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유기행가사, 유배기행가사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유기행가사, 유배기행가사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기행가사의 개념
Ⅱ. 관유기행가사
1. 관유기행가사의 개념
2. 작품 개관
3. 작품 연구
1) 백상루별곡
2) 금강별곡
4. 관유기행가사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
Ⅲ. 유배기행가사
1. 유배기행가사의 개념
2. 작품 개관
3. 작품 연구
1) 만분가
2) 만언사
4. 유배기행가사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관유기행가사, 유배기행가사 연구
근세시가론
목차
Ⅰ. 기행가사의 개념
Ⅱ. 관유기행가사
1. 관유기행가사의 개념
2. 작품 개관
3. 작품 연구
1) 백상루별곡
2) 금강별곡
4. 관유기행가사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
Ⅲ. 유배기행가사
1. 유배기행가사의 개념
2. 작품 개관
3. 작품 연구
1) 만분가
2) 만언사
4. 유배기행가사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
Ⅰ. 기행가사의 개념
기행가사는 \'여행\'을 요소로, \'가사\'를 형식 요소로 한다. 즉 기행가사는 여행을 통해 얻은 그 모든 것을 내용으로 하여 가사의 형식을 빌어 형상화 한 작품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의 \'기행문\'을 바라보는 시선으로 기행가사를 이해하려고 하면 작품을 이해하는데 오류를 범할 수 있다. 흔히 기행문학의 요소로 여정, 견문, 감상을 드는데 기행가사에 이 모든 것이 꼭 들어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작자가 지내던 곳을 떠나 어떤 곳으로 이동하여 작품을 썼다면 그것도 크게 보아 기행가사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조선 초기의 기행가사는 일반적으로 귀로를 생략하거나 축소하고 있다. 특히 목적지까지의 노정과 돌아오는 노정이 같을 때에는 어김없이 귀로를 생략하거나 축소한다. 또한 목적지까지의 노정과 돌아오는 노정이 않을 때에도 목적지에서 서술자의 정서와 사상 등이 완결되었기 때문에 귀로를 생략하거나 축소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행가사에서 축발, 여정, 목적지, 귀로의 여행 구조를 기본으로 목적지까지의 노정이나 귀로가 생략되어 있다 하더라도 목적지에서의 노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고, 목적지에서의 견문과 대상에 대한 느낌을 담은 가사 형식의 작품을 기행가사라 할 수 있다.
기행가사는 내용과 동기 등을 기준을 이용해 4가지로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다. 관유기행가사, 유배기행가사, 표류기행가사, 사행기행가사가 그것이다. 각각에 대한 것은 다음에서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관유기행가사 (觀遊紀行歌辭)
1. 개념
관유기행가사란 작가가 자의나 타의(왕명)에 의해 국내 여행 중에 경험한 산천과 그 지방의 명승지를 풍류적 시각으로 형상화한 기행가사를 말한다. 자연을 완상하고 느낌을 기록한 가사들을 전통적인 용어를 빌어 관유기행가사라 한다. 하지만 \'觀\'을 단순히 사물을 구경한다는 뜻이 아니라 \'사물을 잘 주의하여 본다\'라는 의미로 해석하고, \'遊\'를 \'즐겁게 노님\'의 뜻으로 받아들여, \'觀遊\'를 사물을 잘 주의하여 보고 그 속에서 즐겁게 노닌다\'라는 뜻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이것은 대상을 형상화하는 데 있어 대상에게서 어떤 느낌 의미를 받는다는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대상에게 어떤 느낌 의미를 부여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는 것을 뜻한다.
2. 관유기행가사 개괄
순번
작품이름
지은연대
지은이
실린곳
분량(구)
참조
1
關西別曲
1556
白光勳(백광홍)
岐峰集(기봉집)
172
2
關東別曲
1580
鄭澈(정철)
松江歌辭(송강가사)
294
3
百祥樓別曲
1595
李俔(이현)
交翠堂集(교취당집)
136

4
出塞曲
1617
曺友仁(조우인)
166
5
寧三別曲
1704
權燮(권섭)
玉所稿(옥소고)
224
6
香山別曲
1712-1713경
미 상
筆寫
330
7
金剛別曲
1739
朴淳愚(박순우)
明村遺稿(명촌유고)
400

8
탐라별곡
1750
鄭彦儒(정언유)
迂軒集(우헌집)
240
9
香山錄
1794년이후
미 상
목판(국립도서관)
184
3. 작품연구
1) 백상루별곡(百祥樓別曲)
작자명
이현(李俔)
형식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136구이다. 형식은 3·4조와 4·4조가 주축을 이루며, 3·3조가 적지않게 나온다.
시간적 배경
1595년(선조 28)
공간적 배경
평안도 안주(安州) 백상루
내용
백상루의 묘사로 시작하여 묘향산, 약산동대 등의 원경을 거쳐 청천강과 그 주변의 근경을 묘사하고 자신이 안주로 오게 된 동기와 개인적인 심정을 노래.
(1) 작자 이현(李俔, 1540~1618, 중종35년~광해군10년)
자는 경연(磬然), 호는 교취당(交翠堂), 세종대왕의 4남 임영대군(臨瀛大君)의 증손이다. 정유재란 당시, 경략조선군무사(經略朝鮮軍務使) 양호(楊鎬)와 명(明)나라 군사를 맞기 위하여 1595년(선조28)에 영위사(迎慰使)가 되어 평북 안주(安州)에 1년 반 동안 머물렀다. 머무는 동안 백상루는 경치가 좋은데 불리우는 노래가 없다는 지역민의 부탁으로 <백상루별곡>을 짓게 되었다.
(2) 작품 분석
드런디 드런디: 들은지.
오라더니보관디고샹누(百祥樓)
~
비맹(飛) 비맹(飛): 나는 듯한 대마루.
이표묘() 표묘(): 멀리 아득하게 보이는 모양
여반쳔(半天)의들허시니
금벽(金碧) 금벽(金碧): 궁궐이나 사찰 등을 단청(丹靑)할 때 황금색과 푸른 빛의 고운 색채로 칠한 것을 말함.
이죠요(照耀) 죠요(照耀): 찬란하게 빛남.
여영낙(影落)쟝쥬(長州) 영낙쟝쥬(影落長州): 그림자가 길게 물 가운데 드리워 비침.
로다
위난(危欄) 위난(危欄): 위험한 난간.
을비겨안자 안(醉眼)으로도라보니
보통 기행가사의 첫머리는 여행 동기나 그 행장에 관해 먼저 언급하지만 <백상루별곡>은 처음부터 사정이 다르다. “들은지 오래더니 보았구나 백상루”라고 운을 떼며 백상루의 모습을 묘사하기 시작한다. 또한 그렇게 시작된 풍경의 변화는 여행자의 이동에 따른 것이 아닌 시선의 이동에 따르고 있는데 이와 같은 모습은 타인에 의해 부탁받는 것이라는 창작동기의 특수함과 그 대상이 누대라는 한정된 공간이기 때문이다.
백상루의 모습은 비맹, 즉 백상루의 처마가 나는 듯이 높이 솟아 하늘에 들 정도이고, 황금색과 푸른 빛의 고운 색채로 칠해진 누대의 그림자가 떨어져 강에 길게 드리우고 있다고 미사여구를 동원하여 묘사하고 있다. 이때 백상루의 묘사는 “위험한 난간을 빗겨 앉아 취한 눈으로 돌아본”다는 구절로 볼 때, 이미 백상루에 올라 사람들과 술을 마시며 어느 정도 흥취가 올랐을 때임을 알 수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2.10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3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