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간호과정
Ⅱ. 간호과정
본문내용
하게 느껴질 때 느리고 깊은 심호흡을 규칙적으로 해보라고 2회 시범을 보인 후 따라하게 해보았다.
-전환요법: 통증을 느낄 때 다른 곳으로 주의전환을 유도하기 위하여 TV를 보거나 음악을 들어보라고 알려드렸다.
1. Vital Sign은 신체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본적인 지표이며 대상자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상태를 반영한다.
2. 현재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그에 맞는 간호를 수행한다.
3. 반좌위는 폐확장을 크게 하며 횡격막에 대한 복부장기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자신을 지지하는 데 에너지가 적게 든다.
4. 진통제는 신경을 둔마시켜 통증을 경감시키거나 제거하는 작용을 가지는 약물이다.
6.호흡법은 산소공급을 원활히 하며 통증에 집중한 관심을 호흡쪽으로 전가하는 목적이 있다.
관심의 초점을 통증에서 다른 자극으로 바꿈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키며 대상자의 집중력에 달려있다. 특정 이미지를 마음에 그리면서 점차 통증을 덜 느끼게 되는 방법이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NRS 점수가 6점에서 0점으로 줄어들었다.
10월 5일 흉관 제거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완화 요법을 스스로 시행하였다.
9월 29일 심호흡, 전환요법 시행 하여 통증이 좀 사라졌다고 말하심.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불안
사정
객관적 자료
▷ Beck 불안사정척도 점수 26점(22~26: 불안상태, 27~31: 심한 불안 상태, 32점이상: 극심한 불안상태)
▷ rounding을 돌 때마다 주사가 더 있는지에 대하여 물어봄
▷ 손을 가만 두지 못하고 불안한 증세를 보임
▷ 안면이 긴장되어 있고 표정이 굳어있는 모습 관찰됨
주관적 자료
▷ “계속 아플거 같아.”
▷ “이거 계속 달고 다녀야 하는가?”
▷ “이제 몸에 더 꽂고 하는 건 없지?”
▷ “이건 무슨 약인데?”
▷ “이거 달고 있으면 일못하는데... 돈벌어야하는데”
간호진단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불안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불안사정척도 점수가 21점 이하가 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불안 상태에 대해 솔직하게 표현할 것이다.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불안정도를 사정한다.
2. 대상자의 불안증세를 관찰한다.
3. 대상자에게 편안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
4.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5.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6. 심호흡법을 교육한다.
1. 대상자의 불안정도, 빈도, 특성 등을 사정한다. 대상자의 불안정도, 빈도를 사정하였다.
- 불안 정도 : 26점(불안상태)
2. 대상자의 불아증세를 관찰 하였다.
- 손톱을 깨물고 창밖을 한참을 바라보며 다리를 떨고 안면이 긴장되어 표정이 굳어있음.
3. 대상자에게 편안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였다.
- 대상자에게 불을 꺼주고 소음이 없는 편안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고 자세를 편안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명하였다.
4.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정서적 지지를 하였다.
5. 현재 어떤 상태이고 무엇 때문에 불안한지 솔직하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6. 심호흡법을 교육하였다.
- 깊은 심호흡을 규칙적으로 하라고 교육하였다.
1. 불안은 개인이 위협을 인지하는 정도나 대처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고 다른 사람에게도 옮겨갈 수 있으므로 불안정도를 사정하여 그에 따른 간호를 제공한다.
2. 불안의 증세를 관찰함으로서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불안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간호를 제공한다.
3. 외적으로 불안을 가중시키는 소음과 다른사람의 행동들을 막음으로서 불안이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4. 말을 주의깊게 경청함으로서 환자에게 안정감을 느끼게 할 수 있고 상황에 대한 감정을 이야기함으로써 마음이 진정될 수 있다.
5. 불안감이 느껴질 시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여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다.
6. 심호흡 시 산소가 몸 구석구석까지 전달되고 몸의 긴장을 이완시켜 마음의 긴장을 풀어주는 작용을 한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불안사정척도 점수가 21점 이하가 되었다.
10월 5일 불안사정척도 점수 16점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불안상태에 대해 솔직하게 표현하였다.
9월 30일 대상자는 또 다른 처치가 있고, 통증이 지속될까봐 불안하다고 사실대로 표현하였다.
참고문헌
- 제 6판 성인간호학 하(2014) 현문사-조경숙 외
- 제 6판 성인간호학 상(2014) 현문사-조경숙 외
- 제 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약학정보원
킴스온라인
-전환요법: 통증을 느낄 때 다른 곳으로 주의전환을 유도하기 위하여 TV를 보거나 음악을 들어보라고 알려드렸다.
1. Vital Sign은 신체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본적인 지표이며 대상자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상태를 반영한다.
2. 현재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그에 맞는 간호를 수행한다.
3. 반좌위는 폐확장을 크게 하며 횡격막에 대한 복부장기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자신을 지지하는 데 에너지가 적게 든다.
4. 진통제는 신경을 둔마시켜 통증을 경감시키거나 제거하는 작용을 가지는 약물이다.
6.호흡법은 산소공급을 원활히 하며 통증에 집중한 관심을 호흡쪽으로 전가하는 목적이 있다.
관심의 초점을 통증에서 다른 자극으로 바꿈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키며 대상자의 집중력에 달려있다. 특정 이미지를 마음에 그리면서 점차 통증을 덜 느끼게 되는 방법이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NRS 점수가 6점에서 0점으로 줄어들었다.
10월 5일 흉관 제거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완화 요법을 스스로 시행하였다.
9월 29일 심호흡, 전환요법 시행 하여 통증이 좀 사라졌다고 말하심.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불안
사정
객관적 자료
▷ Beck 불안사정척도 점수 26점(22~26: 불안상태, 27~31: 심한 불안 상태, 32점이상: 극심한 불안상태)
▷ rounding을 돌 때마다 주사가 더 있는지에 대하여 물어봄
▷ 손을 가만 두지 못하고 불안한 증세를 보임
▷ 안면이 긴장되어 있고 표정이 굳어있는 모습 관찰됨
주관적 자료
▷ “계속 아플거 같아.”
▷ “이거 계속 달고 다녀야 하는가?”
▷ “이제 몸에 더 꽂고 하는 건 없지?”
▷ “이건 무슨 약인데?”
▷ “이거 달고 있으면 일못하는데... 돈벌어야하는데”
간호진단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불안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불안사정척도 점수가 21점 이하가 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불안 상태에 대해 솔직하게 표현할 것이다.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불안정도를 사정한다.
2. 대상자의 불안증세를 관찰한다.
3. 대상자에게 편안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
4.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5.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6. 심호흡법을 교육한다.
1. 대상자의 불안정도, 빈도, 특성 등을 사정한다. 대상자의 불안정도, 빈도를 사정하였다.
- 불안 정도 : 26점(불안상태)
2. 대상자의 불아증세를 관찰 하였다.
- 손톱을 깨물고 창밖을 한참을 바라보며 다리를 떨고 안면이 긴장되어 표정이 굳어있음.
3. 대상자에게 편안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였다.
- 대상자에게 불을 꺼주고 소음이 없는 편안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고 자세를 편안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명하였다.
4.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정서적 지지를 하였다.
5. 현재 어떤 상태이고 무엇 때문에 불안한지 솔직하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6. 심호흡법을 교육하였다.
- 깊은 심호흡을 규칙적으로 하라고 교육하였다.
1. 불안은 개인이 위협을 인지하는 정도나 대처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고 다른 사람에게도 옮겨갈 수 있으므로 불안정도를 사정하여 그에 따른 간호를 제공한다.
2. 불안의 증세를 관찰함으로서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불안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간호를 제공한다.
3. 외적으로 불안을 가중시키는 소음과 다른사람의 행동들을 막음으로서 불안이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4. 말을 주의깊게 경청함으로서 환자에게 안정감을 느끼게 할 수 있고 상황에 대한 감정을 이야기함으로써 마음이 진정될 수 있다.
5. 불안감이 느껴질 시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여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다.
6. 심호흡 시 산소가 몸 구석구석까지 전달되고 몸의 긴장을 이완시켜 마음의 긴장을 풀어주는 작용을 한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불안사정척도 점수가 21점 이하가 되었다.
10월 5일 불안사정척도 점수 16점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불안상태에 대해 솔직하게 표현하였다.
9월 30일 대상자는 또 다른 처치가 있고, 통증이 지속될까봐 불안하다고 사실대로 표현하였다.
참고문헌
- 제 6판 성인간호학 하(2014) 현문사-조경숙 외
- 제 6판 성인간호학 상(2014) 현문사-조경숙 외
- 제 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약학정보원
킴스온라인
추천자료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수술 중 간호 및대퇴골절의 수술과정
성인간호학 실습 응급실(ER)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늑골골절, 다발성 골절, 폐쇄성 골절, ...
늑골골절, 혈흉 문헌고찰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간호과정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척추 골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어지러움 및 보행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개)
성인간호학 임상사례연구 늑골골절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교수님 극찬, a+보장, 피드백 ...
[근골격계]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과제] Rib Fracture 늑골골절 CASESTUDY(케이스스터디)
[간호학과/케이스스터디/A+과제] trigger finger(방아쇠 수지), fracture&metal removal(...
응급재난간호 자세한 처치 요약정리(하임리히법, 심부전 및 대동맥질환 처치, 다발성 외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