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뛰어나 갖가지 독성을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4-4. 풋 콩
콩의 어린 꼬뚜리가 미숙할 때 수확한 풋콩은 까먹는 재미가 있으며, 완전히 익으면 대두가 된다. 요즈음은 풋콩용 품종이 따로 개발되어 나와 있다. 풋콩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대두에는 함유되지 않은 비타민C도 많이 들어 있다. 풋콩의 메티오닌성분은 알코올로부터 간장이나 신장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풋콩의 비타민C나, 비타민B 역시 알코올 산화를 촉진 간장의 부담을 덜어주어 맥주 안주로 훌륭하다 .콩이 잘 부풀고 녹색이 진하며 크기가 고른것이 좋은 것으로 가지가 붙어있는 신선한 것을 구입해 그날 조리해 먹는것이 좋다. 냉동해 두었다가 데치거나 까서 볶음이나 튀김, 콩밥을 해 먹으면 좋다.
5. 우리콩과 수입콩
우리 콩은 우선 수입콩에 비해 단백질함량이 많고 맛이 월등하다. 또 된장, 청국장을 만들기 위한 발효시에 우리 콩은 수입콩에 비해 발효비율이 월등하고 콩나물 콩의 경우도 수입콩은 발아율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한다. 우리 콩은 수입콩보다 단백질 함량이 4.8% 높고, 수용성 단백질도 4.7%나 높다. 콩을 이용한 두부 생산량도 수입콩보다 4~10%가 많고, 두부색도 수입콩에 비해 백도면에서 우수하다. 발아율은 국산콩이 94.4% 정도가 정상발아를 하는 반면 수입콩은 73%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소비하는 콩의 양은 90%이상이 수입콩에 의존하고 있다.우리 콩은 수입콩에 크기가 가장 크며 눈 주위에 작은 보라색의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6. 콩을 이용한 식품들
6-1. 두 부
콩으로 만든 대표적인 식품이다. 대두를 불리고 갈아서 간수를 첨가하면 단백질이 응고되는데 이것을 눌러 단든 것이 두부다. 콩의 대부분인 단백질과 함께 칼슘이 풍부하다, 부드럽고 소화도 잘 되므로 다이어트 식사로도 그만이다. 굳히기 전의 상태는 순두부, 살짝 누르면 연두부, 그리고 보통 부두로 찌개나 전용으로 사용된다.
6-2. 청국장
대부를 충분히 불려 푹 삶은 후 발효시킨 것이 청국장이다. 최근 건강이나 체중관리를 목적으로 청국장을 섭취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청국장은 바실러스균에 의해 대두를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돼 있으므로 일반콩에 비해 소화흡수율이 95%로 월등히 높다. 또한 정장작용, 노화방지, 항암효과, 혈압강하 효과, 빈혈예방, 혈전용해효소, 식이섬유가 많아 변비예방과 당뇨병의 치료에도 효과가 좋다.
6-3. 두 유
두부를 걸러내고 남은 줍이다. 두유는 우유에 비해 유당이 들어있지 않아 우유를 마실 때 설사를 하는 사람에게 안성맞춤, 또 두유는 식물성 식품이므로 콜레스테롤이나 동물성 지방 걱장이 없다. 최근에는 두유에 부족하기 쉬운 칼슘을 강화한 두유나 검은콩, 검은깨를 첨가한 제품들이 나와 맛과 영양이 한층더 강화되고 있다.
6-4. 된 장
콩으로 만든 대표적인 발효식품이다. 된장은 청국장과는 달리 누룩곰팡이에 의해 발효된다. 성분이나 효능은 콩으로 만드는 다른 발효식품과 유사하지만 쌈장이나 찌개용 등으로 우리 입맛에 무난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
4-4. 풋 콩
콩의 어린 꼬뚜리가 미숙할 때 수확한 풋콩은 까먹는 재미가 있으며, 완전히 익으면 대두가 된다. 요즈음은 풋콩용 품종이 따로 개발되어 나와 있다. 풋콩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대두에는 함유되지 않은 비타민C도 많이 들어 있다. 풋콩의 메티오닌성분은 알코올로부터 간장이나 신장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풋콩의 비타민C나, 비타민B 역시 알코올 산화를 촉진 간장의 부담을 덜어주어 맥주 안주로 훌륭하다 .콩이 잘 부풀고 녹색이 진하며 크기가 고른것이 좋은 것으로 가지가 붙어있는 신선한 것을 구입해 그날 조리해 먹는것이 좋다. 냉동해 두었다가 데치거나 까서 볶음이나 튀김, 콩밥을 해 먹으면 좋다.
5. 우리콩과 수입콩
우리 콩은 우선 수입콩에 비해 단백질함량이 많고 맛이 월등하다. 또 된장, 청국장을 만들기 위한 발효시에 우리 콩은 수입콩에 비해 발효비율이 월등하고 콩나물 콩의 경우도 수입콩은 발아율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한다. 우리 콩은 수입콩보다 단백질 함량이 4.8% 높고, 수용성 단백질도 4.7%나 높다. 콩을 이용한 두부 생산량도 수입콩보다 4~10%가 많고, 두부색도 수입콩에 비해 백도면에서 우수하다. 발아율은 국산콩이 94.4% 정도가 정상발아를 하는 반면 수입콩은 73%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소비하는 콩의 양은 90%이상이 수입콩에 의존하고 있다.우리 콩은 수입콩에 크기가 가장 크며 눈 주위에 작은 보라색의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6. 콩을 이용한 식품들
6-1. 두 부
콩으로 만든 대표적인 식품이다. 대두를 불리고 갈아서 간수를 첨가하면 단백질이 응고되는데 이것을 눌러 단든 것이 두부다. 콩의 대부분인 단백질과 함께 칼슘이 풍부하다, 부드럽고 소화도 잘 되므로 다이어트 식사로도 그만이다. 굳히기 전의 상태는 순두부, 살짝 누르면 연두부, 그리고 보통 부두로 찌개나 전용으로 사용된다.
6-2. 청국장
대부를 충분히 불려 푹 삶은 후 발효시킨 것이 청국장이다. 최근 건강이나 체중관리를 목적으로 청국장을 섭취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청국장은 바실러스균에 의해 대두를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돼 있으므로 일반콩에 비해 소화흡수율이 95%로 월등히 높다. 또한 정장작용, 노화방지, 항암효과, 혈압강하 효과, 빈혈예방, 혈전용해효소, 식이섬유가 많아 변비예방과 당뇨병의 치료에도 효과가 좋다.
6-3. 두 유
두부를 걸러내고 남은 줍이다. 두유는 우유에 비해 유당이 들어있지 않아 우유를 마실 때 설사를 하는 사람에게 안성맞춤, 또 두유는 식물성 식품이므로 콜레스테롤이나 동물성 지방 걱장이 없다. 최근에는 두유에 부족하기 쉬운 칼슘을 강화한 두유나 검은콩, 검은깨를 첨가한 제품들이 나와 맛과 영양이 한층더 강화되고 있다.
6-4. 된 장
콩으로 만든 대표적인 발효식품이다. 된장은 청국장과는 달리 누룩곰팡이에 의해 발효된다. 성분이나 효능은 콩으로 만드는 다른 발효식품과 유사하지만 쌈장이나 찌개용 등으로 우리 입맛에 무난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
추천자료
감귤의 기능성 성분의 이화학적 특성 및 유효성
마케팅 관리 광고 편 검은콩우유
청국장의 효능, 성분
포도의 특징과 효능 및 영양성분
담배의성분이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느낀점
[녹차][녹차잎][녹차 유래][녹차 성분][녹차 효과][녹차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녹차와 노화...
토마토의 특징과 효능 및 영양성분
브로콜리의 특징과 효능 및 영양성분
마늘의 특징과 효능 및 영양성분
[식용작물,유료작물,약료작물,기호작물,섬유작물]식용작물(구황작물)(벼,콩,고구마,감자,녹두...
발효미생물학 - 종균 배양 및 콩 koji 제조
[된장][된장 유래][된장 종류][된장 규격][된장 성분][된장 효과][된장 제조방법]된장의 유래...
단백질의 기능 성분 및 특성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