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월인석보 원문 제시
2. 본문 세부 분석
3. 현대어 풀이
2. 본문 세부 분석
3. 현대어 풀이
본문내용
월인석보 205p
- 월인석보 원문, 원문 분석, 현대어 풀이 -
우리말과 글의 역사
목차
1. 월인석보 원문 제시
2. 본문 세부 분석
3. 현대어 풀이
1. 월인석보 원문제시
聰총目목과調伏·뽁象:·과尼닝樓·왜:다·어·디더·니尼닝樓·는淨·飯·삔ㅅ祖·종上··이시·니·라夫붕人·이새·와:네아··:업게·호리·라·장·어:됴:·고:조심··야·녀王·이·맛·드러갓가···거시···情欲·욕·앳:이·른·미·즐·거···니나··이제시·르·미기·퍼:넘난·미:업수·니願·을일·우·면:져그·나기·튼·즐거··미이시·려니·와내:말옷아니드르시면외즐거미:업스례다王왕이盟명誓서야드로리라신대夫붕人이뎌:네아어딜어늘내아리비록디라도사오나나라앗이리니王왕이:네아:내티쇼셔王왕이니샤:네아리孝道:고허믈:업스니어드리:내티료夫붕人인이나랏:이분별:야:노니:네아리어디러百·姓··의·모·도·아黨:·이·마이·러잇·니서르·토·아싸·호면나·라·히·그가·리·다王·이:네아·블·러니·샤·너:희디·마·니·혼:이·리잇·니·리·나가·라:네아··리各·각各·각·어마:님·내:뫼·고누의:님·내더·브·러·즉자·히·나가·니力·륵士:·와百·姓···히:만·히조·차가·니·라力·륵士:··힘:센:사·미·라雪·山산北·븍·에가·니雪·山산·산일·후미·라··히훤·고:됴고·지
2. 본문 세부 분석
▶ 聰目·목·과 調伏·뽁象:·과 尼닝樓·왜 :다· 어·디더·니
☞ 총목과 조복상과 니루가 모두 어질었는데
<참고> 보충 : 고마왕의 첫째 부인의 아들 장생이 (성미가) 사납고, 그 밖의 부인들의 아들 넷, 곧 조목과 총목과 조복상과 니루가 다 어질었는데
聰目·목·과 = 목 +과
- 聰目·목 : 총목. 고마왕의 아들 이름
* 고마왕 : 정반왕(淨飯王)의 윗대로 백세대째의 가비라국(迦毗羅國)의 임금.
- 과 : 공동의 부사격 조사. 앞받침이 자음이라 ‘과’가 옴.
調伏·뽁象:·과 = 조복상 + 과
- 調伏·뽁象: : 조복상. 고마왕의 아들 이름
- 과 : 공동의 부사격 조사. 앞받침이 자음이라 ‘과’가 옴.
尼닝樓·왜
- 尼닝樓 : 니루.정반왕(淨飯王)의 조상(祖上).
:다· : 모두
어·디더·니 :
- 어디 : 어질다의 어간. 디>지 로 된것은 구개음화.
- 더 : 과거회상 선어말어미
- 니 : 연결어미
▶ 尼닝樓·는 淨·飯·삔ㅅ祖·종上··이시·니·라
☞ 니루는 정반왕의 조상이시다.
尼닝樓는
- 尼닝樓 : 니루,정반왕의 조상, 동국정운식 표기
- 는 : 보조사
淨·飯·삔ㅅ
- 淨·飯·삔 : 중인도 가비라국(迦毗羅國)의 임금으로 석존(釋尊)의 아버지. 사자협왕(師 子頰王)의 아들. 동국정운식 표기
- ㅅ : 관형격 조사. 관형격조사는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 임의 자질을 갖지 않는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祖·종上·
- 祖·종上· : 조상
·이시·니·라
- 이 : 서술결조사 ‘이다’의 어간
- 시 : 주체높임 선어말 어미
- 니 : 확정법 선어말 어미
- 라 : 종결어미 (평서형 ‘-다’의 변형)
▶ 夫붕人·이 새·와 :네 아·· :업게·호리·라
☞ 부인이 질투하여 네 아들을 없어지게 하리라.
夫붕人·이 : 부인 +이
- 부인 : 부인
- 이 : 주격조사
새·와 = 새것과
- 새 : 새것의 옛말. 중세국어의 명사로도 쓰임.
(추측 : 새것이란 뜻이거나 혹은, 새오다- 질투하다. 이것의 한 형태는 아닐런지..)
- 와:부사격 조사. 모음과 ‘ㄹ’뒤에
:네
- :네 : 너는, 네가. 너+ㅣ(주격)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 ·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 ·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 혹은 수사. 네. 즉 네명의 아들을 뜻할 때 네명이 아닐까 함.
아·· : 아 +
- 아 : 아들
- : 을. 목적격 조사
자음 뒤
모음 뒤
양성모음
음성모음
을
를
<목적격 조사>
:업게
- 업-: 업다의 어간
- 게 : 어미
·호리·라 =하리라.
- -: 어간
- 오/우 : 의도법 선어말 어미
- 리 : 추측법. 미래시제 선어말어미
- 라 : 종결어미
▶ ·장 ·어 :됴:·고 :조심··야 ·녀
☞ 매우 단장하여 좋은 모양하고 조심해서 다니어
·장
- 장 : 충분히. 크게. 매우. ‘장’은 부사 외에 명사. 조사로도 쓰였음.
·어
- 어 : +어. 꾸미어. 단장하여.
:됴 :
- 월인석보 원문, 원문 분석, 현대어 풀이 -
우리말과 글의 역사
목차
1. 월인석보 원문 제시
2. 본문 세부 분석
3. 현대어 풀이
1. 월인석보 원문제시
聰총目목과調伏·뽁象:·과尼닝樓·왜:다·어·디더·니尼닝樓·는淨·飯·삔ㅅ祖·종上··이시·니·라夫붕人·이새·와:네아··:업게·호리·라·장·어:됴:·고:조심··야·녀王·이·맛·드러갓가···거시···情欲·욕·앳:이·른·미·즐·거···니나··이제시·르·미기·퍼:넘난·미:업수·니願·을일·우·면:져그·나기·튼·즐거··미이시·려니·와내:말옷아니드르시면외즐거미:업스례다王왕이盟명誓서야드로리라신대夫붕人이뎌:네아어딜어늘내아리비록디라도사오나나라앗이리니王왕이:네아:내티쇼셔王왕이니샤:네아리孝道:고허믈:업스니어드리:내티료夫붕人인이나랏:이분별:야:노니:네아리어디러百·姓··의·모·도·아黨:·이·마이·러잇·니서르·토·아싸·호면나·라·히·그가·리·다王·이:네아·블·러니·샤·너:희디·마·니·혼:이·리잇·니·리·나가·라:네아··리各·각各·각·어마:님·내:뫼·고누의:님·내더·브·러·즉자·히·나가·니力·륵士:·와百·姓···히:만·히조·차가·니·라力·륵士:··힘:센:사·미·라雪·山산北·븍·에가·니雪·山산·산일·후미·라··히훤·고:됴고·지
2. 본문 세부 분석
▶ 聰目·목·과 調伏·뽁象:·과 尼닝樓·왜 :다· 어·디더·니
☞ 총목과 조복상과 니루가 모두 어질었는데
<참고> 보충 : 고마왕의 첫째 부인의 아들 장생이 (성미가) 사납고, 그 밖의 부인들의 아들 넷, 곧 조목과 총목과 조복상과 니루가 다 어질었는데
聰目·목·과 = 목 +과
- 聰目·목 : 총목. 고마왕의 아들 이름
* 고마왕 : 정반왕(淨飯王)의 윗대로 백세대째의 가비라국(迦毗羅國)의 임금.
- 과 : 공동의 부사격 조사. 앞받침이 자음이라 ‘과’가 옴.
調伏·뽁象:·과 = 조복상 + 과
- 調伏·뽁象: : 조복상. 고마왕의 아들 이름
- 과 : 공동의 부사격 조사. 앞받침이 자음이라 ‘과’가 옴.
尼닝樓·왜
- 尼닝樓 : 니루.정반왕(淨飯王)의 조상(祖上).
:다· : 모두
어·디더·니 :
- 어디 : 어질다의 어간. 디>지 로 된것은 구개음화.
- 더 : 과거회상 선어말어미
- 니 : 연결어미
▶ 尼닝樓·는 淨·飯·삔ㅅ祖·종上··이시·니·라
☞ 니루는 정반왕의 조상이시다.
尼닝樓는
- 尼닝樓 : 니루,정반왕의 조상, 동국정운식 표기
- 는 : 보조사
淨·飯·삔ㅅ
- 淨·飯·삔 : 중인도 가비라국(迦毗羅國)의 임금으로 석존(釋尊)의 아버지. 사자협왕(師 子頰王)의 아들. 동국정운식 표기
- ㅅ : 관형격 조사. 관형격조사는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 임의 자질을 갖지 않는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祖·종上·
- 祖·종上· : 조상
·이시·니·라
- 이 : 서술결조사 ‘이다’의 어간
- 시 : 주체높임 선어말 어미
- 니 : 확정법 선어말 어미
- 라 : 종결어미 (평서형 ‘-다’의 변형)
▶ 夫붕人·이 새·와 :네 아·· :업게·호리·라
☞ 부인이 질투하여 네 아들을 없어지게 하리라.
夫붕人·이 : 부인 +이
- 부인 : 부인
- 이 : 주격조사
새·와 = 새것과
- 새 : 새것의 옛말. 중세국어의 명사로도 쓰임.
(추측 : 새것이란 뜻이거나 혹은, 새오다- 질투하다. 이것의 한 형태는 아닐런지..)
- 와:부사격 조사. 모음과 ‘ㄹ’뒤에
:네
- :네 : 너는, 네가. 너+ㅣ(주격)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 ·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 ·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 혹은 수사. 네. 즉 네명의 아들을 뜻할 때 네명이 아닐까 함.
아·· : 아 +
- 아 : 아들
- : 을. 목적격 조사
자음 뒤
모음 뒤
양성모음
음성모음
을
를
<목적격 조사>
:업게
- 업-: 업다의 어간
- 게 : 어미
·호리·라 =하리라.
- -: 어간
- 오/우 : 의도법 선어말 어미
- 리 : 추측법. 미래시제 선어말어미
- 라 : 종결어미
▶ ·장 ·어 :됴:·고 :조심··야 ·녀
☞ 매우 단장하여 좋은 모양하고 조심해서 다니어
·장
- 장 : 충분히. 크게. 매우. ‘장’은 부사 외에 명사. 조사로도 쓰였음.
·어
- 어 : +어. 꾸미어. 단장하여.
: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