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견인][traction][골절][fracture]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정형외과], 문헌고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견인][traction][골절][fracture]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정형외과], 문헌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문헌고찰]

1. 장비
1)견인(Traction)
2) GOMGO


[Case Study]

1. 질병이해
1) 해부학적 구조
2. 간호과정
1) 간호사정
3. 간호진단, 수행, 평가
#1. 상병과 관련된 동통
#2. 주사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3. 상병과 관련된 수면장애
#4.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5. 질병과 관련된 영양부족
#6. 갑작스런 수술과 관련된 불안
#7.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이행
#8. 입원과 관련된 변비
#9. 지식부족과 관련된 치료요법의 부적절한 관리
#10. 입원과 관련된 역할 수행 장애
#11. 안면부 수술과 관련된 자가간호부족

본문내용

술(CABG) 전후에 발생하는 통증의 치료
10. 신생아, 미숙아(벤질알코올을 함유하고 있다).
부작용
가슴동통, 냉한, 호흡곤란, 사지마비감, 혈압강하, 부종, 발진, 가려움증, 소화성 궤양, 위장출혈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통, 설사 드물게 구내염, 구갈, 변비, 과립구감소, 혈소판감소,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용혈성 빈혈, 출혈경향 등 혈액장애, 핍뇨, 혈뇨 등의 증상 및 요단백, BUN, 혈중 크레아티닌 상승, 두드러기 ,두통, 졸음, 현기, 불면, 신경과민, 저림, 착란, 환각, 경련 ,이명 ,혈압상승, 혈압저하, 심계항진, 빈맥
2) 간호진단, 수행, 평가
(1)간호진단
#1.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의 위험성
#2. 상병과 관련된 동통
#3. 부동과 관련된 배뇨양상의 변화
#4.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5. 부동과 관련된 자가간호부족
#6. 상병과 관련된 수면장애
#7.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이행
#8. 부동과 관련된 변비
#9. 지식부족과 관련된 치료요법의 부적절한 관리
#10. 입원과 관련된 역할 수행 장애
#11. 질병과 관련된 영양부족
주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표 및 계획
S:
“누워있으니까 불편하죠..”
“움직이면 좋겠는데..”
“등이랑 엉덩이가 결려요.”
O:침대에 누워 휴식을 취하고 있으나 활동성 저하에 대한 불만을 토로 함.
#1.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의 위험성
장기
환자는 퇴원시까지 어떠한 부위에도 피부손상이 생기지 않는다.
단기
-대상자는 완전한 피부를 유지한다.
-대상자의 피부에서 발적이 생기지 않는다
-피부상의 변화가 없다고 말할 것이다.
- 대상자는 간호사에게 피부상태에 대해 만족을 표할 것이다.
-일상적인 피부간호를 수행한다.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피부손상의 여부를 2시간마다 관찰함. ( 장시간 누워있으면 혈액순환이 잘 안되 욕창의 위험이 있다)
-등마사지를 실시하였음.( 등마사지를 하게 되면 등의 욕창 위험을 줄일수 있다.)
-체위변경을 실시하였음.( 체위 변경을 통해 한쪽에 장기간 체중이 부하됨을 막을수 있다.)
-침구에 주름이 있어 침구를 새 것으로 교환해 줌. (침구나 이불 베개로 인해 주름이 지면 피부 한쪽에 눌리게 되어 피부에 발적이 생길수 있다.
-피부보습을 위해 로션을 바르도록 교육하였음. (골절의 경우 잘 씻을 수 없기 때문에 발이나 다리의 피부가 갈라질 수 있으므로 보습로션을 바른다.)
-실금유무를 체크하고 보송보송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함..(습기가 있으면 피부가 마찰 등의 작용으로 손상되기 쉽다.)
-물침대나 공기침대등을 제공하였음.(장기간 누워있으면 돌출된 부위의 뼈나 피부가 손상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휠체어 사용을 격려하였음. (휠체어를 사용하여 움직이는 동안 혈액순환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 평가
-대상자는 간호사에게 피부손상에 대한 불만을 말하지 않았음.
-대상자는 등마사지 할때 마다 피부에서 발적을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이불은 젖어 있지 않고 마른상태이었음..
-대상자는 왼쪽 다리를 위로 하고 체위를 변경하고 있었음
-대상자는 휠체어로 하루에 한번 병동을 1회 이상 다녔다고 말함.
-대상자는 물리치료에 동참하려고 하였음.
주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표 및 계획
S:
“왼쪽다리가
아파요.”
“찌르는 듯이
아파요”
O:얼굴을 찡그림
#2.상병과 관련된
동통
장기
-퇴원 시까지 대상자는 간호사에게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고 말할 것이다.
단기
- 대상자는 통증을 느낄 때마다 통증의 특성을 간호사에게 설명할 것이다.
- 대상자는 지시된 약물 투약 후 2시간 내에 동통완화를 표현한다.
- 대상자는 2주일 내에 간호사에게 진통제는 필요없다고 말할 것이다.
- 대상자는 간호사에게 통증조절관리에 대해 만족을 표현할 것이다.
- 대상자는 통증을 경감시키는 방법(앉아 있지않는다. 통증시 PCA사용)을 간호사에게 설명한다.
- 대상자는 통증을 심화, 촉진시키는 요인을 없애거나 감소시킬 것이다.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 v/s check 하였음. (통증이 감염과 관련된 것인지 알기 위해)
- 신체적인 동통증상을 사정하고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해주었음. (환자의 통증 감소를 위해)
- 약물효과와 부작용이 보이지 않았음.(약물 투여 후 해야 하는 간호사의 의무로 약의 효과가 없다거나 상승효과일 때 보고하여 적절한 약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 진통제의 효과와 부작용을 설명해줌.(환자가 효과와 부작용을 알고 있어야 자신의 증상에 대해 잘 설명 할수 있기 때문)
- 간호사에게 통증을 알리는 방법을 교육해줌.(벨을 누르거나 내선전화사용법을 교육해서 빠른 시간내에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
- 하루에 4시간 정도만 티비를 틀도록 교육함
- 방문객의 면회시간을 교육함.(환자가 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하므로)
- 앉아있으면 통증이 더 유발됨을 교육함.(적당히 앉아 있을 수 있지만, 왼쪽 다리의 골절이기 때문에 장기간 앉아 있게 되면 체중의 부하로 다리가 아플 수 있다.)
간호 평가
- 대상자는 간호사에게 동통의 특성을 설명하였음.
- 대상자는 간호사에게 2시간이내에 지시된 약물 투약 후 동통완화되었다 함.
- 대상자는 1주일 내에 진통제 투여횟수가 주 2회를 넘었음.(-)
- 대상자는 동통조절관리에 대해 불만이 있다고 말하였음. (-)
- 약물을 투여한 후 3~4시간까지만 약의 효과가 있다고 하였음.
- 대상자는 간호사에게 동통완화를 위한 교육을 설명해보였음.
주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표 및 계획
S:
“다리아픈것보다, 이게 더 힘들어.”
“화장실 가고싶어요.”
O:침상에 누워 화장실에 가고 싶다며 배뇨의지를 말함.
#3.부동과 관련된 배뇨양상의 변화
장기
-환자는 퇴원시까지 유치도뇨를 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
- 대상자는 화장실에 잘 가고 있다고 말할 것이다.
- 대상자는 자신이 화장실을 가던 시간대로 갈 수 있다고 말할 것이다. (6회/day)
- 대상자는 소변보는 것이 불편하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다.
- 대상자는 체액의 균형을 유지한다.
- 대상자는 가족과 배뇨장애 관리 기술을 시범 보인다.
간호 중재
-환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체크하였음. (배뇨양상을 체크해야 하기
  • 가격3,3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14.02.17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9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