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st tube삽입(흉관삽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hest tube삽입(흉관삽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목적

2. 준비물

3. 방법

4. 밀봉배액의 종류

5. 배액병의 교환시기

6. 배액병의 위치

7. Dressing 교환 시기

8. 응급상황시 대처방법

본문내용

처음 삽입 후 2-3일이 지난 후에 실시하고, 그 후에는 48시간마다 시행한다.
8. 응급상황시 대처방법
1)disconnect 되었을 때
환자의 가슴과 가장 가까운 부위의 튜브를 Kelly로 잠근다.
v/s측정하고 담당의사에게 알린다.
2)chest tube가 완전히 빠졌을 때
즉시 손이나 홑이불, 거즈 등으로 그 부위에 압력을 가한 후 의사에게 알린다.
(근거: 튜브가 빠진 곳을 통해 공기가 늑막강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3)배액병이 쓰러졌을 때
대기에 노출되어 늑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게 된다. 빨리 병을 일으켜 세워 놓고 기능이 돌아오는지 확인한다. 환자에게 심호흡을 몇 번하도록 하여 늑막강 내로 공기를 배출 시킨다.
4)배액병을 흉부보다 높였을 때
즉시 병을 내려놓고 보고한다.
(근거: 배액병 내에 있는 물이 늑막강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이때 많은 물이 들어갔다면 폐는 허탈 되고 종격동은 변위된다.
5)Thoracic suction의 기능이 안 될 경우
다시 흡인 기능이 될 때까지 흡인기와 흉곽튜브를 분리하여 자연 배액을 시킨다.
(근거: 흡인기와 연결 시에는 water seal 이 안 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6.16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