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요가의 개념 및 종류
1) 요가란 무엇인가?
2) 핫요가란?
3) 핫요가를 하는 이유?
4) 요가의 종류
(2) 인도의 요가 문화
1) 자연과 인간의 고통을 넘어
2) 내면의 수련을 통한 우주와의 조화
3) 요가는 해탈을 위한 수행법
4) 요가 수련의 여덟 가지 단계
5) 종파를 넘어 실천으로
6) 인도 전통 요가의 종류(널리 알려진 하타요가경전 수록)
7) 체위를 하면서 주의 할 것
(3) 요가치료
(4) 한국요가의 현황과 비전(요가협회장 간담회)
1) 요가란 무엇인가?
2) 핫요가란?
3) 핫요가를 하는 이유?
4) 요가의 종류
(2) 인도의 요가 문화
1) 자연과 인간의 고통을 넘어
2) 내면의 수련을 통한 우주와의 조화
3) 요가는 해탈을 위한 수행법
4) 요가 수련의 여덟 가지 단계
5) 종파를 넘어 실천으로
6) 인도 전통 요가의 종류(널리 알려진 하타요가경전 수록)
7) 체위를 하면서 주의 할 것
(3) 요가치료
(4) 한국요가의 현황과 비전(요가협회장 간담회)
본문내용
독교 들이 들어오면서 인도의 많은 종파에서도 자기 반성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힌두교에서도 자기 반성과 함께 고유 문화를 다시 바라보는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이런 과정 속에서 요가도 전통 방법을 복고함과 동시에 새로운 요가 전개 운동이 나타났다.
라마크리슈나 또한 이런 운동을 펼쳤는데, 그이의 중심 사상은 모든 종교가 추구하는 것이 본질에 있어 같으므로 요가를 통하여 모든 종파를 초월하자는 것이었다. 각자가 요가를 통하여 절대자와 하나가 되는 \'바크티요가\'가 그이의 주된 수행법이었다. 그이는 신은 바깥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자신의 마음 속에서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신을 보려면 마음이 순결해야 하며 자아 의식을 없애야 한다고 했다. 그이에 따르면 신은 어떤 종교 이론이나 의식에 따라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체험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신을 경험하고 나면 세상의 모든 것이 신이고 그 가운데서도 사람은 가장 신을 닮은 모습이라고 했다. 나아가 어떤 종교의 교리에도 구애받지 않고 요가를 통하여 종교의 순수한 본질을 깨닫는 것이 그이의 목표였다.
그이의 사상을 이어받은 비베카난다는 더 적극적으로 생각하여 사람은 신의 모습을 하고 있으므로 사람에게 봉사하는 일이 곧 신에 대한 숭배라고 주장하며, 고통받는 이들에게 봉사하는 것이 종교 수행이라고 했다. 그이의 교파는 인도 여러 곳에 사원, 수도원, 학교, 병원 들을 가지고 사회 봉사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또한 슈리오로빈도는 인도의 전통 정신을 현대에 살리려는 요가 운동을 펼쳐 정치, 문학, 철학 들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그이의 철학은 주객이 본질에 있어 하나이며 이 말에는 자기와 외계가 일체라는 것도 포함된다고 보았다. 곧 신과 나는 본질이 같고 물질 세계는 신의 능력으로 나타난 현상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신의 능력을 입지 않고는 초인도 나타나지
않으며, 초인은 신에게 모든 것을 바친 사람이라고 했다. 그리고 그이는 요가를 중심으로 주체적인 자각을 할 때 종합적인 세계관이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나아가서 이러한 사람을 길러 내기 위해서는 요가 수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그이를 따르는 집단은 슈리오로빈도 교회인데 인도는 물론 세계 여러 나라에 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학교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명상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지금 인도에는 라마크리슈나와 비베카난다가 세운 라마크리슈나미션, 슈리오로빈도가 세운 슈리오로빈도협회, 스와비시바난다가 세운 신성생명협회가 \'현대 요가\'를 이끌고 있다. 요가가 관념이나 철학보다 실천과 수행을 우선으로 삼는다는 것을 그이들이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인도 요가, 따라해보세요\"
인도 뉴델리의 새로 개원한 힌두교 사원에서 아이들이 \'요가산\'을 공연하고있다. 이 사원은 인도의 수상과 대통령의 주도로 개원했다.
6)인도 전통 요가의 종류(널리 알려진 하타요가경전 수록)
요가에는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크게 갸냐요가(지혜의 요가), 까르마요가(행위의 요가), 박띠요가(신애의 요가)가 있습니다. 그리고 좀더 후대로 오면서 라자요가(왕요가), 하타요가(음양요가)등의 종류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비슷한 종류들끼리 분류하여 이름을 만들어서 붙인 것이며, 모두 고대의 요가경전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행법 또한 고대부터 내려오던 것입니다.
이중 하타요가는 아사나와 쁘라나야마를 이용하여 깨달음으로 가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아사나는 여러가지 신체적인 동작을 말합니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요가라고 하면 아사나로 많이 알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에는 현대요가가 보급될 때에 아사나가 먼저 들어와서 요가가 보급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냥 우리나라에서 요가라고 하면 하타요가를 보통 일컫는 것이며, 이것은 또한 아사나를 말함이기도 합니다
아사나(Asana)는 좌법(座法-바른 자세)을 말하며 우리 신체의 바르지 않는 자세를 여러가지 아사나행법을 통하여 신체의 막혀있던 기가 흐르는 통로를 뚫어주어 꾼달리니(척추의 기의 통로)가 깨어나도록 하는 행법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요가운동법 정도로 일반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요가센터에서도 하타요가를 가르키고 있습니다
요가 아사나란 요가수행 체계 8단계 금계,권계,체위,호흡,제감,집중,선정,삼매의 단계중 세번째인 아사나를 일반적으로 말합니다. 아사나(asana-座法-sit),좌법이라고도 하며, 체위(이하 체위라 함)라고도 합니다. 흔히들 요가 동작을 의미 하는 말로 받아들이기도 하나, 라자요가에서는 명상을 하기 위한 준비 단계라고도 하며 하타요가에서는 호흡을 위한 준비 단계인 동시에 체위 그 자체가 목적을 갖기도 합니다.
체위는 인간의 생리에 가장 적합한 자세이며, 인체의 골격, 근육, 신경, 내장 등 온몸에 영향을 줍니다. 특히 자신의 체질이나 병리적 특성에 맞게 적용 할 수 있습니다.
운동은 근육을 많이 사용해서 에너지 소모, 심폐 기능 강화의 효과가 있으나, 운동을 지나치게 할 경우에는 열이 많이 나고 그 열을 식히기 위해 체내의 진액이 땀으로 많이 빠져 나오게 됩니다. 하타 요가의 경전인 \"게란다 상히타\"에는 8,400만개의 체위종류가 있으며 \"프라디피카\"에서는 15가지가 있습니다. 보통 요가원에서는 10-12가지의 체위를 지도합니다. 각 체위는 신체의 부위나 오장 육부에 생리적으로나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릅니다. 따라서 개인의 체질,질병,환경,나이 등에 따라 맞는 체위를 해야만 합니다. 통상 인간의 생리적 구조와 생활습관 등을 고려한 체위는 10가지 정도면 충분합니다. 일반적으로 행하는 체위로는 뱀 체위,활 체위,메뚜기 체위,등펴기체위,쟁기 체위,물고기 체위,역물구 나무 체위,물구나무 체위,사자 체위등을 합니다. 이런 체위는 북방에 위치한 지리적,환경적,체질적 요인을 고려하여 행하는 체위들이며, 호흡과 명상에 필요한 좌법으로는 달인좌나 연화좌,반가부좌를 합니다.
7)체위를 하면서 주의 할 것
-무리하게 해서는 안된다
근육이나 관절을 무리하게 늘리지 않아야 합니다. 마치 요가동작은 남들이 하지 못하는 어려운 동작을 하는 것을 체위라 착각 하는데 이는 생리에
라마크리슈나 또한 이런 운동을 펼쳤는데, 그이의 중심 사상은 모든 종교가 추구하는 것이 본질에 있어 같으므로 요가를 통하여 모든 종파를 초월하자는 것이었다. 각자가 요가를 통하여 절대자와 하나가 되는 \'바크티요가\'가 그이의 주된 수행법이었다. 그이는 신은 바깥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자신의 마음 속에서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신을 보려면 마음이 순결해야 하며 자아 의식을 없애야 한다고 했다. 그이에 따르면 신은 어떤 종교 이론이나 의식에 따라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체험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신을 경험하고 나면 세상의 모든 것이 신이고 그 가운데서도 사람은 가장 신을 닮은 모습이라고 했다. 나아가 어떤 종교의 교리에도 구애받지 않고 요가를 통하여 종교의 순수한 본질을 깨닫는 것이 그이의 목표였다.
그이의 사상을 이어받은 비베카난다는 더 적극적으로 생각하여 사람은 신의 모습을 하고 있으므로 사람에게 봉사하는 일이 곧 신에 대한 숭배라고 주장하며, 고통받는 이들에게 봉사하는 것이 종교 수행이라고 했다. 그이의 교파는 인도 여러 곳에 사원, 수도원, 학교, 병원 들을 가지고 사회 봉사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또한 슈리오로빈도는 인도의 전통 정신을 현대에 살리려는 요가 운동을 펼쳐 정치, 문학, 철학 들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그이의 철학은 주객이 본질에 있어 하나이며 이 말에는 자기와 외계가 일체라는 것도 포함된다고 보았다. 곧 신과 나는 본질이 같고 물질 세계는 신의 능력으로 나타난 현상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신의 능력을 입지 않고는 초인도 나타나지
않으며, 초인은 신에게 모든 것을 바친 사람이라고 했다. 그리고 그이는 요가를 중심으로 주체적인 자각을 할 때 종합적인 세계관이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나아가서 이러한 사람을 길러 내기 위해서는 요가 수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그이를 따르는 집단은 슈리오로빈도 교회인데 인도는 물론 세계 여러 나라에 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학교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명상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지금 인도에는 라마크리슈나와 비베카난다가 세운 라마크리슈나미션, 슈리오로빈도가 세운 슈리오로빈도협회, 스와비시바난다가 세운 신성생명협회가 \'현대 요가\'를 이끌고 있다. 요가가 관념이나 철학보다 실천과 수행을 우선으로 삼는다는 것을 그이들이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인도 요가, 따라해보세요\"
인도 뉴델리의 새로 개원한 힌두교 사원에서 아이들이 \'요가산\'을 공연하고있다. 이 사원은 인도의 수상과 대통령의 주도로 개원했다.
6)인도 전통 요가의 종류(널리 알려진 하타요가경전 수록)
요가에는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크게 갸냐요가(지혜의 요가), 까르마요가(행위의 요가), 박띠요가(신애의 요가)가 있습니다. 그리고 좀더 후대로 오면서 라자요가(왕요가), 하타요가(음양요가)등의 종류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비슷한 종류들끼리 분류하여 이름을 만들어서 붙인 것이며, 모두 고대의 요가경전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행법 또한 고대부터 내려오던 것입니다.
이중 하타요가는 아사나와 쁘라나야마를 이용하여 깨달음으로 가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아사나는 여러가지 신체적인 동작을 말합니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요가라고 하면 아사나로 많이 알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에는 현대요가가 보급될 때에 아사나가 먼저 들어와서 요가가 보급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냥 우리나라에서 요가라고 하면 하타요가를 보통 일컫는 것이며, 이것은 또한 아사나를 말함이기도 합니다
아사나(Asana)는 좌법(座法-바른 자세)을 말하며 우리 신체의 바르지 않는 자세를 여러가지 아사나행법을 통하여 신체의 막혀있던 기가 흐르는 통로를 뚫어주어 꾼달리니(척추의 기의 통로)가 깨어나도록 하는 행법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요가운동법 정도로 일반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요가센터에서도 하타요가를 가르키고 있습니다
요가 아사나란 요가수행 체계 8단계 금계,권계,체위,호흡,제감,집중,선정,삼매의 단계중 세번째인 아사나를 일반적으로 말합니다. 아사나(asana-座法-sit),좌법이라고도 하며, 체위(이하 체위라 함)라고도 합니다. 흔히들 요가 동작을 의미 하는 말로 받아들이기도 하나, 라자요가에서는 명상을 하기 위한 준비 단계라고도 하며 하타요가에서는 호흡을 위한 준비 단계인 동시에 체위 그 자체가 목적을 갖기도 합니다.
체위는 인간의 생리에 가장 적합한 자세이며, 인체의 골격, 근육, 신경, 내장 등 온몸에 영향을 줍니다. 특히 자신의 체질이나 병리적 특성에 맞게 적용 할 수 있습니다.
운동은 근육을 많이 사용해서 에너지 소모, 심폐 기능 강화의 효과가 있으나, 운동을 지나치게 할 경우에는 열이 많이 나고 그 열을 식히기 위해 체내의 진액이 땀으로 많이 빠져 나오게 됩니다. 하타 요가의 경전인 \"게란다 상히타\"에는 8,400만개의 체위종류가 있으며 \"프라디피카\"에서는 15가지가 있습니다. 보통 요가원에서는 10-12가지의 체위를 지도합니다. 각 체위는 신체의 부위나 오장 육부에 생리적으로나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릅니다. 따라서 개인의 체질,질병,환경,나이 등에 따라 맞는 체위를 해야만 합니다. 통상 인간의 생리적 구조와 생활습관 등을 고려한 체위는 10가지 정도면 충분합니다. 일반적으로 행하는 체위로는 뱀 체위,활 체위,메뚜기 체위,등펴기체위,쟁기 체위,물고기 체위,역물구 나무 체위,물구나무 체위,사자 체위등을 합니다. 이런 체위는 북방에 위치한 지리적,환경적,체질적 요인을 고려하여 행하는 체위들이며, 호흡과 명상에 필요한 좌법으로는 달인좌나 연화좌,반가부좌를 합니다.
7)체위를 하면서 주의 할 것
-무리하게 해서는 안된다
근육이나 관절을 무리하게 늘리지 않아야 합니다. 마치 요가동작은 남들이 하지 못하는 어려운 동작을 하는 것을 체위라 착각 하는데 이는 생리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