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16대 경선과 여론조사
2.1. 여론조사의 도입 취지
2.2. 여론조사 방식의 채택과정
2.3. 여론조사가 경선 결과에 미친 영향
3. 여론조사의 의의 및 한계
3.1.여론조사의 의의
3.2.여론조사의 한계
4. 제언
5. 참고문헌
2. 16대 경선과 여론조사
2.1. 여론조사의 도입 취지
2.2. 여론조사 방식의 채택과정
2.3. 여론조사가 경선 결과에 미친 영향
3. 여론조사의 의의 및 한계
3.1.여론조사의 의의
3.2.여론조사의 한계
4. 제언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정했었어야 했다.
이는 조사기관 선정에서도 집고 넘어가야 할 문제점이다. 어떤 조사기관을 선정하느냐에 따라 조사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기관 선정에 확실하고 명확한 원칙이 있었어야 했다. 주먹구구식으로 두 후보의 의견교환으로 이루어질 일이 아니였었다고 본다.
룰의 급조성도 문제점으로 지목된다. 어떤 경기도 시합을 하기 전에 미리 규칙을 확정하고 한다. 하지만 한나라당 경선은 경선직전까지도 여론조사의 관한 룰이 확정되지 않아 곤란을 겪었다. 축구경기로 생각하면 패널트 킥을 차기 전에서야 부랴부랴 두 팀이 골대 앞 몇 미터 지점에서 패널트 킥을 차는지 정하는 셈이다. 한나라의 대통령 후보를 결정하는 경선 과정을 이런 식으로 치르는 것은 경선과정의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선거의 공정성을 훼손시킨다.
여론조사 룰을 급조하는 과정 중에 나타난 후보 간에 첨예한 대립도 문제점 중 하나이다. 정작 선거에서 중요한 후보들 간의 자질, 공약, 검증을 하기에도 빠듯한 경선일정에 룰을 정하는 과정 중에 한 후보가 탈당을 하겠다는 극한 대립 상황까지 일어났었다. 이런 현상은 경선의 본질적인 문제에서 벗어난 다분히 소모적인 분쟁에 불과하므로 지양되어야 마땅하다.
5. 제언
이상으로 이번 한나라당 경선을 통해 본, 경선과정상 여론조사 도입이 지닌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론의 실질적인 반영이라는 획기적인 방식인 이번 제도는 보다 민주적으로 후보를 뽑기 위한 취지에서 비롯되었다. 처음 시행되던 제도이기에 시행 과정 상 많은 갈등을 빚어지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로 한나라당의 경선 결과를 향방까지 좌우하는 이번 경선의 첨병적인 역할을 맡았다.
위 제도에 여러 가지 의의를 꼽아보면, 다양한 계층의 사람이 경선과정부터 대선에 대해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보다 국민 경선적인 제도인 것이다. 미디어 및 인터넷의 중요성이 커지는 현대 선거 문화의 흐름을 반영했다고 볼 수도 있다. 또 유례를 찾기 힘든 제도라 경선이 범국민적인 관심을 받게 했다.
하지만 처음 시행하는 제도여서, 의의보다는 한계점이 눈에 많이 띈다. 확률이기에 그 정확성이 떨어졌다. 그리고 조사기간이 짧은 까닭에 많은 무응답층이 생겨서 여론을 제대로 수집하지 못했다. 또 현대 민주주의의 핵심인 정당민주주의에 반(反)하는 측면도 있다. 여론조사 룰과, 그 것을 정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허점을 보였다.
선거가 서야 나라가 선다. 이번 제도의 도입은 분명 많은 한계점도 들어났지만 여러 가지 가능성이 보이기도 했다. 처음 시행하는 제도는 많은 비판에 봉착하기 마련이다. 여러 문제점을 보완, 특히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룰을 선정하고 여론조사의 정확성을 높힐 방법을 마련하면 여론조사는 우리 정치의 앞을 밝혀주는 선구자적 역할을 해 줄 것이라 기대하며 글을 마친다.
6. 참고문헌
김성훈. 2007. “경선 룰-여론조사 형식 ‘남아있는 복병’”.『문화일보』.
박흥엽. 2004. “국민경선과 대통령 후보 결정 요인”. 『한국정책학회보』.한국정책학회. pp.248~276.
성연철. 2007. “한나라 경선 투·개표 언제 어떻게 ”. 『한겨례』.
성연철. 2007. “한나라 대선후보 오늘 확정”. 『한겨례』.
송종길, 안수근. 2002. “2002년 민주당,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TV토론에서 나타난 토 론방식(format) 비교연구”.『한국방송학보』.한국방송학회. pp.140~173.
이건. 2007. “왜냐면/경선 여론조사 오류 셋”. 『한겨례』.
심지연, 김민전. 2006. 『한국 정치제도의 진화경로』. 서울: 백산서당.
임석규. 2007. “한나라당 대선후보 이명박/ 승부 가른 여론조사”. 『한겨례』.
이는 조사기관 선정에서도 집고 넘어가야 할 문제점이다. 어떤 조사기관을 선정하느냐에 따라 조사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기관 선정에 확실하고 명확한 원칙이 있었어야 했다. 주먹구구식으로 두 후보의 의견교환으로 이루어질 일이 아니였었다고 본다.
룰의 급조성도 문제점으로 지목된다. 어떤 경기도 시합을 하기 전에 미리 규칙을 확정하고 한다. 하지만 한나라당 경선은 경선직전까지도 여론조사의 관한 룰이 확정되지 않아 곤란을 겪었다. 축구경기로 생각하면 패널트 킥을 차기 전에서야 부랴부랴 두 팀이 골대 앞 몇 미터 지점에서 패널트 킥을 차는지 정하는 셈이다. 한나라의 대통령 후보를 결정하는 경선 과정을 이런 식으로 치르는 것은 경선과정의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선거의 공정성을 훼손시킨다.
여론조사 룰을 급조하는 과정 중에 나타난 후보 간에 첨예한 대립도 문제점 중 하나이다. 정작 선거에서 중요한 후보들 간의 자질, 공약, 검증을 하기에도 빠듯한 경선일정에 룰을 정하는 과정 중에 한 후보가 탈당을 하겠다는 극한 대립 상황까지 일어났었다. 이런 현상은 경선의 본질적인 문제에서 벗어난 다분히 소모적인 분쟁에 불과하므로 지양되어야 마땅하다.
5. 제언
이상으로 이번 한나라당 경선을 통해 본, 경선과정상 여론조사 도입이 지닌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론의 실질적인 반영이라는 획기적인 방식인 이번 제도는 보다 민주적으로 후보를 뽑기 위한 취지에서 비롯되었다. 처음 시행되던 제도이기에 시행 과정 상 많은 갈등을 빚어지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로 한나라당의 경선 결과를 향방까지 좌우하는 이번 경선의 첨병적인 역할을 맡았다.
위 제도에 여러 가지 의의를 꼽아보면, 다양한 계층의 사람이 경선과정부터 대선에 대해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보다 국민 경선적인 제도인 것이다. 미디어 및 인터넷의 중요성이 커지는 현대 선거 문화의 흐름을 반영했다고 볼 수도 있다. 또 유례를 찾기 힘든 제도라 경선이 범국민적인 관심을 받게 했다.
하지만 처음 시행하는 제도여서, 의의보다는 한계점이 눈에 많이 띈다. 확률이기에 그 정확성이 떨어졌다. 그리고 조사기간이 짧은 까닭에 많은 무응답층이 생겨서 여론을 제대로 수집하지 못했다. 또 현대 민주주의의 핵심인 정당민주주의에 반(反)하는 측면도 있다. 여론조사 룰과, 그 것을 정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허점을 보였다.
선거가 서야 나라가 선다. 이번 제도의 도입은 분명 많은 한계점도 들어났지만 여러 가지 가능성이 보이기도 했다. 처음 시행하는 제도는 많은 비판에 봉착하기 마련이다. 여러 문제점을 보완, 특히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룰을 선정하고 여론조사의 정확성을 높힐 방법을 마련하면 여론조사는 우리 정치의 앞을 밝혀주는 선구자적 역할을 해 줄 것이라 기대하며 글을 마친다.
6. 참고문헌
김성훈. 2007. “경선 룰-여론조사 형식 ‘남아있는 복병’”.『문화일보』.
박흥엽. 2004. “국민경선과 대통령 후보 결정 요인”. 『한국정책학회보』.한국정책학회. pp.248~276.
성연철. 2007. “한나라 경선 투·개표 언제 어떻게 ”. 『한겨례』.
성연철. 2007. “한나라 대선후보 오늘 확정”. 『한겨례』.
송종길, 안수근. 2002. “2002년 민주당,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TV토론에서 나타난 토 론방식(format) 비교연구”.『한국방송학보』.한국방송학회. pp.140~173.
이건. 2007. “왜냐면/경선 여론조사 오류 셋”. 『한겨례』.
심지연, 김민전. 2006. 『한국 정치제도의 진화경로』. 서울: 백산서당.
임석규. 2007. “한나라당 대선후보 이명박/ 승부 가른 여론조사”. 『한겨례』.
추천자료
포스트모더니즘과 현대의 영향변화 조사
[현대사회와 윤리]플라톤의 이데아와 철인 정치 사상
[사회과학-학교시험대비, 리포트참고자료 ]현대 한국의 정당정치 특징과 문제점에 관하여
[정치학*사회과학]현대 한국외교의 문제점과 과제에 관하여-국제정세속의 한국외교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정치 -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여론과 언론, 정치] 여론의 탄생과 개념, 특징 및 문제점과 여론 형성과정 및 유형
[현대중국입문 공통] 가족은 예나 지금이나 중국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입니다. 장이머우...
[일본정치론][현대 일본 정당의 역사]
세종대왕의 국가경영 [자신의 전공에서 바라 본 세종 시대와 그 정치에 대한 이해]
[현대문화론 서평][문화정치학의 영토들 & 모더니티의 지층들]
김대중의 정치사로 본 한국현대사의 ‘쟁(爭)’
[현대중국입문]장이머우 감독의 영화 <인생(活着)>을 보고 주인공 푸꿰이(福貴)와 지아전(家...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