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화 란?
2. 프로이드
3. 문화와 인성학파
4. 루스베네딕트
5. 마가릿 미드
6. 인성이란?
7. 기본인성
8. 최빈인성 (듀보아)
9. 국민성 주장 --> 조지고러, HSU
10. 비교문화적 상관관계 (Cross - Cultural correlation) --> 화이팅
11. 사회구조와 인성
2. 프로이드
3. 문화와 인성학파
4. 루스베네딕트
5. 마가릿 미드
6. 인성이란?
7. 기본인성
8. 최빈인성 (듀보아)
9. 국민성 주장 --> 조지고러, HSU
10. 비교문화적 상관관계 (Cross - Cultural correlation) --> 화이팅
11. 사회구조와 인성
본문내용
고 할 수 있다.
프로이드는 인성의 형성을 인간의 신체 내에 있는 리비도의 발달과 더불어 설명하였고, 인간의 내적 충동과 이것을 억제하려는 외부세계와의 상호작용에서 찾았으며, 특히 내적 충동이 외부와의 접촉에서 방어기제를 발달시켰고 이것이 인성의 핵심이 되어 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이것을 성격이라 하였다.
고전적 조건화를 비롯한 행동주의적 접근법이 기존의 프로이트 식 해석과 어떻게 다른지 잠깐 생각해 봅시다. 똑같은 신경증에 대해 프로이트는 그것이 아이 시절 억압된 강렬한 성적 충동과 공격 성향이 제대로 해소되지 못해서 보다 은밀하고 상징적인 형태로 표출된 것으로 생각합니다. 프로이트의 환자 중 말 공포증을 갖고 있는 다섯 살 내기 한스의 경우를 봅시다. 프로이트는 말이라는 짐승에 대한 두려움이 한스의 정신역동적 충돌(Psychodynamic conflicts)의 표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유아기에 엄마를 유혹하고 싶다는 충동과 아빠 자리를 빼앗고 싶다는 충동이 억압되었고 한스는 말이라는 상징으로 자신을 위협하는 아빠를 투사했다고 해석했습니다. 어린이의 아버지에 대한 적개심을 동물에게 향한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결국 토테미즘은 프로이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증명한 것이 된다.(지나친 단순화의 억지;;;) 신경증 환자의 증상은 모두 개인의 내적충돌의 상징적 표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반면 행동주의자는 한스의 말 공포증을 단순히 상처입은 말이 피를 흘리는 것을 본 것에서 비롯된 고전적 조건화로 보았습니다. 심하게 다쳐서 피를 흘리는 말의 모습이 야기한 강렬한 공포가 한스로 하여금 말이라는 중립적자극을 공포로 연결한 것입니다. 이렇게 동일한 현상에 대해서 그것을 내적충돌의 표현이라는 복잡한 해석을 하지 않고 외부 상황에서 그 원인을 찾았습니다. 행동주의적 접근에서 보자면 프로이트식의 해석은 단순한 사실에 대해 과학적으로 검증될 수 없는 소설을 쓰고 있는 것입니다.
육아관행은 환경에 적응한 결과
성년의례(혹독한 남아 성년식) ex> 할례의식 - 한 사회의 남성구성원으로 수용·편입
1. 아이들의 잠자리 (엄마의 보살핌) - 육아관습이 모의 지속적·오랜기간~
(배타적 모·유아 취침상)
2. 출산 후 상당기간 성관계 금기
반대 성을 동일시하는 경향 (성 정체성 확립이 아님)
모에 대한 애착·의존
웨스트 마크 이론
어릴때는 성적 관념이 없다. (유아기부터 함께 자란 사람 간에는 성적인 매력을 잃게 된다는 점에 근거) --> 형제자매간에도 성적인 매력을 느낄 때가 있기 때문에 반대 (비판)
증명을 위해 어린 시절을 같이 보낸다. (독립변인)
성적 관심이 높다. (종속변인)
11. 사회구조와 인성
-지속성·동일성을 전제 --> 국민성 연구가 특히 심함 (uniformity assumption 의 반론)
Social structure / personality
ex> 마르크스는 국민성보다는 노동계급·유산계급 여부가 인성에 영향, 모든 심리학은 계급이다. (계급 심리학 사회구조상 어디에 속해 있는가가 그 사람들의 의식·생각등을 결정한다고 생각함
) 노동조건 --> 계급의식 --> 생각과 행동에 영향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가 -- 의식결정
종교는 하위계층을 억압하는 수단·이념적 도구
부르조아 - 개인주의·합리주의·자유주의 성향 (상부구조 - 하부구조)
마르크스는 인도의 카스트제도에 대해 계급은 하부계층들의 노동착취를 위한 수단일 뿐 즉 상급계층들이 만들어낸 개념일 뿐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문화와 사회와의 관계
사회가 존재하는 것은 제도가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제도는 역사적 산물로서 이를 우리는 문화라고 한다. 이와 같은 문화는 사회를 유지하는 법칙으로서 사회의 존재, 존속에 필요하며 출생한 개인을 사회화 과정을 통하여 사회구성원으로 만들어간다.
조지포스터(G. Foster)
농민 인성연구 - 멕시코 농민(찐쭌짜)
제한된 재화 (물질적·비물질적) ex> 파이의 조각(제로썸 게임)
-> 피도 한정적이라고 생각하여 헌혈 X
숙명론적·운명론적 (외부사회와의 단절)
(비판) 농민혁명 설명 X , 다른 사회와 상호작용하므로 고립X
빈곤문화
오스카 루이스(Oscar Lewis)에 의하여 처음 제시되었다. 루이스는 1951년 멕시코 교외의 테포스틀란이라는 빈민지역에서 인류학적 현지조사를 실시한 후 그곳 주민들의 생활양식과 태도 ·가치관 등에서 볼 수 있는 특징들을 빈곤문화라고 정의하였다.
그에 따르면, 빈곤문화는 빈민집단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의지와 통제력에서 벗어나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조건 속에서 삶을 영위해나가기 위하여 택하는 적응과정의 산물이다. 그러므로 빈곤문화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해석될 수 있다.
빈곤문화의 특징으로 지적되는 측면들은 다음과 같다.
효율적인 참여의 결여, 조직의 미발달, 유년시절(幼年時節)의 결여, 남존여비 경향, 언어사용의 특색, 자아에 대한 관념의 미발달, 남녀간 구분의 불명확성, 충동자제력의 결여, 소비지향적인 생활의 결여, 미래에 대비하는 생활의 결여, 모든 종류의 심리적 압박감에 대한 강한 인내력 등이다.
일반적으로 빈곤문화는 사회적 ·병리학적인 측면에서 이해되었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빈곤계층의 집단을 강제로 철거시키는 급진적이고 피상적인 방법과, 건전하고 미래지향적인 중간계층의 가치관과 생활방식으로 이를 대체시키는 점진적인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빈곤계층의 사람들이 사회적·경제적으로 적응하는 데 실패하는 것을 모두 그들 자신의 문화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결부시켜 탓함으로써, 아동과 청년을 대상으로 중간계층의 문화적 특성이라고 간주되는 것을 교육시키는 방법이 채택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반응은 중간계층의 것을 모든 가치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이른바 계급중심적인 사고방식의 반응이며, 빈곤문화를 부정적인 측면에서만 다룬 일방적인 해석에 원인이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참고문헌
문화와 인성
강의필기노트
인류학의 역사와 이론 -앨런 바너드-
하룻밤의 지식여행 인류학 -메릴 윈 데이비스-
일상 심리학의 이해(2007) -곽호완 외-
문화의 패턴 -루스베네딕트 저-
문화인류학의 역사 -가바리노 저-
문화인류학의 이해
프로이드는 인성의 형성을 인간의 신체 내에 있는 리비도의 발달과 더불어 설명하였고, 인간의 내적 충동과 이것을 억제하려는 외부세계와의 상호작용에서 찾았으며, 특히 내적 충동이 외부와의 접촉에서 방어기제를 발달시켰고 이것이 인성의 핵심이 되어 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이것을 성격이라 하였다.
고전적 조건화를 비롯한 행동주의적 접근법이 기존의 프로이트 식 해석과 어떻게 다른지 잠깐 생각해 봅시다. 똑같은 신경증에 대해 프로이트는 그것이 아이 시절 억압된 강렬한 성적 충동과 공격 성향이 제대로 해소되지 못해서 보다 은밀하고 상징적인 형태로 표출된 것으로 생각합니다. 프로이트의 환자 중 말 공포증을 갖고 있는 다섯 살 내기 한스의 경우를 봅시다. 프로이트는 말이라는 짐승에 대한 두려움이 한스의 정신역동적 충돌(Psychodynamic conflicts)의 표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유아기에 엄마를 유혹하고 싶다는 충동과 아빠 자리를 빼앗고 싶다는 충동이 억압되었고 한스는 말이라는 상징으로 자신을 위협하는 아빠를 투사했다고 해석했습니다. 어린이의 아버지에 대한 적개심을 동물에게 향한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결국 토테미즘은 프로이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증명한 것이 된다.(지나친 단순화의 억지;;;) 신경증 환자의 증상은 모두 개인의 내적충돌의 상징적 표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반면 행동주의자는 한스의 말 공포증을 단순히 상처입은 말이 피를 흘리는 것을 본 것에서 비롯된 고전적 조건화로 보았습니다. 심하게 다쳐서 피를 흘리는 말의 모습이 야기한 강렬한 공포가 한스로 하여금 말이라는 중립적자극을 공포로 연결한 것입니다. 이렇게 동일한 현상에 대해서 그것을 내적충돌의 표현이라는 복잡한 해석을 하지 않고 외부 상황에서 그 원인을 찾았습니다. 행동주의적 접근에서 보자면 프로이트식의 해석은 단순한 사실에 대해 과학적으로 검증될 수 없는 소설을 쓰고 있는 것입니다.
육아관행은 환경에 적응한 결과
성년의례(혹독한 남아 성년식) ex> 할례의식 - 한 사회의 남성구성원으로 수용·편입
1. 아이들의 잠자리 (엄마의 보살핌) - 육아관습이 모의 지속적·오랜기간~
(배타적 모·유아 취침상)
2. 출산 후 상당기간 성관계 금기
반대 성을 동일시하는 경향 (성 정체성 확립이 아님)
모에 대한 애착·의존
웨스트 마크 이론
어릴때는 성적 관념이 없다. (유아기부터 함께 자란 사람 간에는 성적인 매력을 잃게 된다는 점에 근거) --> 형제자매간에도 성적인 매력을 느낄 때가 있기 때문에 반대 (비판)
증명을 위해 어린 시절을 같이 보낸다. (독립변인)
성적 관심이 높다. (종속변인)
11. 사회구조와 인성
-지속성·동일성을 전제 --> 국민성 연구가 특히 심함 (uniformity assumption 의 반론)
Social structure / personality
ex> 마르크스는 국민성보다는 노동계급·유산계급 여부가 인성에 영향, 모든 심리학은 계급이다. (계급 심리학 사회구조상 어디에 속해 있는가가 그 사람들의 의식·생각등을 결정한다고 생각함
) 노동조건 --> 계급의식 --> 생각과 행동에 영향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가 -- 의식결정
종교는 하위계층을 억압하는 수단·이념적 도구
부르조아 - 개인주의·합리주의·자유주의 성향 (상부구조 - 하부구조)
마르크스는 인도의 카스트제도에 대해 계급은 하부계층들의 노동착취를 위한 수단일 뿐 즉 상급계층들이 만들어낸 개념일 뿐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문화와 사회와의 관계
사회가 존재하는 것은 제도가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제도는 역사적 산물로서 이를 우리는 문화라고 한다. 이와 같은 문화는 사회를 유지하는 법칙으로서 사회의 존재, 존속에 필요하며 출생한 개인을 사회화 과정을 통하여 사회구성원으로 만들어간다.
조지포스터(G. Foster)
농민 인성연구 - 멕시코 농민(찐쭌짜)
제한된 재화 (물질적·비물질적) ex> 파이의 조각(제로썸 게임)
-> 피도 한정적이라고 생각하여 헌혈 X
숙명론적·운명론적 (외부사회와의 단절)
(비판) 농민혁명 설명 X , 다른 사회와 상호작용하므로 고립X
빈곤문화
오스카 루이스(Oscar Lewis)에 의하여 처음 제시되었다. 루이스는 1951년 멕시코 교외의 테포스틀란이라는 빈민지역에서 인류학적 현지조사를 실시한 후 그곳 주민들의 생활양식과 태도 ·가치관 등에서 볼 수 있는 특징들을 빈곤문화라고 정의하였다.
그에 따르면, 빈곤문화는 빈민집단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의지와 통제력에서 벗어나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조건 속에서 삶을 영위해나가기 위하여 택하는 적응과정의 산물이다. 그러므로 빈곤문화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해석될 수 있다.
빈곤문화의 특징으로 지적되는 측면들은 다음과 같다.
효율적인 참여의 결여, 조직의 미발달, 유년시절(幼年時節)의 결여, 남존여비 경향, 언어사용의 특색, 자아에 대한 관념의 미발달, 남녀간 구분의 불명확성, 충동자제력의 결여, 소비지향적인 생활의 결여, 미래에 대비하는 생활의 결여, 모든 종류의 심리적 압박감에 대한 강한 인내력 등이다.
일반적으로 빈곤문화는 사회적 ·병리학적인 측면에서 이해되었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빈곤계층의 집단을 강제로 철거시키는 급진적이고 피상적인 방법과, 건전하고 미래지향적인 중간계층의 가치관과 생활방식으로 이를 대체시키는 점진적인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빈곤계층의 사람들이 사회적·경제적으로 적응하는 데 실패하는 것을 모두 그들 자신의 문화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결부시켜 탓함으로써, 아동과 청년을 대상으로 중간계층의 문화적 특성이라고 간주되는 것을 교육시키는 방법이 채택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반응은 중간계층의 것을 모든 가치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이른바 계급중심적인 사고방식의 반응이며, 빈곤문화를 부정적인 측면에서만 다룬 일방적인 해석에 원인이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참고문헌
문화와 인성
강의필기노트
인류학의 역사와 이론 -앨런 바너드-
하룻밤의 지식여행 인류학 -메릴 윈 데이비스-
일상 심리학의 이해(2007) -곽호완 외-
문화의 패턴 -루스베네딕트 저-
문화인류학의 역사 -가바리노 저-
문화인류학의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