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역류, 심방세동, 승모판 협착증 case study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동맥역류, 심방세동, 승모판 협착증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정보 조사지

3. 진단검사

4. 약물

5. 교육계획안

본문내용

와 목덜미에 통증이 오면서 두통이 동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자주 자세를 바꿔주거나 때때로 몸을 움직여 풀어주는 것이 좋다.
⑥ 근육이완을 해주면 좋다.
별다른 이상이 없이 생기는 만성 두통은 심인성 두통인 경우가 많다. 긴장되고 초조한 마음을 풀어주는 것만으로도 두통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는데, 그 방법으로 근육이완법을 시행해본다. 편안하게 앉거나 누워서 다리 부위부터 살살 문지르면서 근육을 풀어준다. 점차 윗몸 부위로 옮겨가면서 마사지하듯이 근육을 풀어준다. 얼굴과 머리까지 비비듯 마사지해주는 것으로 끝낸다. 이때 숨을 천천히 들이마시고 내뱉으면서 호흡 조절을 해주는 것이 좋다.
◈ 주요 지압점 & 지압 요령
백회: 양귀와 머리 정중선이 만나는 곳
견정: 어깨에 있다. 위치는 젖꼭지에서 어깨로 일직선을 그으면 교차되는 곳
풍지: 귀 옆으로 튀어나온 뼈에서 약 1횡지 되는 곳
천주: 목 뒤의 굵은 근육과 후두골 경계선에 있다.
지압하는 요령
백회의 지압 : 3초간 5회, 3∼5회 반복
위치: 양쪽 귀와 전후 정중선이 교차되는 곳.
요령은 양손의 검지, 중지, 약지를 가지런히 서로 대고서 누른다.
타인 지압 시에는 머리맡에 앉아서 양 엄지를 겹쳐서 5초간 5회 누른다.
아문 : 한 손을 앞이마에 대고 다른 손 엄지로 오목하게 들어간 곳(아문)를 얼굴의 미간을 향하여 누른다. 서서히 신중하게 누르고 서서히 앞을 늦추어주도록 한다.(5초에서 7초간, 3회)
천주의 자기 지압
자기 지압 시에는 손을 깍지를 끼고 뒤에서 찝는 듯이 압을 가한다.
누르는 시간: 약 3초 내지 5초 정도. 5회정도함
풍지. 천주 : 한 손을 앞 이마에 대고 다른 손 엄지와 다른 네 손가락으로 찝는 듯이 3초간 3회 누른다.
천주. 아문. 천주 : 옆으로 뉘어 놓고 뒤에서 양 엄지를 겹쳐서 머리뼈를 따라 귀에서 목 뒤로 한점 한 점 신중히 3초간 3회 누른다.
견정의 지압
뒤에 서서 양쪽을 동시에 누르도록 한다.
누르는 시간: 약 3초 내지 5초 정도, 5회정도함
견정 : 옆으로 누운 자세로 머리맡에서 누르도록한다.
시간: 약 3초 내지 5초 정도 5회정도로 한다.
◈ 두통예방을 위한 식이요법
① 6시간 이상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것은 두통을 유발하는 큰 원인 중의 하나다.
음식을 장시간 섭취하지 않으면 혈당치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 뇌로 혈당을 공급하는 혈관이 보상적으로 뇌혈류를 빠르게 하고자 수축하게 된다. 혈관이 수축함에 따라 혈관주변의 말초신경이 자극되어 두통이 유발되고, 그 뿐만 아니라 혈관수축에 뒤따르는 혈관팽창에 의해서도 두통이 발생한다.
② 소량이나마 꼭 아침식사를 하고 저녁식사의 양을 줄이고 소량의 밤참을 먹는 것이 좋다. 특히 동물성 단백질은 서서히 소화되어 온종일 혈당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이 되므로 아침에 생선, 육류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지방은 인슐린대사를 방해하여 혈당을 낮추게 되므로 피하도록 한다. 반면에 섬유성분이 많은 식사는 혈당치를 안정시켜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작용케 한다.
만약에 아침 기상시 머리가 개운치 못하고 머리가 아프다면 수면 중에 혈당이 너무 떨어져 그럴 수 있다. 이런 경우 취침 전에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 예를 들면 한 잔의 우유, 한 두 장의 치즈, 작은 샌드위치를 가볍게 먹으면 수면 중 과도한 혈당저하에 의한 두통이 예방된다. 그러나 취침시 너무 과도한 음식섭취는 숙면을 방해하고 상대적으로 소화기관 쪽으로 혈류를 치우치게 하여 오히려 아침 기상 시 머리를 무겁고 아프게 한다.
특히 아민(amine), 단염소 글루탐산염(monosodium glutamate, MSG), 아질산염(nitrite), 아스파탐(aspartame), 카페인을 함유한 식품과 음료수는 강력한 두통유발인자로 알려져 있다.자주 머리가 아픈 분들은 한 번쯤 이들 음식물과의 관련성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한다.
1) 아민
티라민(tyramine)을 포함한 아민은 뇌 표면의 혈관을 수축시키고 뒤따르는 혈관팽창에 의해 두통을 야기한다. 아민을 많이 함유한 음식물은 치즈, 식초, 초콜릿, 양파, 적포도주, 호도, 콩, 파인애플, 바나나, 시금치, 요구르트, 청어, 동물의 간과 콩팥 등이 있다.
2) MSG
MSG는 음식의 향료성분으로 섭취하면 일반인의 10-25%에서 두통, 발한, 흉부 안면 턱의 조임감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두통은 MSG를 섭취하고 15-30분 후 발생하는데 관자놀이와 이마부위에서 쾅쾅거리거나 조이는 듯한 통증이다. MSG는 편두통환자에게 특히 주의를 요하며, 알코올과 같이 섭취하면 두통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3) 아질산염
아질산염에 예민한 사람의 뇌 표면 및 안면, 두피부위의 혈관을 확장시켜 두통을 유발한다. 대개는 아질산염이 들어있는 음식물을 섭취하고 30분내에 관자놀이부위에 심장이 고동치는 듯한 박동성의 통증이 생긴다. 아질산염이 많이 들어있는 대표적인 것은 핫도그로서 \"핫도그 두통\"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그 이외에도 소세지, 베이컨, 훈제 생선, 캔에 들어있는 햄, 소금에 절인 소고기, 살라미, 볼로냐, 페퍼로니 등에 아질산염이 많이 들어있다.
4) 아스파탐
아스파탐은 인공감미료로서 두통(특히 편두통)의 유발인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편두통환자는 청량음료, 껌, 저칼로리성 아이스크림과 디저트류에 아스파탐이 들어있는지 확인하고 먹는 습관이 필요하다.
5)카페인
카페인은 일차적으로 뇌 표면의 혈관을 수축시키지만, 이후에 카페인의 효과가 소멸되면서 혈관을 확장시키므로 두통을 야기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하루에 2-3잔의 커피를 마시면 혈관이 수축하는 작용이 우세하나, 4잔 이상을 마시면 혈관확장작용이 우세해진다. 또한 카페인은 커피이외에도 홍차, 코코아, 콜라 등에도 함유되다. 카페인은 이러한 두통이외에도 불면증, 불안(초조), 심장병, 방광암 등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하루에 두 잔 이하로 마시는 것이 좋다.
대상자에게 두통관리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직접 말해보도록 한다.
두통관리 자료를 주고, 스스로 식이요법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질환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한번 더 언급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9.02.19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