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븐일레븐과 다른 편의점의 공통점, 차이점
세븐일레븐 swot 분석 (강점, 약점, 위기, 기회)
FC에 대해
세븐일레븐 swot 분석 (강점, 약점, 위기, 기회)
FC에 대해
본문내용
자(고객)를 위해서 존재하며, 본부는 점포를 지원하는 것이 업무의 전부이다.”라는 세븐일레븐의 모토아래, FC는 현재 점포가 어떤 점이 문제인지를 알아야 하며, 본부는 FC를 통해서 점포를 지원해나가야 한다. 이처럼 점포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중간자로서의 FC의 역할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FC의 컨설팅 영역
◐ 의사소통(Communication): 점주와 함께 비즈니스에 관한 생각들을 시간을 가지고 이야기 한다.(청결, 접객 태도 등)
◑ 상담(Counseling): ① 점주의 문제의식을 이해하고, 동시에 점포별 문제점(기회손실, 폐 기손실 등)을 분석한다.
② 종업원의 채용, 교육, 점포의 체계작성(발주분산, 작업할당)을 구 체적으로 지도한다.
조정(Coordination): 점포별, 지역별 단품 특성(판매 동향)을 비교함으로써 각 점포의 특성을 파악한다.
통제(Control): 세븐일레븐 간판을 걸고 기본을 지킬 수 있도록 청결과 친절을 솔선해서 실시한다.
Ⅴ. 상품구성
ⅰ. 단품관리
고객중심의 시장에서 고객은 자신이 원하지 않는 상품은 절대 구매하지 않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그러므로 고객이 원할 때 원하는 상품을, 원하는 서비스로 사기 쉽고 보기 쉽고 꺼내기 쉬운 매장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 소위 생활자 주도형 시대에서 유통 담당자들이 취해야할 요체이다.
고객에 대한 정보나 도움 없이는 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결국 고객이라는 불특정한 소비자, 정확히는 그들의 니즈와 경쟁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때에 가장 필요한 것이 발 단품관리이다. 단품 관리의 의미는 무엇이 팔리고 무엇이 팔리지 않는지 또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도면밀하게 관찰하여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세븐일레븐은 단품관리를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관리하고 있다.
① 현상분석: 매장파악(위치, 영업부문), 고객파악(구매 계층과 구매시기), 상품파악(빨리 팔리는 품목, 천천히 팔리는 품목), 전시방법 파악(고객의 편이, 경쟁, 판매 현황에 따라)
② 가설수립: 고객의 니즈에 맞는 상품들인가?
날씨, 휴일, 이벤트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 품목인가?
품목을 추가/제거할 경우 판매에 영향이 있을 것인가?
전시방법 변경이 판매에 영향을 줄 것인가?
③ 실행: 발주 수량 결정( 발주는 매장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
④ 검정: 판매량과 반품 량은 얼마인가?
재고부족으로 인해 판매기회를 상실한 적이 있는가?
날씨나 특별 행사로 인한 판매 영향이 있는가?
성과를 거둔 부분과 실패한 부분은 어디인가?
ⅱ. 선도관리와 PB 상품
선도관리 : 선도 관리에서 세븐일레븐의 가장 큰 특징으로 후입선출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우유를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중에 납품된 선도 높은 것을 전면에 진열하고 먼저 납품되어 선도가 낮은 것을 후면에 진열하는 방식이다. 그렇게 되면 선도가 낮은 것은 재고가 될 가능성이 높아 점포의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기 쉽다. 그러나 고객이 선도 높은 상품을 원하고 있는 이상, 고객을 우선한 진열을 하는 것이다.
단, 김밥이나 도시락에 대해서는 유통기한을 제조일로부터 24시간으로 짧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맛에는 큰 차가 없다고 판단하여 선입선출을 실시하고 있다.
■ 지방 경쟁으로 넘어간 2라운드
지난해 출점동향 - 입지확보에 어려움 커짐.
여전히 서울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점포를 확장하고 있지만, 지방 출점 비율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점이 특징.
◇ 지역별 점포 증가 추세
서울 - 3백83개
경기 - 3백38개
※성장률 - 강원도: 1백8%, 제주도: 91%, 인천: 34.2%
◇ 특징 - 분포율에 있어 서울을 비롯한 부산, 광주, 대전 같은 대도시 분포율이 감소.
지방 출점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대도시 분포율이 감소. 특히, 충청지역과 호남지역에서 두드러짐.
충남·충북·전남·전북 지역 출점 수가 대전·광주 지역보다 월등함.
◇화려하게 변신 중인 편의점=GS25는 지난 2일부터 서울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 공원내 매점을 편의점으로 바꾸는 작업에 착수했다고 5일 밝혔다.
올 상반기까지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1층을 비롯, 공원 보조매장 10곳 등 모두 11개 지점에 GS25 점포가 들어설 예정이다. 일반 매점에서 구입할 수 없던 삼각김밥, 도시락, 샌드위치 등 즉석식품과 전자레인지에 데워 먹을 수 있는 먹거리 등 상품 가짓수가 한결 다양해졌다.
특히 공원 편의점답게 잡지 등 서적류, 돗자리, 건전지 등 나들이 상품을 크게 늘렸다. 또 디지털 사진인화, DVD 대여, 휴대폰 충전, 택배 등 40여종의 생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공원 이용시간인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만 영업한다.
GS25는 이미 지난해 2월 최초로 부산~일본 오사카간 크루즈급 대형 여객선에 ‘선상 편의점’도 오픈했다. 그해 7월엔 ‘인천국제공항 철도’ 역사 내에 GS25를 열었다. 부산의 벡스코(BEXCO)에도 지난해 9월 GS25 편의점이 등장했다.
GS25 빵굽는 편의점
이밖에 야구장, 우체국, 공항 등 특수 입지에 걸맞은 형태의 편의점이 들어서는 게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숙명여대 앞에 커피향이 은은한 ‘카페형 편의점’ 남영역점을 지난해 9월 열었다. 소비 흐름을 선도하는 10∼30대 초반의 젊은 여성을 겨냥해 여성전용 휴게실도 마련했다. 즉석조리 코너도 있어 커피전문점처럼 10여종의 커피와 방을 만들고, 김밥 샌드위치 비빔밥 등을 조리, 판매한다. 여느 편의점과 달리 상품진열대는 휴게공간 뒤편에 뒀다.
훼미리마트는 지하철 등 색다른 위치에 개설해 눈길을 끈다. 훼미리마트는 서울 대전 대구 부산의 KTX 역사내 승강장 8곳에 도시락 전문점을 설치했다.
내년 개통 예정인 지하철 9호선의 24개 역사 내에도 편의점을 낼 계획이다. ‘지하철 편의점’은 열차표도 팔고 시설안내 및 비상시 응급조치 요령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앞서 훼미리마트는 2002년 11월 금강산 온정각휴게소와 직원 숙소인 금강산빌리지에 1, 2호점을 열었다. 2004년 12월에는 개성공단내 점포도 마련했다.
FC의 컨설팅 영역
◐ 의사소통(Communication): 점주와 함께 비즈니스에 관한 생각들을 시간을 가지고 이야기 한다.(청결, 접객 태도 등)
◑ 상담(Counseling): ① 점주의 문제의식을 이해하고, 동시에 점포별 문제점(기회손실, 폐 기손실 등)을 분석한다.
② 종업원의 채용, 교육, 점포의 체계작성(발주분산, 작업할당)을 구 체적으로 지도한다.
조정(Coordination): 점포별, 지역별 단품 특성(판매 동향)을 비교함으로써 각 점포의 특성을 파악한다.
통제(Control): 세븐일레븐 간판을 걸고 기본을 지킬 수 있도록 청결과 친절을 솔선해서 실시한다.
Ⅴ. 상품구성
ⅰ. 단품관리
고객중심의 시장에서 고객은 자신이 원하지 않는 상품은 절대 구매하지 않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그러므로 고객이 원할 때 원하는 상품을, 원하는 서비스로 사기 쉽고 보기 쉽고 꺼내기 쉬운 매장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 소위 생활자 주도형 시대에서 유통 담당자들이 취해야할 요체이다.
고객에 대한 정보나 도움 없이는 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결국 고객이라는 불특정한 소비자, 정확히는 그들의 니즈와 경쟁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때에 가장 필요한 것이 발 단품관리이다. 단품 관리의 의미는 무엇이 팔리고 무엇이 팔리지 않는지 또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도면밀하게 관찰하여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세븐일레븐은 단품관리를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관리하고 있다.
① 현상분석: 매장파악(위치, 영업부문), 고객파악(구매 계층과 구매시기), 상품파악(빨리 팔리는 품목, 천천히 팔리는 품목), 전시방법 파악(고객의 편이, 경쟁, 판매 현황에 따라)
② 가설수립: 고객의 니즈에 맞는 상품들인가?
날씨, 휴일, 이벤트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 품목인가?
품목을 추가/제거할 경우 판매에 영향이 있을 것인가?
전시방법 변경이 판매에 영향을 줄 것인가?
③ 실행: 발주 수량 결정( 발주는 매장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
④ 검정: 판매량과 반품 량은 얼마인가?
재고부족으로 인해 판매기회를 상실한 적이 있는가?
날씨나 특별 행사로 인한 판매 영향이 있는가?
성과를 거둔 부분과 실패한 부분은 어디인가?
ⅱ. 선도관리와 PB 상품
선도관리 : 선도 관리에서 세븐일레븐의 가장 큰 특징으로 후입선출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우유를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중에 납품된 선도 높은 것을 전면에 진열하고 먼저 납품되어 선도가 낮은 것을 후면에 진열하는 방식이다. 그렇게 되면 선도가 낮은 것은 재고가 될 가능성이 높아 점포의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기 쉽다. 그러나 고객이 선도 높은 상품을 원하고 있는 이상, 고객을 우선한 진열을 하는 것이다.
단, 김밥이나 도시락에 대해서는 유통기한을 제조일로부터 24시간으로 짧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맛에는 큰 차가 없다고 판단하여 선입선출을 실시하고 있다.
■ 지방 경쟁으로 넘어간 2라운드
지난해 출점동향 - 입지확보에 어려움 커짐.
여전히 서울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점포를 확장하고 있지만, 지방 출점 비율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점이 특징.
◇ 지역별 점포 증가 추세
서울 - 3백83개
경기 - 3백38개
※성장률 - 강원도: 1백8%, 제주도: 91%, 인천: 34.2%
◇ 특징 - 분포율에 있어 서울을 비롯한 부산, 광주, 대전 같은 대도시 분포율이 감소.
지방 출점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대도시 분포율이 감소. 특히, 충청지역과 호남지역에서 두드러짐.
충남·충북·전남·전북 지역 출점 수가 대전·광주 지역보다 월등함.
◇화려하게 변신 중인 편의점=GS25는 지난 2일부터 서울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 공원내 매점을 편의점으로 바꾸는 작업에 착수했다고 5일 밝혔다.
올 상반기까지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1층을 비롯, 공원 보조매장 10곳 등 모두 11개 지점에 GS25 점포가 들어설 예정이다. 일반 매점에서 구입할 수 없던 삼각김밥, 도시락, 샌드위치 등 즉석식품과 전자레인지에 데워 먹을 수 있는 먹거리 등 상품 가짓수가 한결 다양해졌다.
특히 공원 편의점답게 잡지 등 서적류, 돗자리, 건전지 등 나들이 상품을 크게 늘렸다. 또 디지털 사진인화, DVD 대여, 휴대폰 충전, 택배 등 40여종의 생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공원 이용시간인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만 영업한다.
GS25는 이미 지난해 2월 최초로 부산~일본 오사카간 크루즈급 대형 여객선에 ‘선상 편의점’도 오픈했다. 그해 7월엔 ‘인천국제공항 철도’ 역사 내에 GS25를 열었다. 부산의 벡스코(BEXCO)에도 지난해 9월 GS25 편의점이 등장했다.
GS25 빵굽는 편의점
이밖에 야구장, 우체국, 공항 등 특수 입지에 걸맞은 형태의 편의점이 들어서는 게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숙명여대 앞에 커피향이 은은한 ‘카페형 편의점’ 남영역점을 지난해 9월 열었다. 소비 흐름을 선도하는 10∼30대 초반의 젊은 여성을 겨냥해 여성전용 휴게실도 마련했다. 즉석조리 코너도 있어 커피전문점처럼 10여종의 커피와 방을 만들고, 김밥 샌드위치 비빔밥 등을 조리, 판매한다. 여느 편의점과 달리 상품진열대는 휴게공간 뒤편에 뒀다.
훼미리마트는 지하철 등 색다른 위치에 개설해 눈길을 끈다. 훼미리마트는 서울 대전 대구 부산의 KTX 역사내 승강장 8곳에 도시락 전문점을 설치했다.
내년 개통 예정인 지하철 9호선의 24개 역사 내에도 편의점을 낼 계획이다. ‘지하철 편의점’은 열차표도 팔고 시설안내 및 비상시 응급조치 요령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앞서 훼미리마트는 2002년 11월 금강산 온정각휴게소와 직원 숙소인 금강산빌리지에 1, 2호점을 열었다. 2004년 12월에는 개성공단내 점포도 마련했다.
추천자료
7-ELEVEN 성공사례
SCM 성공전략_7-eleven 사례
한국과 일본의 편의점 비교
편의점의 현황과 전망과 향후과제
기업경쟁력의 성공사례
7-Eleven Japan SCM
[마케팅] LOTTE.COM 롯데닷컴 분석
7-ELEVEN 유통 관리, 마케팅전략, 경영전략 [디자인A+, 발표내용A+]
GS25 분석
[우수평가자료]도전하지 않으려면 일하지 마라 독후감상문, 저자가 말하는 핵심내용분석과 느...
Seven-Eleven
편의점 시장조사
[트라이얼마트]유통전략 TRIAL COMPANY 일본 유통업계의 한국진출과 초저가 불황형 경영전략
CU(씨유) 기업분석과 CU 마케팅전략과 경영전략 사례분석 및 CU 미래전망분석.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