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천의 정의 및 효과와 문제점 파악 및 각국의 유명온천 조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온천의 정의 및 효과와 문제점 파악 및 각국의 유명온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온천의 정의

(2) 온천의 분류

(3) 온천의 종류와 효과

(4) 우리나라 온천의 유래

(5) 우리나라 온천의 문제점

(6) 각 국가별 온천
1) 페루 온천
2) 타이완 온천
3) 프랑스 엑상프로방스 온천
4) 일본 온천

본문내용

열에너지의 일부가 태양열(太陽熱) 이외의 지구 내부 열원에 유래한다면 수온은 일반지하수와 차이가 있게 된다. 이러한 정의가 과학적이며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2)온천의 분류
온천은 성인적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4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① 열수형(熱水型):지하 심부에서 상승한 고온의 수용액과 보통의 지하수가 혼합된 것,
② 지하수형:보통의 지하수가 지열(地熱)에 의하여 데워진 것,
③ 분기형(噴氣型):지하수에 분기가 혼입된 것, ④ 화석수형(化石水型):열수가 해수와 혼합된 것 등이다.
천온(泉溫)에 의한 분류도 있다. 이것에 의하면 냉광천(冷鑛泉:25℃ 미만) ·미온천(25∼35℃) ·온천(35∼42℃) ·고온천(42℃ 이상)으로 나눈다. 또 수소이온 농도에 의하여 강산성천(强酸性泉:pH 2 이하) ·산성천(2∼4) ·약산성천(4∼6) ·중성천(6∼7.3) ·약알칼리성천(7.5∼8.5) ·알칼리성천(8.5∼10) ·강알칼리성천(10 이상)으로 나눈다.
이 밖에도 화학조성 등에 의한 여러 가지 분류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은 다음과 같이 함유된 주요 음이온을 기준으로 하여 그것들과 양이온과의 조성으로 온천을 분류한다.
① 단순천(單純泉):이산화탄소 ·증발잔사(蒸發殘渣)가 온천 1kg 중 1g 미만으로 천온 25℃ 이상인 것,
② 단순탄산천:유리탄산이 1kg 중 1g 이상으로 증발잔사가 1kg 중 1g 미만인 것,
③ 탄산수소토류천:증발잔사가 1kg 중 1g 이상으로 탄산수소칼슘이나 탄산수소마그네슘이 많은 것,
④ 알칼리천:탄산수소나트륨이 주성분이며 끓이면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
⑤ 식염천:소금을 주성분으로 하고 함량이 1kg 중 15g 이상의 것을 강식염천, 5g 미만의 것을 약식염천이라 한다.
⑥ 황산염천[苦味泉]:주요 음이온으로서 황산이온이 많다. 양이온과의 조성에 따라 망초천(주로 황산나트륨) ·석고천(주로 황산칼슘) ·정고미천(주로 황산마그네슘) 등으로 나눈다.
⑦ 철천:제1, 제2철이온이 1kg 중 0.01g 이상인 것. 조성된 음이온에 따라 탄산수소이온이 많으면 탄산철천, 황산이온이 많으면 녹반천(綠礬泉:황산철천), 염소이온이 많으면 함염화물철천이라고 한다.
⑧ 명반천:황산알루미늄이 주성분인 것,
⑨ 황천(黃泉):메르캅토이온 또는 그것과 티오황산이온이나 황화수소가 함유된 것. 유리탄산이나 유리황화수소를 함유한 것을 황화수소천, 이들을 함유하지 않은 것을 좁은 뜻의 황천이라고 한다.
⑩ 산성천:수소이온이 1kg 중 1mg 이상으로 산성을 나타내는 것,
⑪ 방사능천(라듐천):온천수 1kg 중 라돈 8.25 mache(100억분의 30 Ci) 이상이거나 라듐 1억분의 1mg 이상인 것 등이 있다.
(3)온천의 종류와 효과
예로부터 행해진 치료법이라도 그 온천의 수질에 따라 1-3주간을 한 주기로 해서 병에 효가가 있는지 나타나는 데는 수일이 걸린다고 한다 따라서 수일을 입욕한다고 해도 금방 효과는 엇지만 온천이 몸에 좋다고 생각하고 입욕하는 것 자체가 정신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고 아름다운 자연 환경은 일종의 전지 요양효과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온천의 인정받는 효능은 신경통, 관절통,근육통 등의 일반적인 증상 외에 그 온천의 고유성분에 의해 대응할 수 있는 병이 있다. (입욕가능 병명으로는 신경통,근육통,관절통,오십견,운동마비,관절의 뭉침,타박상,관절접질,치질,만성소화기병,만성피부병,병후회복기,피로회복,건강증진,허약아동) 입욕해서 증상이 더욱 악화되거나 병이 급속도로 진행되는 경우 그 병의 종류를 기재한 것이 금기병명(급성질환-특히 열이 있는 경우,악성종양,호흡곤란,중한 심장병,당뇨병,신장병,출혈성질환,활동성 결핵,빈혈,임신중-특히 초기와 말기)이 있다.
-수온에 따른 분류
* 고온욕: 목욕탕에 들어갔을 때 뜨겁게 느껴지는 섭씨 42~45℃의 물에 온몸을담그는 목욕법. 몸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열에 예민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의 활동을 위축시키는 효과가 있다.또 지방이나 혈액 속에 축적된 나쁜 찌꺼기나 화학성분, 숙취 물질을 제거한다. 감기환자, 강도높은 육체노동을 하거나 만성피로, 숙취에 시달리는 사람에게 좋다.
* 미온욕: 약간 따뜻하다고 느끼는 섭씨 36~38℃ 물에서 10분이상 들어 앉아목욕하는 방법. 피부혈관을 확장시켜 피가 피부로 몰리게 하며, 정신,신경계통을 진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피부미용에 좋고 머리가 복잡하거나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사람 또는 불면증 환자에게 권장된다.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 심장병이 있는 사람은 주1~2회미온욕을하는 것이 좋다.
*-신체에 따른 분류
* 전신욕: 몸 전체 목까지 물에 푹 담그는 목욕법. 욕조에 들어가기 전에 샤워를 한 후 미온탕에서 3~4분 몸을 담군 후 다시 고온탕에 들어가서 5~6분 머문다. 그것을 3차례 이상 반복한다. 전신피로회복에 좋다.
* 반신욕: 허리 아래부분만 물에 담그는 목욕법. 미온탕(37 ~38℃)에서 3~4분 몸을담갔다가3~4분 쉰 다음 다시 물에 들어가는 것을 3차례이상 반복한다. 골반, 난소이상이나 냉증, 월경통, 자궁통증이 있는 여성, 그리고 비뇨기계에 이상이 있는남성에게 좋다. 최근에는 감기, 관절염, 간장병, 신장병에 효과가 있고, 혈액순환을 도와 만병에 좋은 온천욕으로각광을 받고 있다.
* 수족욕: 손이나 발을 찬물이나 더운물에 담그는 방법. 발을 담그는 것은 감기나 후두염으로 목이 아프거나 월경통, 통풍, 머리가 아픈 신경통, 불면증이 있는 사람에게 효과가 높다. 반면 천식이나 경련이 심한 환자, 류머티스성 관절염 환자는 손을 담그는 것이 좋다.
- 방법에 따른 분류
* 흡입욕: 코로 온천증기를 흡입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온천은 식염천, 유황천, 명반천, 그리고 알칼리천이다. 비염, 인후염,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에는 다른 온천욕보다 효과가 크다. 흡입은 식후 2시간이후에 시행하고 한번에 5~20분 정도 한다. 담배는 금하고 30분 가량 휴식을 취하며, 기간은 2주~5주간 지속하는 것이 좋다.
* 함수욕: 입안에 온천수를 머금거나 양치질을 하는 방법으로 식염천, 유황천, 알칼리천 등이 이용된다. 머금는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2.23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0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