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의 정경, 외경, 가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의 정경, 외경, 가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구약의 정경
1. 정경의 의의
2. 정경이 정해진 이유
3. 구약 정경의 확립과 얌니아 회의
4. 구약 정경의 확정 시기

Ⅱ. 구약의 외경
1. 외경의 의의
2. 외경의 제외
3. 외경의 분류
4. 현재의 외경

Ⅲ. 구약의 가경
1. 가경의 의의
2. 가경의 분류

본문내용

있지 않았다. 따라서 여러 분파들이 역사가 짧은 교회에서 지배권을 획득하려고 경쟁했다. 설교나 선교를 통해 신자를 얻으려고 했듯이 모든 싸움은 저술을 통해 행해졌다. 실제로 후에 이단으로 정죄당한 신앙을 옹호한 작품들은 거부되거나 파기되었다.
외경 작품 이외에 〈신약성서〉는 제2의 정경이란 용어의 부차적 의미인 \'후에 덧붙여진\'으로 설명되는 많은 작품과 단편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것들 중 하나가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인데, 그것은 바울로가 저자로 되어 있지만 그는 이 편지가 씌어지기 전에 죽었다. 그밖의 것들로는 〈야고보의 편지〉·〈베드로의 둘째 편지〉·〈요한의 둘째 편지〉·〈요한의 셋째 편 지〉·〈유다의 편지〉·〈요한의 묵시록〉 등이다. 단편들에는 〈마르코의 복음서〉 16장 9~20절, 〈루가의 복음서〉 22장 43~44절, 〈요한의 복음서〉 7장 53절과 8장 1~11절이 있다. 이 모든 것이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정경에 포함되어 있고, 동방정교회와 대부분의 개신교 교회에서도 받아들이고 영지주의나 몬타누스주의 같은 이단 운동은 〈신약성서〉를 위경으로 취급했다. 이런 일들로 인해 정통 그리스도교 교회는 성서의 정경화 과정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Ⅲ. 구약의 가경
1. 가경의 의의
가경이란 헬라어 (아포크루론)인데 \'감추인 책\' \'애매한 책\' \'미지의 책\' \'신비의 책\' \'모르는 책\'이란 뜻이다. 신교에서 가경 혹은 경외서 외전이라고 하는 것은 정경(Canon)에 대해서 하는 말이다.
2. 가경의 분류
구약 가경 14권이 있다. (말라기와 마태 어간의 암흑시대에 이루어진 것)
1) 역사문학 :마해가비 제1서, 제2서, 에스라 제1서
2) 교훈서 : 벤·시락의 지혜서, 솔로몬의 지혜서
3) 소설류 : 토비트(Tobit), 유디트(Judith)
4) 예언서 : 바룩과 예레미야 서간
5) 기 타 : 므낫서의 기도, 에스더 추가서, 에스드라후서, 다니엘3서, 아자리아의 기도와 세 청년의 노래, 수산나, 종과용,
로마교회에서는 1546년부터 이 가경들을 구약성경과 동일한 성경으로 믿어온다. 그러나 신교에서는 가경을 성경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①이가경들이 히브리 성경에 포함되지 않음. ② 예수님과 사도들이 인용치 않음(암시는 있다-유대서에). ③ 히브리 학자 요세프스가(lc. 사람) 역사서를 기록할 때 영감된 성경이라 하는 구약 39권만 사용함. ④ 가정교훈이 부패한 것이 많고 정경과 배치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01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2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