 배설계의 신장은 후신형, 요도는 방광에 열린다.
2. 먹이에 따른 형태상의 특징
1) 초식동물
- 우제목, 토끼목, 설치목 등이 있음
① 초식 동물중에서도 각 동물에 따라 풀잎이나 나뭇잎, 열매나 꽃, 나무의 잔가지나 나무 껍질 등 다양한 종류를 먹는다.
② 식물을 소화시키기에 알맞은 기관을 가짐
- 풀을 잘 으깰 수 있는 맷돌 같은 어금니, 풀을 잘 끊을 수 있는 앞니, 씹어도 좀처럼 닳지 않는 긴 이, 일생 동안 계속 자라는 이, 긴 창자와 잘 발달된 맹장
③ 소, 낙타, 사슴 같은 우제목에 속하는 동물의 경우, 되새김질을 하여 음식물을 소화시키는데, 이들의 위는 되새김질을 잘 할 수 있도록 4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2) 육식동물
① 곤충 등의 벌레를 먹는 식충성의 동물부터 대형의 초식 동물을 잡아먹는 것까지 육식동물의 종류에 따라 그 먹이 또한 다양하다.
② 상대를 쓰러뜨리기 위한 긴 송곳니, 먹이를 잘게 찢어 씹을 수 있는 뾰족한 어금니, 초식 동물보다 짧은 창자, 날카로운 발톱을 가짐
☞ 동물의 생김새는 동물의 먹이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특히, 이빨이나, 창자 같은 경우,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3. 생활 방식
① 정착 생활 - 정해진 곳에서 살고, 그 곳에서 먹이를 찾고, 쉬고, 새끼를 낳아 기름
② 수컷이 암컷 보다 행동 범위가 더 넓다. (예 - 호랑이의 경우, 암컷은 20km2, 수컷은 60~100km2의 세력권을 가짐)
③ 활동 시간이 정해져 있어 그 시간에만 활발히 움직이고 먹이를 찾는다.
- 동물에 따라 야행성, 주야행성, 주행성이 있고, 이는 날씨의 영향을 받거나 계절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본적인 활동 시간은 종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④ 겨울잠을 자는 종류도 있다. (큰곰, 고슴도치, 밍크, 다람쥐, 박쥐 등)
- 겨울잠을 자는 동물은 잠을 자는 동안 체온이 떨어지고 호흡수도 줄어든다.
‘자는 것’과 관련하여 아동이 관심을 가질 만한 동물...
세계에서 잠을 가장 많이 자는 동물은 아르마딜로와 나무늘보 !!
아르마딜로와 나무늘보의 경우 겨울이 없는 중남아메리카에 살기 때문에 겨울잠을 자기는 않지만, 틈나는 대로 잠을 자기 때문에 일생의 약 80%를 잠을 자는 데 쓴다고 한다.
※ 세력권
- 동물이 자기의 행동 범위 안에 같은 종의 무리나 다른 동물이 들어오면 이것을
① 겨울새
- 우리 나라에서 겨울을 보내는 새
- 북쪽에서 번식하고 이듬해 봄이 되면 원래의 번식지로 돌아간다.
- 기러기, 청둥오리, 백조, 두루미, 개똥지빠귀, 딱새 등
② 여름새
- 우리 나라에서 봄부터 여름동안을 번식하며 보내는 새
- 늦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남쪽으로 날아간다.
- 뻐꾸기, 두견이, 파랑새, 제비, 물총새, 뜸부기 등
③ 나그네새
- 여름에는 우리 나라보다 북쪽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우리 나라보다 남쪽에서 보내는 새
- 이동하는 거리가 매우 멀어 우리 나라에서 쉬다가 간다.
- 도요새, 물떼새 등
2) 텃새 ; 철새와 달리 1년 동안 거의 같은 곳에 살며 이동하지 않는 새
① 우리 나라의 텃새
- 참새, 까마귀, 까치, 박새, 꿩 등
6. 새의 조상 (시조새)
새의 조상은 2억 3000만 년 전부터 1억 8000만 년에 걸쳐 파충류의 하나인 공룡의 무리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그 무렵 몸이 작고 두발로 걷는 공룡들은 무서운 공룡을 피해 나무 위에서 살게 되었고, 차츰 앞다리가 날개로 변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새의 조상이라고 여겨지는 시조새는 약 1억 500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생각되며 그 화석은 1861년 독일의 한 채석장에서 발견되었다.
1) 시조새의 특징
① 날개와 깃털, 부리를 가진다.(새와의 공통점)
② 까마귀만한 크기로 입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있고, 날개에 3개의 발가락이 있다.
③ 꼬리에 꼬리뼈가 있고, 뼛속이 비어 있지 않으며 용골 돌기뼈가 없다.
7. 날개를 가졌다고 다 새인가?
1) 파충류인 익룡의 날개와 새의 날개의 차이점
- 익룡의 날개는 앞부분에만 뼈가 있고 변형된 피부가 된 얇은 막으로 되어있다.
2) 포유류인 박쥐의 날개와 새의 날개의 차이점
- 박쥐의 날개는 피부가 변해서 생긴 얇은 막으로 그 속에 뼈는 있으나 깃털이 없다.
3) 곤충인 나비나 잠자리의 날개와 새의 날개의 차이점
- 곤충의 날개는 피부가 변해서 된 것이지만, 새의 날개는 뼈와 근육으로 되어있어 기본 구조가 완전히 다르다.
☞ 새의 날개는 뼈와 근육, 깃으로 되어 있다. 이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새의 날개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포유류》
1. 일반적인 특징
① 피부는 털로 덮여 있다 - 추위와 더위로부터 몸을 보호
- 털은 많은 공기층을 가지고 있어서 몸의 열을 빼앗기지 않게 해준다. 추운 겨울에는 털이 더 빽빽하게 나게 된다.
② 피부에는 땀샘, 지방샘, 젖샘이 발달 - 체온 조절 가능
③ 체온이 항상 35~38℃로 일정한 정온 동물
- 높은 체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추운 북극지방 가까이에서도 살 수 있으며, 여름이나 겨울 없이 살아 나갈 수 있다.
④ 심장은 2심방 2심실
- 온몸으로 피를 돌게 할 수 있어서 활발한 활동이 가능
⑤ 새끼를 낳아 번식.
- 암컷의 몸 속에는 일정 기간 새끼가 자라도록 보호해 주는 자궁이 발달
⑥ 주위 환경에 대한 감각 발달 - 지구상에 번성하게 된 가장 큰 이유
㉠ 코 : 먼 곳의 먹이를 잘 찾아냄 /적을 빨리 발견가능
㉡ 눈이 발달
㉢ 소리를 잘 들음. 귓바퀴가 발달해서 소리를 잘 모을 수 있음 - 적이 오는 소리를 빨리 알아내어 몸을 보호할 수 있음/ 먹이를 쉽게 찾아냄
⑦ 자웅이체. 체내수정
⑧ 발생 중 요막, 양막, 장막 등의 배막이 생김 - 유양막류
⑨ 고도로 발달된 뇌를 가짐. 12쌍의 뇌신경이 있음
⑩ 가슴과 배 사이에 근육성의 횡경막 존재.
⑪ 머리목몸통꼬리의 4부분으로 구분
⑫ 아래 위 양턱에 이빨들이 있는데 앞니 송곳니 앞어금니 어금니로 분화
⑬ 배설계의 신장은 후신형, 요도는 방광에 열린다.
2. 먹이에 따른 형태상의 특징
1) 초식동물
- 우제목, 토끼목, 설치목 등이 있음
① 초식 동물중에서도 각 동물에 따라 풀잎이나 나뭇잎, 열매나 꽃, 나무의 잔가지나 나무 껍질 등 다양한 종류를 먹는다.
② 식물을 소화시키기에 알맞은 기관을 가짐
- 풀을 잘 으깰 수 있는 맷돌 같은 어금니, 풀을 잘 끊을 수 있는 앞니, 씹어도 좀처럼 닳지 않는 긴 이, 일생 동안 계속 자라는 이, 긴 창자와 잘 발달된 맹장
③ 소, 낙타, 사슴 같은 우제목에 속하는 동물의 경우, 되새김질을 하여 음식물을 소화시키는데, 이들의 위는 되새김질을 잘 할 수 있도록 4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2) 육식동물
① 곤충 등의 벌레를 먹는 식충성의 동물부터 대형의 초식 동물을 잡아먹는 것까지 육식동물의 종류에 따라 그 먹이 또한 다양하다.
② 상대를 쓰러뜨리기 위한 긴 송곳니, 먹이를 잘게 찢어 씹을 수 있는 뾰족한 어금니, 초식 동물보다 짧은 창자, 날카로운 발톱을 가짐
☞ 동물의 생김새는 동물의 먹이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특히, 이빨이나, 창자 같은 경우,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3. 생활 방식
① 정착 생활 - 정해진 곳에서 살고, 그 곳에서 먹이를 찾고, 쉬고, 새끼를 낳아 기름
② 수컷이 암컷 보다 행동 범위가 더 넓다. (예 - 호랑이의 경우, 암컷은 20km2, 수컷은 60~100km2의 세력권을 가짐)
③ 활동 시간이 정해져 있어 그 시간에만 활발히 움직이고 먹이를 찾는다.
- 동물에 따라 야행성, 주야행성, 주행성이 있고, 이는 날씨의 영향을 받거나 계절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본적인 활동 시간은 종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④ 겨울잠을 자는 종류도 있다. (큰곰, 고슴도치, 밍크, 다람쥐, 박쥐 등)
- 겨울잠을 자는 동물은 잠을 자는 동안 체온이 떨어지고 호흡수도 줄어든다.
‘자는 것’과 관련하여 아동이 관심을 가질 만한 동물...
세계에서 잠을 가장 많이 자는 동물은 아르마딜로와 나무늘보 !!
아르마딜로와 나무늘보의 경우 겨울이 없는 중남아메리카에 살기 때문에 겨울잠을 자기는 않지만, 틈나는 대로 잠을 자기 때문에 일생의 약 80%를 잠을 자는 데 쓴다고 한다.
※ 세력권
- 동물이 자기의 행동 범위 안에 같은 종의 무리나 다른 동물이 들어오면 이것을
추천자료
(독후감) '잡식동물의 딜레마’를 읽고
[영문학과]『유리동물원』에 나타난 인간 내면의 이중적 세계
핵이식 기법을 이용한 형질전환동물 생산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단군신화 속에 나타난 동물학대의 모습과 호랑이의 억울함에 대한 권리구제 가능성에 대한 연구
(생명윤리) 동물실험, 그 비극적 선택
애착을 설명해 주는 동물행동학 이론
(A+ 독후감) 동물농장을 읽고
짝짓기와 짝 지키기 동물행동 이해
책속의 현실(동물농장)
[일반생물학] 동물계의 분류와 계통
시민사회와 NGO - 멸종위기 동물, NGO 그리고 정부 (쓰촨 자이언트판다 보호 구역, 수원환경...
독후감 - 조지오웰의 동물농장을 읽고
[사회학개론] 유기동물 안락사에 대한 원인과 결과 (구조기능주의적, 갈등주의적 시각을 통해)
생명윤리 - 동물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