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국제결혼의 개념과 특성
1) 국제결혼의 개념
2)국제결혼의 특성
2. 국제결혼의 현황
1) 국제결혼의 현황
2) 국제결혼 과정과 배경
3. 국제결혼가족의 생활 실태와 욕구
1) 국제결혼가족의 실태와 욕구
2)국제결혼가족의 문제
4. 국제결혼가족의 복지정책과 서비스 현황
1) 보건복지가족부의 국제결혼가족을 위한 지원정책
2) 여성가족부의 결혼이민자가족을 위한 정책
3) 법무부 - 안정적 체류 지원 및 인권 정보 제공
4) 문화부(문화체육관광부) - 언어 및 문화 이해 교육 추진
5) 노동부 - 일자리 알선 및 훈련지원 방안
5. 국제결혼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결혼이민자의 시민적 권리 보장
2) 가족해체의 예방과 다양한 문화·가치관의 공존 지원
3) 사회안전망과 사회복지서비스 확충
4)보건 의료 서비스 정비
5) 결혼이민자지원 정책의 방향과 계획에 대하여
6. 국제결혼가족의 관련기사 및 동영상
1) 국제결혼의 개념
2)국제결혼의 특성
2. 국제결혼의 현황
1) 국제결혼의 현황
2) 국제결혼 과정과 배경
3. 국제결혼가족의 생활 실태와 욕구
1) 국제결혼가족의 실태와 욕구
2)국제결혼가족의 문제
4. 국제결혼가족의 복지정책과 서비스 현황
1) 보건복지가족부의 국제결혼가족을 위한 지원정책
2) 여성가족부의 결혼이민자가족을 위한 정책
3) 법무부 - 안정적 체류 지원 및 인권 정보 제공
4) 문화부(문화체육관광부) - 언어 및 문화 이해 교육 추진
5) 노동부 - 일자리 알선 및 훈련지원 방안
5. 국제결혼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결혼이민자의 시민적 권리 보장
2) 가족해체의 예방과 다양한 문화·가치관의 공존 지원
3) 사회안전망과 사회복지서비스 확충
4)보건 의료 서비스 정비
5) 결혼이민자지원 정책의 방향과 계획에 대하여
6. 국제결혼가족의 관련기사 및 동영상
본문내용
. 대표적인 문제 사례로는 연령에 맞지 않는 이유식 먹이기, 모유 수유 실패, 신생아 필수 예방접종 안 하기 등을 꼽았다.
“다문화가정 소아청소년들의 건강상태는 위험수위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전염병 예방접종 문제는 심각한 상황이죠. 기초생활수급권자, 차상위계층 등 취약계층 아이들의 예방접종률은 59.3%로 일반가정 아이들의 92.1%보다 크게 낮은 점도 문제지만,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에 대한 예방접종률은 통계조차 없는 실정입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홍역 수두 뇌수막염 등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병에도 쉽게 걸리고 치료 비용과 기간도 그만큼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한편 의사회는 앞으로 결혼이민자 가정을 포함한 저소득층 가정에서 자라는 소아청소년들의 건강을 위해 관련 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이 회장은 “이러한 노력이 계속되면 분명 소아청소년들의 건강증진에 보탬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http://www.donga.com/docs/magazine/weekly/2008/08/04/200808040500065/200808040500065_1.html
(9) “보건소 ‘다문화가정 프로그램’ 이용해보세요”
경기 시흥시보건소가 벌이고 있는 ‘다문화 가정 모자보건 프로그램’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보건소는 모자 보건서비스의 사각지대에 있는 다문화 가정 여성과 자녀를 위한 ‘엄마사랑 아기마사지 교실’ ‘출산준비 교실’ 등 모자보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http://photo.donga.com/usr/photopro/phnview.php?cgubun=200306130007&photo_idxno=81114
2) 국제결혼가족의 관련동영상 <동영상에 링크가 걸려있습니다.>
(1) 복지부, \"다문화 가정 자녀들 언어습득 돕는다
(2) 우리사회 인종차별 문제 정면으로 다뤄
추석 이튿날인 7일 오전 방영된 < SBS > 특집드라마 \'깜근이 엄마\'가 인터넷 실시간 인기검색어 상위를 점령했다. 특히 이 드라마에서 극중 명근이로 출연한 실제 혼혈아 김지한군(9)이 단연 화제다.
극중 조상목(이원종 분)과 필리핀 출신 여자 떼레시따의 아들 조명근 역을 맡은 김군은 실제 한국인 어머니인 김돈희씨와 방글라데시인 아버지 유스프씨 사이에 태어난 혼혈아다.
김군은 올해 초 하인즈 워드가 펄벅재단을 방한했을 당시 초청돼 우연히 한 방송사와의 뉴스 인터뷰에 응하며 \'깜근이 엄마\'를 연출한 윤류해 PD의 눈에 띄면서 연기자로 데뷔했다.
\'생짜\' 신인 김지한군 단연 화제
김군이 화제로 떠오른 것 못지않게 드라마 내용도 눈길을 끌었다. \'깜근이 엄마\'는 피 한 방울 안 섞인 아이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핏줄주의와 백인들에겐 관대하지만 아시아계 노동자들은 멸시하는 인종 차별주의에 젖어있는 우리 현실 사회를 되짚어 본 드라마다.무엇보다 우리 사회에서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인종 차별의 단면을 실제 혼혈아를 통해 차분하게 전달해 잔잔한 감동을 줬다는 것이 네티즌들의 평가다.
\'깜근이 엄마\' 시청자 의견 코너에는 드라마가 끝나자마자 100여건이 넘는 네티즌들의 의견이 올라오면서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대부분 \"인종 차별을 고발하는 내용에 크게 감동했다\"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우리사회 인종차별 문제 정면으로 다뤄
현실은 드라마나 영화보다 더 끔찍한 법이다. 실제 드라마에서 소재로 삼고 있는 내용은 현실 속 우리 사회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민족을 흡수하지 않는 배타성과 인종 차별이 만들어낸 그늘은 어느덧 우리 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됐다.
극중 깜근이 처럼 한국인과 아시아인 사이에서 태어난 2세를 \'코시안\'이라고 일컫는다. 지난 1997년 외국인 노동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단체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한국인(Korean)과 아시아인(Asian)을 합성해 만들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국제결혼은 3만쌍, 농어촌에 사는 남자 4명중 1명은 국제결혼을 한다. 이처럼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는 국제결혼에 따라 현재 2만명에 달하는 \'코시안\'의 수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단군의 자손\'은 아닐지 모르지만 분명 대한민국 국민인 그들. 하지만 대부분의 \'코시안\'들은 단일민족이라는 한국 사회의 뿌리깊은 배타적 풍토 속에 \'혼혈인\'이라는 이유로 소외받고 있다. 연출을 맡은 윤류해 PD는 \"추석은 단군의 자손들만이 아니라 이 땅에 살고 있는 누구든 함께 누릴 수 있는 것\"이라며 \"민족 최대의 명절이라고 불리는 추석을 맞아 내 이웃, 내 가족이 될 수도 있는 \'코시안\'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출처 : 오마이뉴스 및 SBS
(3)외국인 며느리들의 모국 알리기 (4) 결혼이민 여성, 빈혈·고혈압 등 건강 비상
(5)이주여성의 실태 (6)정부, 외국인 정책 기본법 제정
(7) 문화부, 다문화 축제로\'화합의 장\' 마련
한국정책방송(KTV위성방송 ch250)
http://www.ktv.go.kr/ktv_contents.jsp?cid=276317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출처] 결혼이민자가족의 현실과 다문화정책 방향 (지역재단) |작성자 지역재단
http://cafe.naver.com/krdf/382 작성자명-장수군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 소장 이현선
「보건복지부」 용역과제로 미래인력연구원(연구책임자: 설동훈)에서 2005년 수행한 연구 결과
http://www.moneytoday.co.kr/view/mtview.php?type=1&no=2008103011255124555&outlink=1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98&article_id=0001984114
http://www.ytn.co.kr/_comm/pop_mov.php?s_mcd=0103&s_hcd=&key=200811090510369441
http://news.kbs.co.kr/news.php?kind=c&id=1655856
http://cafe.naver.com/multiculturefamil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117
“다문화가정 소아청소년들의 건강상태는 위험수위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전염병 예방접종 문제는 심각한 상황이죠. 기초생활수급권자, 차상위계층 등 취약계층 아이들의 예방접종률은 59.3%로 일반가정 아이들의 92.1%보다 크게 낮은 점도 문제지만,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에 대한 예방접종률은 통계조차 없는 실정입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홍역 수두 뇌수막염 등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병에도 쉽게 걸리고 치료 비용과 기간도 그만큼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한편 의사회는 앞으로 결혼이민자 가정을 포함한 저소득층 가정에서 자라는 소아청소년들의 건강을 위해 관련 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이 회장은 “이러한 노력이 계속되면 분명 소아청소년들의 건강증진에 보탬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http://www.donga.com/docs/magazine/weekly/2008/08/04/200808040500065/200808040500065_1.html
(9) “보건소 ‘다문화가정 프로그램’ 이용해보세요”
경기 시흥시보건소가 벌이고 있는 ‘다문화 가정 모자보건 프로그램’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보건소는 모자 보건서비스의 사각지대에 있는 다문화 가정 여성과 자녀를 위한 ‘엄마사랑 아기마사지 교실’ ‘출산준비 교실’ 등 모자보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http://photo.donga.com/usr/photopro/phnview.php?cgubun=200306130007&photo_idxno=81114
2) 국제결혼가족의 관련동영상 <동영상에 링크가 걸려있습니다.>
(1) 복지부, \"다문화 가정 자녀들 언어습득 돕는다
(2) 우리사회 인종차별 문제 정면으로 다뤄
추석 이튿날인 7일 오전 방영된 < SBS > 특집드라마 \'깜근이 엄마\'가 인터넷 실시간 인기검색어 상위를 점령했다. 특히 이 드라마에서 극중 명근이로 출연한 실제 혼혈아 김지한군(9)이 단연 화제다.
극중 조상목(이원종 분)과 필리핀 출신 여자 떼레시따의 아들 조명근 역을 맡은 김군은 실제 한국인 어머니인 김돈희씨와 방글라데시인 아버지 유스프씨 사이에 태어난 혼혈아다.
김군은 올해 초 하인즈 워드가 펄벅재단을 방한했을 당시 초청돼 우연히 한 방송사와의 뉴스 인터뷰에 응하며 \'깜근이 엄마\'를 연출한 윤류해 PD의 눈에 띄면서 연기자로 데뷔했다.
\'생짜\' 신인 김지한군 단연 화제
김군이 화제로 떠오른 것 못지않게 드라마 내용도 눈길을 끌었다. \'깜근이 엄마\'는 피 한 방울 안 섞인 아이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핏줄주의와 백인들에겐 관대하지만 아시아계 노동자들은 멸시하는 인종 차별주의에 젖어있는 우리 현실 사회를 되짚어 본 드라마다.무엇보다 우리 사회에서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인종 차별의 단면을 실제 혼혈아를 통해 차분하게 전달해 잔잔한 감동을 줬다는 것이 네티즌들의 평가다.
\'깜근이 엄마\' 시청자 의견 코너에는 드라마가 끝나자마자 100여건이 넘는 네티즌들의 의견이 올라오면서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대부분 \"인종 차별을 고발하는 내용에 크게 감동했다\"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우리사회 인종차별 문제 정면으로 다뤄
현실은 드라마나 영화보다 더 끔찍한 법이다. 실제 드라마에서 소재로 삼고 있는 내용은 현실 속 우리 사회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민족을 흡수하지 않는 배타성과 인종 차별이 만들어낸 그늘은 어느덧 우리 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됐다.
극중 깜근이 처럼 한국인과 아시아인 사이에서 태어난 2세를 \'코시안\'이라고 일컫는다. 지난 1997년 외국인 노동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단체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한국인(Korean)과 아시아인(Asian)을 합성해 만들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국제결혼은 3만쌍, 농어촌에 사는 남자 4명중 1명은 국제결혼을 한다. 이처럼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는 국제결혼에 따라 현재 2만명에 달하는 \'코시안\'의 수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단군의 자손\'은 아닐지 모르지만 분명 대한민국 국민인 그들. 하지만 대부분의 \'코시안\'들은 단일민족이라는 한국 사회의 뿌리깊은 배타적 풍토 속에 \'혼혈인\'이라는 이유로 소외받고 있다. 연출을 맡은 윤류해 PD는 \"추석은 단군의 자손들만이 아니라 이 땅에 살고 있는 누구든 함께 누릴 수 있는 것\"이라며 \"민족 최대의 명절이라고 불리는 추석을 맞아 내 이웃, 내 가족이 될 수도 있는 \'코시안\'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출처 : 오마이뉴스 및 SBS
(3)외국인 며느리들의 모국 알리기 (4) 결혼이민 여성, 빈혈·고혈압 등 건강 비상
(5)이주여성의 실태 (6)정부, 외국인 정책 기본법 제정
(7) 문화부, 다문화 축제로\'화합의 장\' 마련
한국정책방송(KTV위성방송 ch250)
http://www.ktv.go.kr/ktv_contents.jsp?cid=276317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출처] 결혼이민자가족의 현실과 다문화정책 방향 (지역재단) |작성자 지역재단
http://cafe.naver.com/krdf/382 작성자명-장수군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 소장 이현선
「보건복지부」 용역과제로 미래인력연구원(연구책임자: 설동훈)에서 2005년 수행한 연구 결과
http://www.moneytoday.co.kr/view/mtview.php?type=1&no=2008103011255124555&outlink=1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98&article_id=0001984114
http://www.ytn.co.kr/_comm/pop_mov.php?s_mcd=0103&s_hcd=&key=200811090510369441
http://news.kbs.co.kr/news.php?kind=c&id=1655856
http://cafe.naver.com/multiculturefamil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117
추천자료
(가족복지론) 이혼과 이혼가족에 관한 종합적 이해
가족복지론, 재혼가족에 대한 복지
국제결혼가정의 긍정, 부정적 측면과 사례연구
가족복지론 기말과제
(아동복지론)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인식전환 프로그램(학교프로그램) 보고서
가족복지론 - 가족의 이해
가족복지론(주간)-성학대
[가족복지론] 빈곤가족에 대하여
[가족복지론] 우리나라 미혼모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발전방안
[가족복지론]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 (다문화가족)
[가족복지론] 가족복지실천의 이슈인 빈곤, 이혼 및 재혼, 폭력 및 학대, 다문화가족, 중...
다문화가정 보고서(다문화학생, 다문화교육, 국제결혼가정, 다문화학생개입프로그램, 한국다...
가족복지론 알코올 중독가성 사례분석
가족복지론)다문화 가족 자녀들의 성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