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예절의 정의
Ⅲ. 예절의 종류와 구조
Ⅳ. 인사예절
1. 큰경례
2. 거수 경례
3. 목례
4. 악수
5. 절
1) 남자의 절
2) 여자의 절
3) 공손한(읍) 자세
Ⅴ. 대화예절
Ⅵ. 전화예절
1. 전화를 걸 때 지켜야할 예절
2. 전화를 받을 때 지켜야할 예절
3. 이동 통신(휴대폰)을 이용할 때 지켜야할 예절
4. 공중전화를 이용할 때 지켜야할 예절
Ⅶ. 기본 생활 예절
1. 서 있을 때의 예절
2. 앉는 예절
3. 걸을 때의 예절
4. 출입할 때의 예절
Ⅷ. 부부간의 예절
1. 부부의 공통 예절
2. 훌륭한 남편의 예절
3. 훌륭한 아내의 예절
4. 맞벌이 부부의 예절
참고문헌
Ⅱ. 예절의 정의
Ⅲ. 예절의 종류와 구조
Ⅳ. 인사예절
1. 큰경례
2. 거수 경례
3. 목례
4. 악수
5. 절
1) 남자의 절
2) 여자의 절
3) 공손한(읍) 자세
Ⅴ. 대화예절
Ⅵ. 전화예절
1. 전화를 걸 때 지켜야할 예절
2. 전화를 받을 때 지켜야할 예절
3. 이동 통신(휴대폰)을 이용할 때 지켜야할 예절
4. 공중전화를 이용할 때 지켜야할 예절
Ⅶ. 기본 생활 예절
1. 서 있을 때의 예절
2. 앉는 예절
3. 걸을 때의 예절
4. 출입할 때의 예절
Ⅷ. 부부간의 예절
1. 부부의 공통 예절
2. 훌륭한 남편의 예절
3. 훌륭한 아내의 예절
4. 맞벌이 부부의 예절
참고문헌
본문내용
른께서 먼저 앉으라고 한 뒤에 앉는다. 먼저 왼쪽의 무릎을 꿇고 다음에 오른쪽 무릎을 가지런히 꿇어앉는다. 두 손을 가지런히 펴서 두 무릎 위에 얹거나, 모아 잡은 손을 남자는 중앙에 놓으면 공손하게 보인다. 의복이 바닥에 넓게 퍼지지 않도록 갈무리하여 단정하게 앉는다. 허리를 펴서 앉은 자세를 바르게 하고 시선은 앉은키의 2배 정도의 바닥에 둔다. 방석에 앉을 때에는 방석을 발로 밟지 않도록 주의한다. 왼쪽 무릎을 꿇기 전에 두 손으로 방석을 당겨 무릎 밑에 반듯하게 넣으면서 방석 위에 무릎을 꿇는다. 방석의 중앙에 앉되 발끝이 방석의 뒤편 끝에 걸쳐지게 앉는다. 일어설 때에는 무릎을 들면서 두 손으로 방석을 원래 자리에 밀어 놓는다. 어른이 편히 앉으라고 하면 편히 앉는다. 이 때, 벽이나 가구에 기대거나 손으로 바닥을 짚고 비스듬히 앉지 않도록 주의하며, 다리를 뻗고 앉지 않는다.
3. 걸을 때의 예절
바닥과 발바닥이 평행이 되게 걸어 발바닥이 앞뒤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발끝을 벌리지 말고 일직선으로 양 옆에 놓이도록 곧게 걷는다. 옷자락이 펄럭이지 않게 잘 여미며 걷는다. 뛰거나 허둥대지 말고 조용히, 물이 흐르듯이 걷는다. 너무 느리게 걸어 주위 사람들의 보행에 방해를 주어서도 안 된다. 실내에서 걸을 때에는 보폭을 실외에서보다 좁게 한다. 가능한 한 발자국 소리가 요란하게 나지 않도록 걷는다. 여자가 한복을 입었을 때에는 발끝으로 치맛자락을 사뿐히 차듯이 밀며 걷는다.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는 옷자락을 들고 잘 여며서 밟히지 않도록 한다. 남의 앞을 가로 지날 때에는 반드시 실례합니다, 죄송합니다라고 양해를 구한 뒤, 남의 몸에 부딪치거나 옷이 스치지 않게 주의하면서 민첩하게 걷는다. 또한 상대에게 정면으로 뒷모습을 보이지 않게 한다.
4. 출입할 때의 예절
출입할 때에는 노크를 하거나 인기척을 내어 안에 있는 사람이 알도록 한다. 문을 열고 닫을 때에는 두 손으로 한다. 안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에는 문턱(문지방)을 밟지 않는다. 방안의 사람에게 될 수 있는 대로 뒷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문은 가능한 한 소리 나지 않게 여닫으며, 걷는 발소리도 나지 않게 한다. 문을 필요 이상으로 넓게 열지 말고, 문을 열어 놓은 채 다른 일을 하지 않는다. 여닫이문을 밀어서 열 때에는 문 가까이에서 열고, 잡아당겨서 열 때에는 한 발자국쯤 떨어져서 연다. 미닫이문을 여닫을 때에는 두 손으로 잡아당겨 열고 닫는다.
Ⅷ. 부부간의 예절
1. 부부의 공통 예절
부부는 가족의 핵이며 대자연의 섭리에 의한 창조의 근원이다. 부부는 남남으로 태어나고 자랐지만 마침내 한 몸이며 함께 자녀를 낳아 부모가 되고 한 가정을 이끄는 가장과 주부이다. 부부는 신성하고 존엄하며 신비스럽고 위대한 것이다. 그 부부가 신성함 을 영속시키고 존엄함을 유지하며 신비로움을 번창케 하고 위대함 을 더욱 윤택케 하려면 서로가 지켜야 할 도덕과 윤리와 예절에 철저해야 한다. 부부간의 예절은 모든 예절의 근원이며 표본이고 과정이며 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부부는 서로가 주인을 섬기는 충성을 다해야 한다. 몸과 마음을 있는 그대로 모두 바쳐 섬기는 것이 충성인 것이다. 부부는 일신이며 일심이다. 즉, 몸과 마음을 항상 함께 하는 것이 부부이다. 따라서 생활 방식이 엇갈려 서는 안 되고, 설혹 다른 바가 있더라도 슬기롭게 조화해 나가야 한다. 부부는 서로가 처지를 바꾸어 이해하고 화합하며 협력해야 한다. 출생, 성장, 교육 환경이 다른 두 남녀가 부부가 되어 \'하나\'로 살아야 하므로 상대를 이해하며 상대의 위치에 서 생각해야 한다. 부부는 배우자에게 꼭 필요한 존재가 되어야 한다. 배우자가 자기를 필요로 할 때 그 부부는 행복한 것이며,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서로가 자기희생적인 정성을 다해야 한다. 부부는 한 가정의 승계자이며 관리자임을 공동으로 인식하여, 조상으로부터 이어받은 가정을 훌륭하게 관리해 자손에게 물려주겠다는 책무를 충실해야 한다. 부부는 웃어른을 받들어 모시고 자녀에게 모범을 보인다. 부부는 서로 존중하고 공경하며 사랑하고 아껴야 한다.
2. 훌륭한 남편의 예절
아내와 자녀를 사랑하는 마음과 온화한 표정으로 대하고, 너그럽고 부드러운 말씨로 자상하게 이야기한다. 아내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어려움이 없도록 배려한다. 처가와 친숙하며 처가의 일에 관심을 가지고 협조한다. 아내가 하는 일을 간섭하지 않으며 권익을 옹호한다. 아내의 전공 분야를 이해하고 격려하며 발전을 도와준다. 아내에게 걱정과 근심이 될 일을 하지 않는다. 아내가 행복감을 가질 수 있도록 배려하고 실천한다. 아이들이 어머니를 존경하도록 한다.
3. 훌륭한 아내의 예절
남편과 자녀를 사랑하는 마음과 밝은 표정으로 대한다. 시댁의 조상과 시부모를 효성으로 섬긴다. 남편을 존경하고 신뢰하며 이해와 협조를 아끼지 않는다. 항상 아름답게 자기를 가꾸며 가족의 건강과 청결에 힘쓴다. 남편의 일에 간섭하지 않으며 자존심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 자녀 양육과 어른 봉양에 남편이 걱정하지 않게 한다. 시댁의 형제자매와 일가친척에 성심을 다해 배려한다. 남편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주위로부터 칭찬받게 한다. 온 가족을 편안하게 하고 포근히 감싸서 행복을 일군다.
4. 맞벌이 부부의 예절
배우자의 직장 일에 간섭하거나 굳이 알려 하지 않는다. 배우자가 묻지 않더라도 직무 외의 일을 자상하게 이야기한다. 직장에서의 어려운 일을 상대가 염려하지 않게 한다. 모임이나 회식으로 늦을 때는 배우자에게 미리 양해를 구한다. 옷차림과 몸차림 등에 배우자의 조언을 기꺼이 따른다. 자기의 수입이라도 독단으로 처리하지 말고 배우자와 상의해 공동으로 관리한다. 직장 일로 가정 일을 소홀히 하지 않으며, 배우자가 걱정할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참고문헌
ⅰ. 고미숙(2005), 대안적 도덕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ⅱ. 김영진(2000), 한국인을 위한 윤리와 논리, 철학과 현실사
ⅲ. 김용화(2001), 직장인의 예절, 서울, 도서출판현대미디어
ⅳ. 문상주(1995), 세계화를 지향하는 현대인의 생활예절, 고려 출판사
ⅴ. 손인수(1988), 한국인의 가정교육, 문음사
3. 걸을 때의 예절
바닥과 발바닥이 평행이 되게 걸어 발바닥이 앞뒤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발끝을 벌리지 말고 일직선으로 양 옆에 놓이도록 곧게 걷는다. 옷자락이 펄럭이지 않게 잘 여미며 걷는다. 뛰거나 허둥대지 말고 조용히, 물이 흐르듯이 걷는다. 너무 느리게 걸어 주위 사람들의 보행에 방해를 주어서도 안 된다. 실내에서 걸을 때에는 보폭을 실외에서보다 좁게 한다. 가능한 한 발자국 소리가 요란하게 나지 않도록 걷는다. 여자가 한복을 입었을 때에는 발끝으로 치맛자락을 사뿐히 차듯이 밀며 걷는다.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는 옷자락을 들고 잘 여며서 밟히지 않도록 한다. 남의 앞을 가로 지날 때에는 반드시 실례합니다, 죄송합니다라고 양해를 구한 뒤, 남의 몸에 부딪치거나 옷이 스치지 않게 주의하면서 민첩하게 걷는다. 또한 상대에게 정면으로 뒷모습을 보이지 않게 한다.
4. 출입할 때의 예절
출입할 때에는 노크를 하거나 인기척을 내어 안에 있는 사람이 알도록 한다. 문을 열고 닫을 때에는 두 손으로 한다. 안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에는 문턱(문지방)을 밟지 않는다. 방안의 사람에게 될 수 있는 대로 뒷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문은 가능한 한 소리 나지 않게 여닫으며, 걷는 발소리도 나지 않게 한다. 문을 필요 이상으로 넓게 열지 말고, 문을 열어 놓은 채 다른 일을 하지 않는다. 여닫이문을 밀어서 열 때에는 문 가까이에서 열고, 잡아당겨서 열 때에는 한 발자국쯤 떨어져서 연다. 미닫이문을 여닫을 때에는 두 손으로 잡아당겨 열고 닫는다.
Ⅷ. 부부간의 예절
1. 부부의 공통 예절
부부는 가족의 핵이며 대자연의 섭리에 의한 창조의 근원이다. 부부는 남남으로 태어나고 자랐지만 마침내 한 몸이며 함께 자녀를 낳아 부모가 되고 한 가정을 이끄는 가장과 주부이다. 부부는 신성하고 존엄하며 신비스럽고 위대한 것이다. 그 부부가 신성함 을 영속시키고 존엄함을 유지하며 신비로움을 번창케 하고 위대함 을 더욱 윤택케 하려면 서로가 지켜야 할 도덕과 윤리와 예절에 철저해야 한다. 부부간의 예절은 모든 예절의 근원이며 표본이고 과정이며 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부부는 서로가 주인을 섬기는 충성을 다해야 한다. 몸과 마음을 있는 그대로 모두 바쳐 섬기는 것이 충성인 것이다. 부부는 일신이며 일심이다. 즉, 몸과 마음을 항상 함께 하는 것이 부부이다. 따라서 생활 방식이 엇갈려 서는 안 되고, 설혹 다른 바가 있더라도 슬기롭게 조화해 나가야 한다. 부부는 서로가 처지를 바꾸어 이해하고 화합하며 협력해야 한다. 출생, 성장, 교육 환경이 다른 두 남녀가 부부가 되어 \'하나\'로 살아야 하므로 상대를 이해하며 상대의 위치에 서 생각해야 한다. 부부는 배우자에게 꼭 필요한 존재가 되어야 한다. 배우자가 자기를 필요로 할 때 그 부부는 행복한 것이며,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서로가 자기희생적인 정성을 다해야 한다. 부부는 한 가정의 승계자이며 관리자임을 공동으로 인식하여, 조상으로부터 이어받은 가정을 훌륭하게 관리해 자손에게 물려주겠다는 책무를 충실해야 한다. 부부는 웃어른을 받들어 모시고 자녀에게 모범을 보인다. 부부는 서로 존중하고 공경하며 사랑하고 아껴야 한다.
2. 훌륭한 남편의 예절
아내와 자녀를 사랑하는 마음과 온화한 표정으로 대하고, 너그럽고 부드러운 말씨로 자상하게 이야기한다. 아내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어려움이 없도록 배려한다. 처가와 친숙하며 처가의 일에 관심을 가지고 협조한다. 아내가 하는 일을 간섭하지 않으며 권익을 옹호한다. 아내의 전공 분야를 이해하고 격려하며 발전을 도와준다. 아내에게 걱정과 근심이 될 일을 하지 않는다. 아내가 행복감을 가질 수 있도록 배려하고 실천한다. 아이들이 어머니를 존경하도록 한다.
3. 훌륭한 아내의 예절
남편과 자녀를 사랑하는 마음과 밝은 표정으로 대한다. 시댁의 조상과 시부모를 효성으로 섬긴다. 남편을 존경하고 신뢰하며 이해와 협조를 아끼지 않는다. 항상 아름답게 자기를 가꾸며 가족의 건강과 청결에 힘쓴다. 남편의 일에 간섭하지 않으며 자존심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 자녀 양육과 어른 봉양에 남편이 걱정하지 않게 한다. 시댁의 형제자매와 일가친척에 성심을 다해 배려한다. 남편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주위로부터 칭찬받게 한다. 온 가족을 편안하게 하고 포근히 감싸서 행복을 일군다.
4. 맞벌이 부부의 예절
배우자의 직장 일에 간섭하거나 굳이 알려 하지 않는다. 배우자가 묻지 않더라도 직무 외의 일을 자상하게 이야기한다. 직장에서의 어려운 일을 상대가 염려하지 않게 한다. 모임이나 회식으로 늦을 때는 배우자에게 미리 양해를 구한다. 옷차림과 몸차림 등에 배우자의 조언을 기꺼이 따른다. 자기의 수입이라도 독단으로 처리하지 말고 배우자와 상의해 공동으로 관리한다. 직장 일로 가정 일을 소홀히 하지 않으며, 배우자가 걱정할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참고문헌
ⅰ. 고미숙(2005), 대안적 도덕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ⅱ. 김영진(2000), 한국인을 위한 윤리와 논리, 철학과 현실사
ⅲ. 김용화(2001), 직장인의 예절, 서울, 도서출판현대미디어
ⅳ. 문상주(1995), 세계화를 지향하는 현대인의 생활예절, 고려 출판사
ⅴ. 손인수(1988), 한국인의 가정교육, 문음사
추천자료
직장예절,조문예절,호칭예절
여러가지 예절에 대하여(대화,직장,언어,식사,음주예절)
우리의 직장예절과 식사예절
언어예절 중간과제물 공통형(편지쓰기예절)
우리 모두 함께하고 있는 사회생활과 예절의 정의와 그 중요성에 대하여 서술
예절이란 무엇이며, 일상 생활속에서 자신이 실천하고 있는 예절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예절이란 무엇이며, 일상 생활속에서 자신이 실천하고 있는 예절에 대해 상...
자신이 생각하는 예절이란 무엇이며, 일상 생활속에서 자신이 실천하고 있는 예절에 대해 상...
중2) <(사회)과 교수 학습 지도안 {세안} (4/4)> 4. 생활 속의 예절 (3) 손님에 대한 예절 알...
한국과 중국음식 예절 - 한국과 중국음식 예절&문화&특징 비교
직장인의 예절 (직장인의 기본자세 , 직장인이 갖춰야 할 조건, 직장인의 근무 예절).pptx
교수학습지도안 (가족의식사관리, 식사예절, 우리나라의식사예절, 수업계획서, 지도계획서) <...
생활예절학습지도-교생실습, 초등학교3학년, 부분수업계획서, 한복입기, 전통놀이, 수업계획...
아동예절 활동계획서(수업계획서, 아동예절교육, 조문예절, 제사상차림, 손씻기교육, 분리수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