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의 생리 및 해부, 심전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장의 생리 및 해부, 심전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심장의 해부

Ⅱ. 심장의 생리

Ⅲ. 심전도

본문내용

유가 대단히 바른 빈도로 제각기 수축하게 되며, 빠르고 불규칙한 리듬 때문에 심방 표면이 떨리게 된다. 심박수는 160~200회 정도이며 불규칙하다. 동성 P파를 볼 수 없으며 기저선이 불규칙한 동요를 보인다. QRS는 주기가 불규칙하나 모양은 정상에 가깝다. 심실박동이 빠를 때에는 요골맥박수가 심첨 맥박수보다 매우 적어지는데(맥박결손) 이것은 비효율적인 심실수축으로 인한 심박출량의 감소를 의미한다. digitalis, quinidine, verapamil을 사용하기도 하며 심할 경우 cardioversion을 이용하기도 한다.
③ 방실 연접부성(AV junction) 부정맥 : 방실 결절과 His bundle 부분을 포함해서 일반적으로 방실연접부라고 명명한다. 방실 연접부에서 발생되는 부정맥은 발실연접부가 동방결절의 심박조절자 역할을 대신함으로써 오는 장애와 방실 연접부 전도장애가 오는 부정맥을 들 수 있다. 심실 경색증, 심장수술로 인한 방실 연접부의 손상, 국소 빈혈, digitalis 중독증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방실 연접부성 조기 수축(junctional prematura contraction : JPT) : 방실 연접부의 자극이 심방내로 역행되기 때문에 음성 P파를 볼 수 있다. PR 간격이 짧고(0.2초 이하) QRS 형태는 정상과 거의 같다.
- 방실 연접부성 발작성 빈맥(junctional paroxysmal tachycardia : JPT) : 전기적 회귀현상으로 발생된 이소성 자극에 의하여 발작적으로 심박수가 현저히 증가된 상태이며 연접부성 고유빈맥과 발작성 방실연접부 빈맥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disgitalis 중독시 나타날 수있으며 심실성 빈맥이나 심실세동으로 이행될 수 있다. digitalis 투여를 중지하거나 K+를 즉각으로 보충해 주면 대부분 치료되며 응급시에는 lidocaine이나 propranolol 등 항부정맥제를 투약한다.
- 방실 연접부성 보충수축(junctional escape beat) : 심한 동성서맥, 동방블록, 방실블록 등으로 심방으로부터 자극이 심실로 전달되지 못하며 AV junction이 동방결절을 대신에 자극을 방출, 심박조절자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심실을 수축시키는 것을 말하며 예정된 정상수축보다 늦게 나타난다. 심박수는 60회 정도이고 리듬은 규칙적이며 동성 P파를 볼수 없다.
④ 심실성 부정맥 : His bundle 이하 부위에서 발생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한 심실 흥분과 속지 전도장애로 온다. 심실성 부정맥은 대부분이 기질적인 심장질환으로부터 일어나기 때문에 심방 및 방실 연접부 부정맥보다 훨씬 심각하다.
- 심실성 조기수축(ventricular premature contraction : VPC) : 심실의 정상수축이 일어나기 전에 심실의 방실속 분기점의 하부에서 수축이 앞당겨 일어나는 비정상적 박동으로 가장 흔한 부정맥이다. 심전도에서 QRS군 앞에 P파가 나타나지 않으며 QRS군은 폭이 넓고 모양이 변형되어 나타나며 곧이어 짧은 휴지기를 갖는다. 3개 이상의 연속되거나 분당 5회 이상 나타나는 심실성조기수축은 발작성 심실성 빈맥과 심실조동, 심실세동과 같은 위험한 부정맥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는 기질적인 심질환이 없는 사람에게는 항 부정매제의 사용보다는 안정이 필요하고 심부전을 동반하는 경우는 digitalis 투여로 심실의 기능을 강화시킨다.
- 심실성 발작성 빈맥(paroxysmal ventricular tachycardia : PVT) : 심실 박동수는 대개 분당 150~200회로 규칙적이나 때로는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치명적인 심실세동이 발생될 일보 직전의 상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극히 위험한 부정맥이며 심실의 수축력이 감소되어 심근과 뇌의 국소 빈혈을 일으킨다. 원인은 허혈성 심질환, 급성 심근경색증, digitalis나 quinidine 중독 등이다. QRS 모양이 변형되고 ST와 T파는 역전되는 경우가 많으며 구별이 어렵다. 재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심장의 전기적 활동이 안정될 때까지 항부정맥제의 유지량을 계속 투여하며 procainamide, lidocaine, dilantine을 사용한다.
- 심실 조동(ventricular flutter) : 심실이 극히 빠른 속도로 흥분하는 위중한 부정맥이며 임상의 의의는 심실 세동과 거의 같다. 심질환의 말기, 급성 심근경색증, digitalis나 qunidine의 중독증이 원인이다. 심박수는 170~300회/분 정도이며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QRS파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출혈한다. QRS, ST, T파를 분명하게 구별할 수 dqjt으며 기저선이 크게 상하로 불규칙하게 동요하는 파형을 볼 수 있다.
- 심실 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 심실벽의 이소성 중추가 대단히 빠른 주기로 자극을 반복함으로써 오는 심장의 전기적, 기질적인 혼돈상태이다. 3~4분안에 즉각적인 응급치료로 효과적인 심실수축이 없게 되면 뇌와 심장의 불가역적 변화로 사망하게 된다. Adams-Stokes 발작, quinidine과 isopropranolol, digitalis 중독증의 결과로 오며 심박수는 300~600회/분이고, 세동파가 반복된다. 즉시 세동제거술(defibraillatioin) 실시하며 인공 심박동기나 수술 요법을 시행하기도 한다.
2) 자극 전도장애로 부정맥 - 전도장애는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흥분파가 심방, 심실로 전달되지 않고 전도계의 어딘가에서 차단된 상태이다.
① 동방 블록(sino-atrial blodck : SA block) : 동방 결절에서 형성된 전기자극이 심방으로 전달되지 않아 심방, 심실의 수축이 이러나지 않는 것이다. P파와 QRS군이 보이지 않으며 PP 간격이 지연된다. 심실 수축이 장시간 지연되거나 이소성 수축이 일어나지 않게 도면 Adam-Stokes 증후군의 원인이 된다. 심박수는 분당 40회 이하이다.
② 방실 블록(atrio-ventricular block : AV block) : 동발 결절에서 발생된 충격파가 방실 결절과 His bundle을 통과할 때 지연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9.01.19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