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외교언어 행간 읽기 _ 1) 외교언의 중요성
3. 외교언어 행간 읽기 _ 2) 벨 주한미군 사령관과 그의 수사
4. 나가며
2. 외교언어 행간 읽기 _ 1) 외교언의 중요성
3. 외교언어 행간 읽기 _ 2) 벨 주한미군 사령관과 그의 수사
4. 나가며
본문내용
에 배치돼왔던 해외 주둔 미군의 용도가 아프가니스탄전, 이라크전에서 보듯 미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테러전 대처 목적으로 바뀌어 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를 제외한 해외 주둔 미군은 유럽지역 10만, 아시아 지역10만 등 모두 20만명에 달하며 이들은 702개 군사시설에 주둔해 있다. 이들 해외주둔 미군 중 3만7천500명이 한국에 배치돼 있었으나, 이중 이미 한국으로 부터는 1만2천500명을 감축했다.
우리 언론들이 벨 사령관 그의 말 한마디에 이런 저런 의미를 부여했으나, 이미 그와 미국에게 있어 우리 대한민국의 전략적 위치는 그 중요성이 많이 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반도 평화’로서의 목적이 아니라, 패권국가로서의 위치를 북한으로부터 위협받고 싶지 않았을 뿐이다.
또 세계 속의 패권국가임을 자처했던 미국이 점점 고립주의로 회귀하고 있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자국의 이익과 크게 연결되지 않는 한반도의 안보 문제를 비롯 아시아의 평화를 위해 주둔해있던 미군들에게 국력낭비라는 미국 내 여론이 많아진 것도 그 예의 하나이다. 즉 벨 사령관의 반미, 평화 등의 발언은 한미 동맹의 공고함을 다지기 위함이라기보다는 그저 한 국가로서 자신의 국가 이미지 쇄신에 노력한 발언으로 보인다.
4. 나가며
이런 외교언어의 행간읽기는 국가 정상 회담 후 공동성명이 발표 된 뒤 자주 찾아볼 수 있다. 양측이 문안에 합의하기 어려운 상황일 경우에는 고육지책으로 고도의 수사적인 방법이 동원되기도 한다. 즉, 양측이 각기 자기 식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표현을 한다거나, 어느 쪽에도 불리하지 않은 표현을 쓰는 것이다. 또는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내용을 생략하기도 한다. 이렇게 작성된 공동성명은 전문가가 아니면 그 숨은 뜻을 알아내기가 어려울 정도라고 한다. 「외교, 외교관」
벨 사령관의 언론 내 표현되었던 인용문들을 분석하면서, 특히 그의 말들은 큰 따옴표를 사용한 직접인용문이 간접인용문보다 훨씬 많다는 것을 굳이 세어보지 않아도 알 수 있었다. ‘말’이란 것이 예부터 ‘아 다르고 어 다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인데 하물며 그의 말은 대부분 1차적으로 영어를 국어로, 2차적으로 말을 글로 옮기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한 부분을 감안하여 되도록 직접인용문을 이용해 전달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또 그의 말을 전달하는데 있어 각기 언론사가 직접인용문을 배치하는 위치, 순서 등이 다르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역시 이미 1차적으로 언론사에 의해 그 행간의 의미가 손상되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이 분석을 통해서 단어가 가지는, 문장과 문장 사이 행간이 가지는 의미가 다각도로 해석될 수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으며 즐거웠다. 특히나 자국의 이익이 걸려있는 외교언어에 있어 그 중요성은 더 컸다.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있어 조금은 이미 존재하는 결과나 판단에 비슷해진 것 같아, 그 영향력을 다소 받지 않았나 싶은 부분이 있으나 특정 개인의 단어를 통해 그 상황을 분석해 보는 시도를 해 볼 수 있어 새로웠다.
우리 언론들이 벨 사령관 그의 말 한마디에 이런 저런 의미를 부여했으나, 이미 그와 미국에게 있어 우리 대한민국의 전략적 위치는 그 중요성이 많이 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반도 평화’로서의 목적이 아니라, 패권국가로서의 위치를 북한으로부터 위협받고 싶지 않았을 뿐이다.
또 세계 속의 패권국가임을 자처했던 미국이 점점 고립주의로 회귀하고 있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자국의 이익과 크게 연결되지 않는 한반도의 안보 문제를 비롯 아시아의 평화를 위해 주둔해있던 미군들에게 국력낭비라는 미국 내 여론이 많아진 것도 그 예의 하나이다. 즉 벨 사령관의 반미, 평화 등의 발언은 한미 동맹의 공고함을 다지기 위함이라기보다는 그저 한 국가로서 자신의 국가 이미지 쇄신에 노력한 발언으로 보인다.
4. 나가며
이런 외교언어의 행간읽기는 국가 정상 회담 후 공동성명이 발표 된 뒤 자주 찾아볼 수 있다. 양측이 문안에 합의하기 어려운 상황일 경우에는 고육지책으로 고도의 수사적인 방법이 동원되기도 한다. 즉, 양측이 각기 자기 식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표현을 한다거나, 어느 쪽에도 불리하지 않은 표현을 쓰는 것이다. 또는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내용을 생략하기도 한다. 이렇게 작성된 공동성명은 전문가가 아니면 그 숨은 뜻을 알아내기가 어려울 정도라고 한다. 「외교, 외교관」
벨 사령관의 언론 내 표현되었던 인용문들을 분석하면서, 특히 그의 말들은 큰 따옴표를 사용한 직접인용문이 간접인용문보다 훨씬 많다는 것을 굳이 세어보지 않아도 알 수 있었다. ‘말’이란 것이 예부터 ‘아 다르고 어 다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인데 하물며 그의 말은 대부분 1차적으로 영어를 국어로, 2차적으로 말을 글로 옮기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한 부분을 감안하여 되도록 직접인용문을 이용해 전달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또 그의 말을 전달하는데 있어 각기 언론사가 직접인용문을 배치하는 위치, 순서 등이 다르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역시 이미 1차적으로 언론사에 의해 그 행간의 의미가 손상되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이 분석을 통해서 단어가 가지는, 문장과 문장 사이 행간이 가지는 의미가 다각도로 해석될 수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으며 즐거웠다. 특히나 자국의 이익이 걸려있는 외교언어에 있어 그 중요성은 더 컸다.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있어 조금은 이미 존재하는 결과나 판단에 비슷해진 것 같아, 그 영향력을 다소 받지 않았나 싶은 부분이 있으나 특정 개인의 단어를 통해 그 상황을 분석해 보는 시도를 해 볼 수 있어 새로웠다.
추천자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외교정책 -체제 수준 분석-
일본의 외교
미국의 외교정책(북한문제)
각 국의 외교정책(남한,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미국의 대일본 외교정책
특별소비세 면세제도<외교관면세·외국인전용판매장면세>
남한, 북한, 러시아, 미국, 중국, 일본의 외교정책
중. 미의 대 한반도 정책과 중.미 사이에서 한국의 외교전략
조선정부 평화회의 인식과 정책 -고종의 밀사외교를 중심으로
[국제경영론] 중국 (중국 국가 개요, 정치, 경제, 외교, 문화).ppt
미국美國의 동아시아 외교정책 욱 (3.4)
미국의 pivot to asia 정책과 중국 부상론의 마찰 가능성을 현실주의, 이상주의 관점에서 논...
유럽연합 외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