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흉관삽입
-원리, 적응증, 절차, 환자간호
2. 밀봉흉관배액
- 원리, 종류, 절차, 환자간호
3. 흉관제거
-원리, 적응증, 절차, 환자간호
2. 밀봉흉관배액
- 원리, 종류, 절차, 환자간호
3. 흉관제거
본문내용
는 생리식염수 를 채운다.
(4) 밀봉병을 두 개의 구멍이 있는 고무마개로 막는다.
(5) 마개의 한 구멍에 긴 관을 삽입하여 물 표면 밑으로 2cm 정도 잠기도록한다.
(6) 마개의 다른 구멍에 짧은 관을 삽입하고 대기중에 열어둔다.
(7) 두 번째 병(배액병)을 구멍이 세 개있는 고무마개로 막는다.
(8) 고무마개 내로 짧은 관 세 개를 삽입한다.
(9) 세 번째 병(밀봉병)에 긴 관의 끝이 약 2cm 정도 물에 잠길 정도로 멸균증류수 또는 생리식염수를 채운다.
(10) 밀봉병을 두 개의 구멍이 있는 고무마개로 막는다.
(11) 고무마개의 한 구멍에 짧은 관을 삽입한다.
(12) 마개의 다른 구멍에 긴 관을 삽입하여 물 표면 밑으로 2cm 정도 잠기도록 한다.
(13) 네 번째 병(흡인조절병)에 멸균증류수나 생리식염수를 지시된 양만큼 채운다(보통 20cmH2O 흡인수준)
(14) 흡인조절병을 세 개의 구멍이 있는 고무마개로 막는다.
(15) 마개의 중간구멍을 통해 긴관을 삽입한다. 한쪽 끝은 용액에 잠기게하고 다른 한쪽끝은 대기에 열어둔다.
(16) 마개의 나머지 두 구멍에 각각 짧은 관을 삽입한다.
(17) 공기구멍이 있는 밀봉병의 긴관과 배액병의 짧은 관중 한 개, 다른 밀봉병의 긴관과 배액병의 남은 짧은 관 을 각각 멸균연결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18) 밀봉병의 짧은 관과 흡인조절병의 짧은 관 중 한 개를 멸균연결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19) 흡인조절병의 남은 짧은 관과 흡인기를 긴 연결관으로 연결한다.
(20) 병들을 받침대에 고정한다.
(21) 배액병의 중간
(4) 밀봉병을 두 개의 구멍이 있는 고무마개로 막는다.
(5) 마개의 한 구멍에 긴 관을 삽입하여 물 표면 밑으로 2cm 정도 잠기도록한다.
(6) 마개의 다른 구멍에 짧은 관을 삽입하고 대기중에 열어둔다.
(7) 두 번째 병(배액병)을 구멍이 세 개있는 고무마개로 막는다.
(8) 고무마개 내로 짧은 관 세 개를 삽입한다.
(9) 세 번째 병(밀봉병)에 긴 관의 끝이 약 2cm 정도 물에 잠길 정도로 멸균증류수 또는 생리식염수를 채운다.
(10) 밀봉병을 두 개의 구멍이 있는 고무마개로 막는다.
(11) 고무마개의 한 구멍에 짧은 관을 삽입한다.
(12) 마개의 다른 구멍에 긴 관을 삽입하여 물 표면 밑으로 2cm 정도 잠기도록 한다.
(13) 네 번째 병(흡인조절병)에 멸균증류수나 생리식염수를 지시된 양만큼 채운다(보통 20cmH2O 흡인수준)
(14) 흡인조절병을 세 개의 구멍이 있는 고무마개로 막는다.
(15) 마개의 중간구멍을 통해 긴관을 삽입한다. 한쪽 끝은 용액에 잠기게하고 다른 한쪽끝은 대기에 열어둔다.
(16) 마개의 나머지 두 구멍에 각각 짧은 관을 삽입한다.
(17) 공기구멍이 있는 밀봉병의 긴관과 배액병의 짧은 관중 한 개, 다른 밀봉병의 긴관과 배액병의 남은 짧은 관 을 각각 멸균연결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18) 밀봉병의 짧은 관과 흡인조절병의 짧은 관 중 한 개를 멸균연결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19) 흡인조절병의 남은 짧은 관과 흡인기를 긴 연결관으로 연결한다.
(20) 병들을 받침대에 고정한다.
(21) 배액병의 중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