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필리핀 관습][필리핀 역사][필리핀인 특성][필리핀 교육제도][필리핀 열대 과일]필리핀의 지리적 환경, 필리핀의 관습, 필리핀의 역사, 필리핀인의 특성, 필리핀의 교육제도, 필리핀의 열대 과일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필리핀][필리핀 관습][필리핀 역사][필리핀인 특성][필리핀 교육제도][필리핀 열대 과일]필리핀의 지리적 환경, 필리핀의 관습, 필리핀의 역사, 필리핀인의 특성, 필리핀의 교육제도, 필리핀의 열대 과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필리핀의 지리적 환경

Ⅲ. 필리핀의 관습
1. 식모 maid / servant
2. 식사
3. 시간관념
4. 축제 Fiesta
5. Yes or No? Always Yes Sir.
6. 인사
7. 지방의 도로 통행세
8. 만족도

Ⅳ. 필리핀의 역사

Ⅴ. 필리핀인의 특성
1. 일반적 특성
1) 개인주의적 성향
2) 권위주의적 성향
2. 문화적 가치면에서의 특성
1) 빠끼끼사마(pakikisama)
2) 우땅나뤂(utang na loob)
3) 히야(hiya)
4) 아모르 프로피오(amor propio)
3. 그 밖의 특성
1) 시간엄수(punctuality)에 관련된 문제
2) 호기심(curiosity)의 문제
3) 웃음에 관한 문제
4) 신체적 습관에 관한 문제
5) 언어습관에 관한 문제
6) 에티켓에 관한 문제

Ⅵ. 필리핀의 교육제도
1. 초, 중, 고등학교
2. 중학생활
3. 입시제도
4. 대학교

Ⅶ. 필리핀의 열대 과일
1. 두리안
2. 망고스틴
3. 망고
4. 코코넛
5. 람부탄
6. 바나나

참고문헌

본문내용

강한 집착을 보이는 것은 어떤 사회에서든 당연한 문제로 취급될지도 모르지만, 특히 필리핀인들에게는 절대 가벼운 문제가 아니며, 그로 인해 폭력으로까지 치달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어느 필리핀인이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창피를 당했다고 생각할 때 그는 언젠가는 그에 상응하는 앙갚음을 폭력으로 갚을 수도 있다.
4) 아모르 프로피오(amor propio)
amor propio는 감정적이며 모욕적인 공격과 함께 자존심을 자극한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이는 직접적으로 동작을 취함으로서 공격하는 행동이 아닌 간접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정신적 타격을 준다는 것이다. 필리핀인들은 자존심이 매우 강하다. 비록 가난하고 어려운 환경에 살아도 그들은 스스로 인생을 자긍심을 가지고 살아간다고 생각한다. 역사적으로 그들은 외세에 의해 오랫동안 핍박받으며 살아왔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따라서 amor propio라는 말에는 또한 “자기 방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필리핀 문화에 관한 연구를 시도한 사회학자 린치(Frank Lynch)는 “감정적 개입이 있는 곳에 amor propio가 있으며, amor propio를 건드리는 것은 다툼을 야기 시키는 것이다.”라고 지적하면서 필리핀인들 사이의 인간관계에서 갑작스러운 폭력의 대부분은 amor propio를 건드리게 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강조한다.
3. 그 밖의 특성
1) 시간엄수(punctuality)에 관련된 문제
필리핀인은 일반적으로 시간관념에 대하여 상당히 느슨한 편인 듯하다. 어떤 프로젝트의 만기일을 놓친다 하더라도 또는 약속장소에 늦는다 하더라도 이것에 대한 일정한 사회적 제재는 물론, 개인적 책임의식이 상당 부분 결여되어 있는 듯하다. 이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필리핀인들과 외국인들 간에 때로는 의미심장해 보이는 긴장을 야기 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필리핀인의 시간관념에 대한 자세를 설명해 주는 타갈록(Tagalog)의 용어가 바로 바할라나(bahala na)이다. bahala na는 “무엇인가가 될 것이다.(what will be)\"라고 번역될 수 있는데, 이는 필리핀인들이 평소 너무 낙관적이며 느슨한 그들의 자세를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대부분의 필리핀인들은 그들 스스로 인생을 컨트롤 할 수 없으며, 그들의 운명은 초자연적인 힘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고 믿는다. 이러한 운명론적인 인식은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열심히 일하기보다는 신의 노여움을 일으키지 않으며 인생을 살아 보려는 자세가 더욱 역력하다. 그것은 또한 어려움과는 상관없이 인생에 있어서 단순히 그의 몫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사람을 만들어 낸다. 따라서 필리핀인들은 좀처럼 조바심의 징조를 나타내지 않는다. 그들은 그들의 미래를 예측하여 도와주는 점쟁이들의 능력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살아가는지도 모른다.
2) 호기심(curiosity)의 문제
필리핀인들의 호기심은 두 가지 면에서 표현될 수 있다. 즉 노려보기(staring)와 질문하기(questioning)이다. 외국인들은 필리핀인들이 때로는 성가실 정도로 또는 당황케 할 정도로 상대를 빤히 쳐다보는 경우를 보게 된다. 사실상 이것은 젊은 사람이나 나이가 든 사람이나, 돈이 많은 사람이나 가난한 사람이나, 잘생긴 사람이나 못생긴 사람이나 할 것이 없이 누구에게나 보여 지는 행동으로서 적의가 있어서 또는 아첨하기 위해서 하는 행동이 아니다. 이것은 단순히 어떤 것에 대한 호기심 어린 눈빛이다라고 할 수 있다.
필리핀인들은 어떤 질문을 던질 때 보통 눈치 보지 않고 서슴없이 말을 건네는 경향이 있다. 이를테면 처음 만남 외국인에게 “왜 당신은 자식을 낳지 않느냐?”라든지 “왜 당신 부모님의 직업은 그와 같은 것이냐?”라는 등 프라이버시에 관련된 질문을 서슴치 않고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와 같은 것을 볼 때 보통 필리핀인들은 필요에 따라서 프라이버시를 의식하지 않는 듯 하다. 이것은 또한 보통 필리핀인들이 스스로 개인적인 문제를 언급할 때 비교적 매우 솔직한 편이다라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3) 웃음에 관한 문제
보통 필리핀인들은 잘 웃는 편이다. 필리핀인들의 웃음은 어리둥절하여 당황하거나 감정이 섞여 있는 상황에서 긴장을 적당히 풀어 주곤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외국인들은 이와 같은 매너리즘(mannerism)을 처음에는 그때그때의 분위기를 흐리는 것으로써 오해할 수도 있다. 소아과 의사가 어린아이의 심각한 병을 치료하면서도 낄낄거리며 전혀 진지해 보이지 않는 표정이라든가, 가정이나 직장에서 고용한 운전기사가 차 사고를 내놓고도 이를 주인이나 상사에게 보고하는 그의 얼굴표정이 근심 어린 빛보다는 아무렇지도 않은 양 웃어 보이며 말하는 표정 등에서 그럴 수 있다.
필리핀인들의 그러한 행동이 일어난 일이나 사건이 가벼운 것 또는 가볍게 처리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실상 그것은 그들의 행동문화가 그러한 일이나 사건을 접할 때 나타나는 (심리적으로 정반대로 나타나는)현상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매우 긴장한 상황에서 필리핀인들이 보여주는 그들의 행동일 뿐이다.
4) 신체적 습관에 관한 문제
필리핀인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신체적 습관을 지니고 있는데, 그것을 몇 가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걸으며 말할 때 서로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지만 (특히 군중 속에서) 공격적인 신체접촉을 꺼린다.
- 한쪽 손만으로 악수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용인되어 있다.
- 직접적으로 오랫동안 눈을 마주치는 것은 무례한 행동이다.
- 손가락질을 하면서 사람을 부르는 것은 매우 버릇없는 행동으로 간주된다.
- 무엇인가를 인정할 때, 눈썹을 위로 치켜 올리는데, 이것은 yes를 의미한다.
- 종종 입술로 무엇인가를 지적한다.
5) 언어습관에 관한 문제
필리핀인들은 신체적 습관뿐만 아니라 그들만의 독특한 언어습관을 지니고 있는데, 그것을 몇 가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윗 사람들 중에서 남자의 경우 sir로, 여자의 경우 ma\'am으로 부른다.
- 질문을 할 때, 먼저 사과부터 하면서 한다. (예, I\'m sorry to bother you, but...)
- 주의력을 끌으려고 할 때, 입 속의 혀를 통하여 “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4.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0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