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ERP기술
1. ERP의 정의
2. ERP의 요소기술
1)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2) 객체지향 기술
3) 4세대 언어 개발 툴
4) 개방형 시스템
5) 데이터 웨어하우스
6) 인터넷 기술
Ⅱ. DRM기술
1. DRM의 정의
2. DRM의 요구사항
1) 콘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안전한 보호 : 적법한 사용자만이 콘텐츠를 사용
2) 다양한 사용규칙 제공
3) 라이센스 관리
4) 거래내역 관리
5) 신뢰성 있는 서비스 및 인프라 제공
6) 재분배(Superdistribution) 지원
Ⅲ. 무선LAN기술
Ⅳ. 초고속인터넷기술
1. Ethernet
2. VDSL
3. ADSL, SDSL
4. HFC
5. HomePNA
6. 무선랜
참고문헌
1. ERP의 정의
2. ERP의 요소기술
1)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2) 객체지향 기술
3) 4세대 언어 개발 툴
4) 개방형 시스템
5) 데이터 웨어하우스
6) 인터넷 기술
Ⅱ. DRM기술
1. DRM의 정의
2. DRM의 요구사항
1) 콘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안전한 보호 : 적법한 사용자만이 콘텐츠를 사용
2) 다양한 사용규칙 제공
3) 라이센스 관리
4) 거래내역 관리
5) 신뢰성 있는 서비스 및 인프라 제공
6) 재분배(Superdistribution) 지원
Ⅲ. 무선LAN기술
Ⅳ. 초고속인터넷기술
1. Ethernet
2. VDSL
3. ADSL, SDSL
4. HFC
5. HomePNA
6. 무선랜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정 보다는 기업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LAN 환경에서 동작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지칭하므로, 서로 다른 LAN 세그먼트 사이를 연결하는 IEEE 802.16, ETSI HIPERACCESS와 같은 무선 MAN 기술이나 개인을 대상으로 10m 이내의 거리에서 사용되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PAN 기술과는 이용 목적 및 전송 거리 관점에서 구분하고 있다.
기본적인 무선 LAN 네트워크는 다른 무선 단말이나 유선 LAN으로 연결하기 위해 각 단말 내에 설치되는 무선 NIC(Network Interface Card), 각 단말과 유선 LAN 간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건물과 건물 또는 분산된 네트워크 세그먼트 사이를 점-대-점 방식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브리지 장비로 구성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LAN 허브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며, 한 개의 액세스 포인트 당 반경 20~150m 정도의 영역에서 동시에 25~50개의 단말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선 LAN은 유선 LAN과 독립적으로 무선 NIC를 장착한 복수의 단말들 끼리 단독으로 연결하는 ad-hoc 망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단말을 유선 LAN에 연결하는 인프라스트랙처 망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ad-hoc 망은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작업그룹 등에서 주로 이용되며, 인프라스트랙처 망 내에서 서버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단독으로 peer-to-peer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인프라스트랙처 망은 유무선 연결 장치인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무선 단말을 기존 유선 LAN에 연결한다. 이 때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무선 셀 BSS (Basic Service Set)가 형성되는데, 액세스 포인트는 BSS 내에 있는 모든 단말들을 LAN에 연결하는 셀룰러 폰 기지국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서로 중첩하지 않는 채널을 사용하는 여러 BSS를 모아 하나의 ESS(Extended Service Set)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동일 ESS 내의 서로 다른 BSS 간에는 로밍에 의해 단말의 이동이 가능하다.
Ⅳ. 초고속인터넷기술
1. Ethernet
보통 LAN이라는 포괄적인 용어가 많이 쓰인다. 주로 (신규)아파트에 적용되는 기술로 아파트 각 동지하에 (Switcing)HUB(집선장치)를 놓고 각 세대의 국선(전화선)외 여유선으로 초고속인터넷을 하게된다. 속도는 10M와 100M를 지원합니다만, 아파트에 공급되는 백본인터넷 회선의 속도에 따라 좌우되며, 가장 이상적이고 안정적인 기술이다. ex)Megapass Ntopia, HanaPos eVelly
2. VDSL
xDSL기술의 일종으로 xDSL기술중 가장 발전된 형태이다. 속도는 13M ~ 40M로 거리에 따라 차이가 있다.(가까울수록 고속) 기존의 전화선 외 여유선(두가닥)을 이용하며, 아파트 초고속인터넷에 주로 사용된다. ex)Megapass VDSL, HanaPos V
3. ADSL, SDSL
xDSL기술의 일종으로 ADSL은 업로드(약1M) 다운로드(1~8M)가 비대칭이며, SDSL은 업로드와 다운로드(2.3M)로 대칭형이다. 아파트와 단독주택의 초고속인터넷으로 많이 사용된다. ex) Megapass ADSL
4. HFC
주로 단독주택의 초고속인터넷에 사용되는 기술로 기존에 설치된 Cable TV회선 즉, 동축케이블을 이용한다. 종단장치는 Cable Modem이 필요하며 주로 지역Cable TV사업자가 서비스를 공급하거나 Thrunet, Hanaro, Dream Line이 서비스 중에 있다. 속도는 10M 내외이며, 동시사용자 수에 따라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5. HomePNA
초창기의 초고속인터넷 기술로 사용
기본적인 무선 LAN 네트워크는 다른 무선 단말이나 유선 LAN으로 연결하기 위해 각 단말 내에 설치되는 무선 NIC(Network Interface Card), 각 단말과 유선 LAN 간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건물과 건물 또는 분산된 네트워크 세그먼트 사이를 점-대-점 방식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브리지 장비로 구성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LAN 허브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며, 한 개의 액세스 포인트 당 반경 20~150m 정도의 영역에서 동시에 25~50개의 단말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선 LAN은 유선 LAN과 독립적으로 무선 NIC를 장착한 복수의 단말들 끼리 단독으로 연결하는 ad-hoc 망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단말을 유선 LAN에 연결하는 인프라스트랙처 망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ad-hoc 망은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작업그룹 등에서 주로 이용되며, 인프라스트랙처 망 내에서 서버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단독으로 peer-to-peer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인프라스트랙처 망은 유무선 연결 장치인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무선 단말을 기존 유선 LAN에 연결한다. 이 때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무선 셀 BSS (Basic Service Set)가 형성되는데, 액세스 포인트는 BSS 내에 있는 모든 단말들을 LAN에 연결하는 셀룰러 폰 기지국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서로 중첩하지 않는 채널을 사용하는 여러 BSS를 모아 하나의 ESS(Extended Service Set)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동일 ESS 내의 서로 다른 BSS 간에는 로밍에 의해 단말의 이동이 가능하다.
Ⅳ. 초고속인터넷기술
1. Ethernet
보통 LAN이라는 포괄적인 용어가 많이 쓰인다. 주로 (신규)아파트에 적용되는 기술로 아파트 각 동지하에 (Switcing)HUB(집선장치)를 놓고 각 세대의 국선(전화선)외 여유선으로 초고속인터넷을 하게된다. 속도는 10M와 100M를 지원합니다만, 아파트에 공급되는 백본인터넷 회선의 속도에 따라 좌우되며, 가장 이상적이고 안정적인 기술이다. ex)Megapass Ntopia, HanaPos eVelly
2. VDSL
xDSL기술의 일종으로 xDSL기술중 가장 발전된 형태이다. 속도는 13M ~ 40M로 거리에 따라 차이가 있다.(가까울수록 고속) 기존의 전화선 외 여유선(두가닥)을 이용하며, 아파트 초고속인터넷에 주로 사용된다. ex)Megapass VDSL, HanaPos V
3. ADSL, SDSL
xDSL기술의 일종으로 ADSL은 업로드(약1M) 다운로드(1~8M)가 비대칭이며, SDSL은 업로드와 다운로드(2.3M)로 대칭형이다. 아파트와 단독주택의 초고속인터넷으로 많이 사용된다. ex) Megapass ADSL
4. HFC
주로 단독주택의 초고속인터넷에 사용되는 기술로 기존에 설치된 Cable TV회선 즉, 동축케이블을 이용한다. 종단장치는 Cable Modem이 필요하며 주로 지역Cable TV사업자가 서비스를 공급하거나 Thrunet, Hanaro, Dream Line이 서비스 중에 있다. 속도는 10M 내외이며, 동시사용자 수에 따라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5. HomePNA
초창기의 초고속인터넷 기술로 사용
추천자료
생산관리론의 기초개념
[관광자원개발론]내장산국립공원
우리 나라 자원봉사활동의 과제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분석-한국관광공사, 대한항공, 포스코
자원봉사자의관리
P&G 성공적인 인적자원관리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개념,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특징,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
간호관리학 학습목표정리
서비스 사람관리Managing People for Service Advantage
<성공한 리더 & 실패한 리더> Campus Magazine, 대학내일, JOB & JOY, 인물차원, 조...
인적자원관리-삼성전자과 구글의 조직관리 사례,전략과 조직구조와의 관계
E.LAND-인사관리,이랜드,E-LAND의 채용제도
인적자원관리-사내하도급,대법원판례,해외사례,독일,프랑스
[스타벅스코리아의 고객관계관리]SNS 활용 CRM,카페베네,엔제리너스,커피빈,커피시장분석,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