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교성립의 사상적 배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밀교의 의의
1. 밀교의 개념
1) 밀교(密敎)의 뜻
2) 현교와 밀교
2. 밀교의 태동
3. 밀교의 가르침 주요내용

Ⅱ. 밀교경전의 성립
1. 밀교의 시대적 구분
1) 초기밀교
2) 중기밀교
3) 후기밀교
2. 시대별 밀교경전
1) 초기밀교경전
2) 중기밀교경전
3) 후기밀교경전

Ⅲ. 밀교사상의 사상적 근거
1. 緣起法과 般若사상
1) 연기법
2) 12 연기

본문내용

하는 맹목적 번뇌이다. - 이세상 만법이 서로 연하여 일어나고, 또 서로 상호의존관계에 있음을 모르는 것.
- 제 1근본 문제이다.
(2) 행(行)
- 행은 결합작용이며, 행에 의해 업을 쌓게 된다. 이 업은 미래 작용의 힘(잠재력)이 된다. 또 이 업의 근본원인은 과거생의 무명이다. 그러므로 무명이 제1근본 문제가 된다.
과거의 기억이나 경험이 현재나 미래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아뢰아식에 저장되어 있는 업과 그 업력의 발동으로 제 6식이 움직인다.
(3) 식(識)
- 6식(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법)식)이 주체적으로 능동적으로 작용을 해야만 6근(안,의.비,설,신,의)과 6경의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그래야 감수작용이 일어난다.
- 어떠한 대상을 보면서 과거의 기억과 경험을 되살려 의식을 일으키게 된다.
(4) 명색(名色)
- 정신적인 名과 물질적인 色이 對境을 같이한다.
- 정신적인 對境은 意(法)境이다.
- 물질적인 대경은 色境 /聲境 /香境 /味境 /觸境이다.
(5) 육입(六入)
- 육입은 6근을 말한다. 즉 육체적인 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과 정신적인 意根이다.
(6) 촉(觸)
- 6根, 6境, 6識의 3자가 접촉하여 생리와 심리에 걸친 움직임이 필요불가결 조건이 된다. 이 3자의 접촉이 촉이다. 부딪침을 말한다.
(7) 수(受)
- 애욕은 생명체가 受라는 작용을 할 경우에 일어난다. 자기 생명내용을 감수하는 능동적 작용에 의하여 애욕이 끓어오른다. 이 감각적 욕구는 5根을 통하여 일어난다.
(8) 애(愛)
- 취(집착)이 일어나는 것은 애욕 때문이다. 애욕이란 갈애를 뜻한다.
(9) 취(取)
- 취란 자기 생명에 집착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이 원인이 되어 오온이 가화합하여 또 하나의 생명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고뇌에 쌓여 있는 존재가 자기로의 집착이 있으므로 새 생명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10) 유(有)
- 오온으로 형성이 되며, 욕심과 욕망과 집착의 굴레에 둘려 쌓여있는 이기적인 존재이다. 유는 존재이며 삼계(욕계/색계/무색계)에 생을 받는 것이다.
(11) 생(生)
- 질병과 괴로움의 근거로 生 그자체이다.
(12) 老死
- 생명체의 노쇠와 죽음 그 자체가 고뇌이다.
2. 般若사상
근본불교에서 부처님께서 설하신 가장 근본적인 가르침은 연기이다.
부처님은 이 세상 모든 것은 서로 의존관계에 있음을 설하였다.
이 <상호의존>이란 관계 속에서 모든 것이 이루어지며, 이 관계가 바뀌면 새로운 질서가 연출된다. 그리하여 이것이 있을 때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겨날 때 저것이 생겨난다. 생명이 존재하려면 땅과 물과 공기와 빛이 필요하다. 그 외에도 수 없는 존재가 있어야 한다. 생물이나 무생물도 함께 존재하고 공존해야한다. 그러므로 그 어떤 것도 소중하지 않은 것은 없다.
따라서 이 의존관계 속에서 평등과 평화라는 것을 생각해야한다. 즉 내가 귀한 만큼 내가 의지하고 있는 모든 것이 다 존귀하다.
부처님의 많은 설법도 이 연기법으로부터 출발했으며, 이 연기법의 이치를 철저히 깨우치면 부처님 법문의 모든 것을 다 터득할 수 있다.
대승불교시대의 반야사상은 연기법의 無我사상을 발전시킨 것이다. 諸法의 無自性과 더불어 진리의 세계로서 연기의 현상적 측면을 동시에 설한 것이다. 대승불교에서는 연기의 이치를 空으로 나타내었다.
<반야심경>에서 “色不異空 空不異色”은 眞理의 현상과 空性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밀교의 성립은 대승불교시대에 전개된 반야사상과 중관, 유식 등의 사상적 배경을 기반으로 전개된 것이지만 그 근본은 연기법의 전통에 따른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6.04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2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