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사상,박제가,북학의,경제사상]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의 작성배경, 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의 구성과 중심내용, 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에 나타난 박제가의 경제사상, 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의 경제사상적 평가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학사상,박제가,북학의,경제사상]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의 작성배경, 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의 구성과 중심내용, 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에 나타난 박제가의 경제사상, 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의 경제사상적 평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의 작성배경

Ⅲ. 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의 구성과 중심내용
1. 북학의의 구성
2. 북학의의 중심내용
1) <북학의>의 정신
2) 전통적인 검약주의에 대한 반대
3) 상업의 중시

Ⅳ. 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에 나타난 박제가의 경제사상

Ⅴ. 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의 경제사상적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셈이다. 박제가가 상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상업, 그러니까 물자 유통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 사람들의 중국의 시장이 번성한 것을 보고 장사꾼의 이익만을 숭상한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 것이다. 상인은 엄연히 사민(四民: 사농공상)의 하나이며, 상업으로서 나머지 사농공 사이를 유통시키는 것이니, 그 숫자가 사민의 10분의 3은 되어야 한다.\'
박제가는 국내 상업 유통에서 더 나아가 외국과의 무역을 활성화할 필요성도 강조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이 <북학의> \'통강남절강상박의\'(通江南浙江商舶議)에 나와 있다. 이 제목을 풀어 옮기면, \'중국의 강남 및 절강 지방과 상선을 통해 교역하는 것에 대한 견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등주, 내주의 배가 장연에 정박하고, 금부, 해개의 물건을 선천에서 교역하며, 장강, 절강, 천주, 장주 지역의 여러 재화를 우리 나라의 은진, 여산 사이에 모이도록 합니다. 그렇게 하면 영남 지방의 면(綿)과 호남 지방의 모시와 서북 지방의 실과 삼베 등이 중국의 비단, 담요와 교환될 것이고, 각 지방의 산물을 중국의 금, 은, 병갑, 약재 따위와 교환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선박, 수레, 궁실, 기물의 이로움도 배울 수 있습니다.\'
요컨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리적 특성을 이용해서 중국과의 해상 무역을 활성화시키자는 견해이다. 이 글 다음에는 중국뿐만 아니라 안남(베트남), 유구(오키나와 지역), 대만 등으로까지 차차 무역 범위를 확대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이어진다. 이러한 박제가의 견해는 결국 조선의 문호를 여러 나라에 개방하자는 주장이나 다름없었으니, 당시로서는 무척 혁명적인 주장이었다. 이 때문에 조선 말기의 개화파 사상가들의 사상적 연원을 박제가를 비롯한 실학자들에게서 찾는 경우마저 없지 않다.
Ⅳ. 실학자 박제가 북학의에 나타난 박제가의 경제사상
무늬 있는 비단 옷을 입지 않으므로 비단 짜는 기계가 없고, 따라서 여자의 바느질 솜씨도 쇠하여졌으며, 풍악을 숭상하지 않으므로 오음과 육률이 화하지 못합니다. 물이 새어 드는 배를 타고, 멱감지 않은 말을 타며, 비뚤어진 그릇에 밥을 담아 먹고, 먼지가 푸석거리는 방에 거처하므로 공장과 목축과 질그릇 장수의 일이 망하였습니다. 따라서 농사일로 거칠어져서 제 시기를 놓치고, 장사도 이윤이 박하여져서 일을 잃게 되었습니다. 사민이 다 같이 곤란하여 서로 돕지 못하니, 저 가난한 사람은 날마다 사치하도록 채찍질하여도 될 수 없을 것입니다. <박제가 북학의 >
영동에는 꿀은 생산되나 소금이 없고, 관서에는 철이 생산되나 감귤이 없으며, 북도에는 삼베는 잘 되어도 무명이 귀하다. 또 두메에는 붉은 팥이 흔하고, 해변에는 생선 젓과 메기가 흔하다. 그 밖에도 영남 옛 절에서는 종이를 생산하고, 청산보은에는 대추나무 숲이 많고, 강화는 한강 입구에 있는데 감이 많다. 이런 물자를 서로 이용하여 쓰임새를 풍족하게 하고 싶어도 힘이 자라지 못한다. <박제가 북학의 >
놀고 먹는 자는 국가의 좀입니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7.2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5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