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전통윤리와 한국윤리사상
2. 한국유학의 시원
3. 삼국시대의 유교/유학
4. 고려 전기의 유교/유학
5. 고려 후기의 유교와 유학
6. 조선 성리학의 전개
7. 조선후기 실학
8. 근대유학
2. 한국유학의 시원
3. 삼국시대의 유교/유학
4. 고려 전기의 유교/유학
5. 고려 후기의 유교와 유학
6. 조선 성리학의 전개
7. 조선후기 실학
8. 근대유학
본문내용
점에서 바라봄
-『동국지리지』: 실증적·객관적인 지리지
2) 이수광(1563~1628)
-서양의 문물과 학술적 문화를 적극 수용할 것을 강조
-『지봉유설』: 백과사전, 실재적인 실용성과 실증성을 중시
3) 허균(1589~1618)
-탈성리학적 관점
-『홍길동전』: 문학작품을 통해 전통적 유교의 가치관과 이념에 대한 허구성 비판
4) 유형원(1622~1673)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율곡의 사상을 받아들임
-『반계수록』: 농업사회라는 전통 사회의 근간 속에서 농업·정치·군현·행정·국방의 측면에서 실질적 개혁론 주장
7.4. 실학의 확립(18c)
7.4.1. 성호학파와 경세치용 , 7.4.2. 북학파와 이용후생
· 성호학파-경세치용, 북학파-이용후생
-성호학파와 북학파의 공통점
① 경제적 가치를 도덕적 가치만큼 중시,
② 경세론적 이용후생, 실사구시에 입각한 정치·사회적인 관점 추구
-성호학파와 북학파의 차이점
성호학파
북학파
퇴계학맥(간접적 계승)
이이 학맥(직접적 계승)
농업을 기반
상업을 기반
방법론-서양의 과학 기술 문물 수용추구
방법론-상업 중에 국제무역중시
농업생산성의 극대화를 통해 경제적 가치 추구
국제질서를 파악하여 자국의 이익 극대화 추구
7.5. 실학의 집대성(다산)
7.5.1. 다산 실학의 체계: 일표이서, 육경사서
1) 정약용(1762~1836)
-17~18세기의 선구와 확립기 사상을 모아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구시를 종합적으로 집대성 → 성리학과 이론적·논리적·구조적으로 대립할 수 있는 실학의 학문 체계확립
-전통 성리학과는 다른 실학의 학문적 방법론 제시
-이기론이 중심이 아닌 경세론 중심이 되어야한다고 주장
-유배기간 동안 자신의 학문을 더욱 연마해 육경사서(六經四書)에 대한 연구를 비롯, 일표이서 등 모두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김
-일표이서(一表二書): 경세유표(經世遺表), 목민심서(牧民心書), 흠흠심서(欽欽新書)
-『목민심서』: 농심의 실태, 서리의 부정, 토호의 작폐, 도서민의 생활 상태 등을 낱낱이 서술
2) 김정희 (1786~1856)
-고증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금석학을 중심으로 연구
3) 최한기(1803~1875)
-실학을 순수학문적 입장에서 연구
-실학사상을 서양의 경험주의적 관점에서 봄
7.5.2. 실학의 학문 방법론: 고증, 하학이상달, 박학
· 하학이상달: 실재 상황의 실재성 상:도달점-궁극적 목적-형이상학
하: 출발점-현실적모습-형이하학
· 백과사전: 현실속에서 실용성
-박학다식한 지식을 모아 정리하고 열거함
· 고증학: 검증하기 위한 실증성
-유학이 가지고 있는 학문적 근거와 토대 속에서 정당화 함
-현실적 방법으로 하학상달과 백과사전의 방법을 유학경전의 고증학적 방법에서 근거 지음
7.5.3. 실학의 사상적(철학적) 특징: 우주, 인간, 가치, 사회
1) 명(名)과 실(實)의 관계
· 성리학자: 명분을 중시→명분 뒤에 실이 따라가는 것으로 봄
-도덕규범의 실질성을 중시하여 개념이 실제한다고 봄
-서양의 실재론과 같은 맥락
· 실학자: 실을 중시→명은 보편적·일반적 원리로서 존재하는 이름일 뿐
-실질이 명분을 규정한다고 봄
-서양의 유명론과 같은 맥락
2) 우주·자연·인간·관계
· 성리학자
-맹자식 방식: 인간은 소우주, 우주를 대우주라 봄
-인간이고 인간답다. → 인간의 존재와 당위의 문제를 우주에서 근거하여 찾게 됨
· 실학자
-순자식 방식: 인간은 우주에서 독보적·혈기적 존재
-인간이고 인간답다. → 인간의 존재는 우주에서 찾을 수 있지만 당위는 찾을 수 없다.
8. 근대유학
8.1. 역사적 배경
8.1.1. 근대의 시기와 의미: 19c후 - 20c초, 8.1.2. 국제정세와 제국주의
1) 근대의 의미: 개화기 (1860~1910)+일제식민지 시기(1910~1945)
2) 역사적 사건
1863 1866 1871 1876 1894 1897 1910 1945
고종취임 병인양요 신미양요 개항 갑오개혁 대한제국성립 한일합방 8·15해방
※진한부분이 식민지 시기
3) 시대적 특징
① 제국주의의 만연: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미국, 일본 증
② 근대화: 서구 문물 수용(세계화)
③ 식민지 상태 (1910~1945)
8.2. 사상적 배경
8.2.1. 근대화: 서학과 과학문명, 8.2.2. 사상적 전통: 성리학과 실학, 사대부와 백성
1) 국내
보수 사상
개혁 사상
전통 성리학(지배 계층)
실학(지배 계층)
동학(피지배 계층)
개화사상(피지배 계층)
2) 국제
보수 사상
개혁 사상
전통 성리학(지배 계빔)
동학 (피지배 계층)
실학(지배 계층)
개화사상(피지배 계층)
8.3. 근대 사상의 흐름
8.3.1. 근대 사상의 전개: 위정척사, 급진개혁, 동학, 동도서기
1) 위정척사: 유교 질서를 보전하고, 외세 및 문물 침투를 배척
① 전통 성리학 기반: 전통 성리학의 절대적 유지 및 계승
② 지지 세력: 지배 계층
③ 존화양이론에 입각 ·척양척왜, 왜양일체
2) 동도서기: 우리 전통사상인 도(道)는 지키되, 근대 서구의 기술은 기(器)는 받아들이자.
① 실학 기반: 전통 성리학 비판 및 개혁 추구
② 지지 세력: 지배 계빔
③ 중체서용(中體西用) 및 화혼양재와 유사
3) 동학: 최제우에 의해 창도된 조선 후기 신종교
① 유교, 불교, 도교, 고유사상에 기반
② 지지 세력: 피지배 계층
③ 개혁적·반봉건적 성향(만민평등)
④ 서학(西學) 부정 (서구 문물 수용 반대)
4) 개화사상: 전통 질서를 타파하고, 서구 문물을 적극 수용
① 실학 및 서학에 기반 (서학>실학)
② 지지 세력: 피지배 계층
③ 급진적·개혁적·반봉건적 성향 (평등사상)
8.3.2. 일제 강점기의 사상적 관점: 성리학, 양명학, 민족고유사상, 서학
관점
특징
중심 인물
전통 성리학(주자학)
전통 성리학의 반성을 통한 개혁 추구
이병헌, 이진상
양명학
전통 성리학의 비판과 반성을 통한 개혁 추구
박은식, 정인보
고유사상
민족의 주체성 회복을 추구
신채호, 최남선
서학
교육을 통한 민족 운동 전개
유형모, 함석헌
· 광복이후에는 정치 이데올로기적 흐름으로 바뀜 (공산주의 vs 자유주의)
-『동국지리지』: 실증적·객관적인 지리지
2) 이수광(1563~1628)
-서양의 문물과 학술적 문화를 적극 수용할 것을 강조
-『지봉유설』: 백과사전, 실재적인 실용성과 실증성을 중시
3) 허균(1589~1618)
-탈성리학적 관점
-『홍길동전』: 문학작품을 통해 전통적 유교의 가치관과 이념에 대한 허구성 비판
4) 유형원(1622~1673)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율곡의 사상을 받아들임
-『반계수록』: 농업사회라는 전통 사회의 근간 속에서 농업·정치·군현·행정·국방의 측면에서 실질적 개혁론 주장
7.4. 실학의 확립(18c)
7.4.1. 성호학파와 경세치용 , 7.4.2. 북학파와 이용후생
· 성호학파-경세치용, 북학파-이용후생
-성호학파와 북학파의 공통점
① 경제적 가치를 도덕적 가치만큼 중시,
② 경세론적 이용후생, 실사구시에 입각한 정치·사회적인 관점 추구
-성호학파와 북학파의 차이점
성호학파
북학파
퇴계학맥(간접적 계승)
이이 학맥(직접적 계승)
농업을 기반
상업을 기반
방법론-서양의 과학 기술 문물 수용추구
방법론-상업 중에 국제무역중시
농업생산성의 극대화를 통해 경제적 가치 추구
국제질서를 파악하여 자국의 이익 극대화 추구
7.5. 실학의 집대성(다산)
7.5.1. 다산 실학의 체계: 일표이서, 육경사서
1) 정약용(1762~1836)
-17~18세기의 선구와 확립기 사상을 모아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구시를 종합적으로 집대성 → 성리학과 이론적·논리적·구조적으로 대립할 수 있는 실학의 학문 체계확립
-전통 성리학과는 다른 실학의 학문적 방법론 제시
-이기론이 중심이 아닌 경세론 중심이 되어야한다고 주장
-유배기간 동안 자신의 학문을 더욱 연마해 육경사서(六經四書)에 대한 연구를 비롯, 일표이서 등 모두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김
-일표이서(一表二書): 경세유표(經世遺表), 목민심서(牧民心書), 흠흠심서(欽欽新書)
-『목민심서』: 농심의 실태, 서리의 부정, 토호의 작폐, 도서민의 생활 상태 등을 낱낱이 서술
2) 김정희 (1786~1856)
-고증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금석학을 중심으로 연구
3) 최한기(1803~1875)
-실학을 순수학문적 입장에서 연구
-실학사상을 서양의 경험주의적 관점에서 봄
7.5.2. 실학의 학문 방법론: 고증, 하학이상달, 박학
· 하학이상달: 실재 상황의 실재성 상:도달점-궁극적 목적-형이상학
하: 출발점-현실적모습-형이하학
· 백과사전: 현실속에서 실용성
-박학다식한 지식을 모아 정리하고 열거함
· 고증학: 검증하기 위한 실증성
-유학이 가지고 있는 학문적 근거와 토대 속에서 정당화 함
-현실적 방법으로 하학상달과 백과사전의 방법을 유학경전의 고증학적 방법에서 근거 지음
7.5.3. 실학의 사상적(철학적) 특징: 우주, 인간, 가치, 사회
1) 명(名)과 실(實)의 관계
· 성리학자: 명분을 중시→명분 뒤에 실이 따라가는 것으로 봄
-도덕규범의 실질성을 중시하여 개념이 실제한다고 봄
-서양의 실재론과 같은 맥락
· 실학자: 실을 중시→명은 보편적·일반적 원리로서 존재하는 이름일 뿐
-실질이 명분을 규정한다고 봄
-서양의 유명론과 같은 맥락
2) 우주·자연·인간·관계
· 성리학자
-맹자식 방식: 인간은 소우주, 우주를 대우주라 봄
-인간이고 인간답다. → 인간의 존재와 당위의 문제를 우주에서 근거하여 찾게 됨
· 실학자
-순자식 방식: 인간은 우주에서 독보적·혈기적 존재
-인간이고 인간답다. → 인간의 존재는 우주에서 찾을 수 있지만 당위는 찾을 수 없다.
8. 근대유학
8.1. 역사적 배경
8.1.1. 근대의 시기와 의미: 19c후 - 20c초, 8.1.2. 국제정세와 제국주의
1) 근대의 의미: 개화기 (1860~1910)+일제식민지 시기(1910~1945)
2) 역사적 사건
1863 1866 1871 1876 1894 1897 1910 1945
고종취임 병인양요 신미양요 개항 갑오개혁 대한제국성립 한일합방 8·15해방
※진한부분이 식민지 시기
3) 시대적 특징
① 제국주의의 만연: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미국, 일본 증
② 근대화: 서구 문물 수용(세계화)
③ 식민지 상태 (1910~1945)
8.2. 사상적 배경
8.2.1. 근대화: 서학과 과학문명, 8.2.2. 사상적 전통: 성리학과 실학, 사대부와 백성
1) 국내
보수 사상
개혁 사상
전통 성리학(지배 계층)
실학(지배 계층)
동학(피지배 계층)
개화사상(피지배 계층)
2) 국제
보수 사상
개혁 사상
전통 성리학(지배 계빔)
동학 (피지배 계층)
실학(지배 계층)
개화사상(피지배 계층)
8.3. 근대 사상의 흐름
8.3.1. 근대 사상의 전개: 위정척사, 급진개혁, 동학, 동도서기
1) 위정척사: 유교 질서를 보전하고, 외세 및 문물 침투를 배척
① 전통 성리학 기반: 전통 성리학의 절대적 유지 및 계승
② 지지 세력: 지배 계층
③ 존화양이론에 입각 ·척양척왜, 왜양일체
2) 동도서기: 우리 전통사상인 도(道)는 지키되, 근대 서구의 기술은 기(器)는 받아들이자.
① 실학 기반: 전통 성리학 비판 및 개혁 추구
② 지지 세력: 지배 계빔
③ 중체서용(中體西用) 및 화혼양재와 유사
3) 동학: 최제우에 의해 창도된 조선 후기 신종교
① 유교, 불교, 도교, 고유사상에 기반
② 지지 세력: 피지배 계층
③ 개혁적·반봉건적 성향(만민평등)
④ 서학(西學) 부정 (서구 문물 수용 반대)
4) 개화사상: 전통 질서를 타파하고, 서구 문물을 적극 수용
① 실학 및 서학에 기반 (서학>실학)
② 지지 세력: 피지배 계층
③ 급진적·개혁적·반봉건적 성향 (평등사상)
8.3.2. 일제 강점기의 사상적 관점: 성리학, 양명학, 민족고유사상, 서학
관점
특징
중심 인물
전통 성리학(주자학)
전통 성리학의 반성을 통한 개혁 추구
이병헌, 이진상
양명학
전통 성리학의 비판과 반성을 통한 개혁 추구
박은식, 정인보
고유사상
민족의 주체성 회복을 추구
신채호, 최남선
서학
교육을 통한 민족 운동 전개
유형모, 함석헌
· 광복이후에는 정치 이데올로기적 흐름으로 바뀜 (공산주의 vs 자유주의)
추천자료
동양윤리사상인 유가
진대및후한 윤리사상
[과외]고등 윤리-윤리사상의흐름과특징 01
도덕윤리선택과목(시민윤리,윤리와사상,전통윤리)교과서,교사용지도서 정리
동양 윤리사상의 이해
서양 윤리사상 학파별,학자별 비교정리/서양 철학 사상사 정리
직업윤리의 변천과 사상적 기초,직업윤리의식, 직업윤리사상
소크라테스의 인간탐구 윤리설- 생애, 윤리사상
동양윤리사상의 의해(조현규) 내용정리 50page
공자의 철학(천 사상, 윤리사상, 교학사상, 정치사상, 효제, 충서, 박문약례, 정명론)
[서양철학, 역사구분, 윤리사상, 합리주의천주교, 서양]서양철학과 역사구분, 서양철학과 윤...
스콜라철학(스콜라학파)의 성격, 내용, 스콜라철학(스콜라학파)의 전개, 스콜라철학(스콜라학...
선종의_윤리사상
정호의 윤리사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