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적출술(수술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궁적출술(수술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술을 받는 환자에게 개복술과 비교하여 시술의 이점과 합병증, 마취의 부작용에 대해 설명하고, 반드시 개복술의 가능성도 설명하여 동의서를 받는다. 수술이 예정된 환자는 전날 밤 12시 이후부터 금식하고, 심한 자궁내막증이나 복강내 협착이 있거나 필요한 경우 충분한 bowel preparation 이 필요하다.
② 환자의 체위 : 시술시 환자의 체위는 성공적인 수술을 위한 필수조건중의 하나이며, low lithothomy position을 취하게 한 후 소독액(povidine-iodide)으로 늑공 및에서부터 하복부, 대퇴부, 둔부까지 소독한다. 도뇨관으로 방광 비우고 자궁거상기를 삽입하여 자궁을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소독된 포로 상복부 위의 부분과 다리의 drapping을 한다.
③ 시술과정
- 복강경 수술시 기복의 형성을 subcutaneous tissue 와 preperitoneal tissue가 가장 적은 제대 주위 부위(umbilical area)에 Veress needle을 이용하여 large vessel이 있는 위치를 피하며 복벽을 손이나 기구를 이용하여 상부로 들어올린 다음 자궁저 방향으로 비스듬히 삽입한다. needle이 제대로 복강내에 삽입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식염수가 든 주사기를 이용하여 쉽게 들어가고 다시 나오지 않을 경우, 복벽을 들어올리면 음압에 의하여 소리가 난다든지 하여 확인하게 된다. 기복형성시 복압은 12mmHg을 유지하면서 주입한다. 사용되는 gas로는 불연성이고 경제적인 CO₂ gas를 주로 사용하지만 이는 복강액에 용해되어 carbonic acid를 형성할수 있어 복막과 횡격막을 자극하여 수술 후 복부와 어깨의 불쾌감을 초래할수 있다. 심할 경우에는 Metabolic acidosis, repiratory acidosis를 일으킬 수 있고, 혈액내 CO₂ gas 증가와 복막자극에 의한 과도한 casovagal reflex로 sinus tachycardia, ventricular arrhythmia, asystole 등의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내시경을 삽입한 수 전반적인 부위 특히 omentum, bowel, pelvic vessel의 기시부 등을 확인하여 Veress needle 및 trocart 삽입 시 손상이 없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다음에 골반장기, 간, 담낭, 및 대장 등을 확인하고, 2차 trocar를 복강경화에서 복벽을 보면서 삽입을 한다. 두 번째부터의 trocar 삽입 시 손상이 없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다음에 골반장기, 간, 담낭, 및 대장 등을 확인하고, 3차 trovar를 복강경화에서 보벽을 보면서 삽입을 한다. 두 번째부터의 trocar 삽입은 수술의 종류에 따라 크기, 개수, 위치 등이 결정된다. Trocar 삽입시 복벽혈관 (epigastric vessels)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finger palpation 및 복벽 transillumination 등으로 확인 후 삽입하여야 한다. trocar가 모두 삽입되며 주의 깊게 골반장기를 확인하여야 하는데, 난소, 자궁, perioneal wall, vesico-uterine space, Cul-de-sac등을 살펴 본다. 복강경 수술후 복강내를 liter 정도의 Ringer\'s lactate soulition 으로 세척한다.underwater vision이나 CO2를 배출하여 복압을 감압하면서 small vessel bleeding을 확인한다. 수술 후 동통을 예방하기 위해 trocar valve를 완전히 열고 CO₂gas를 완전히 제거해야 되며, trocar제거 후 봉합사 (Vicryl 4/0)를 사용하여야 하며 suture을 시행하여야 한다. 절개부위가 큰 경우는 Vicryl 2/0 등을 사용하여야 하며 절개 부위에 국소마취제를 주사하여 수술 후 절개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Ⅱ. 본론
1. 이 름 : 임 ○ ○
2. 연 령 : 43세
3. 성 별 : Female (여성)
4. 체 중 : 64 kg
5. 신 장 : 157cm
6. 과거병력 : 무
7. 수 술 력 : 무
8. 산 과 력 : 2-0-2-2
9. 월 경 력 : 간격: Regular 기간: 7~10일 양: large 통증: mild
10. 입원날짜 : 2005년 05월 10일
11. 수술날짜 : 2005년 05월 11일
7. 의학적 진단명 : 수술전 : Uterus Myoma 수술후 : Uterus Myoma
8. 수 술 명 : LAVH (복강경을 이용한 질식 자궁적출술)
9. 마취종류 : GA(전신 마취)
약 물 명
분 류
적 응 증
부 작 용
금 기
Propofol
전신 마취제
전신 마취의 유도 및 유지
저혈압, 서맥 고혈압, 급성경련, 두통,
구역, 무호흡, 호흡곤란
본제 과민증자
Succinylcholine
chloride
근이완제
마취시의 근이완, 기관내 삽관시 근이완 유지, 골절탈구의 정복시, 후두경련의 근이완, 정신신경과의 전기 충격요법시 근이완
쇼크, 악성고열, 심정지, 서맥, 빈맥, 수술후 근육통, 피부발진
본제 과민증, 중증열상, 다발성 외상, 악성고열, 사지마비, 선천성 근긴장성 질환자
Recuronium
bromide
근이완제
마취시 근이완, 기관내 삽관기 근이완유지, 기계적 호흡용이, 수술시 근이완
쇼크, 과민증, 서맥, 빈맥, 저혈압, 기관지 경련, 지속적호흡억제
본제 과민증
Enflurane
전신마취제
전신마취의 유도 및 유지 (O₂또는
N₂O와 혼합가스로 유도)
간장애, 호흡억제, 부정맥, 이상뇌파, 기침, 기관지인후의 경련, 구역, 구토
할로겐 마취제를 사용하여 황달 또는 원인불명의 발열 기왕력자
10. 사용된 마취제 및 근 이완제
11. 피부준비 및 절개, 체위
- 피부준비(소독범위) : 모든 복부와 대퇴부, 회음부
- 체위 : 쇄석위 (Lithotomy)
- 환자 마취후 수술복을 벗기고 체위를 쇄석위(Lithotomy)로 고정하였다. 그 후 수술 부위 및 그 주위를 (모든 복부와 대퇴부 및 회음부) Betadine으로 닦은 후 소독된 포로 덮어 두드려 닦아 말린후 Betadine solution에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6.15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2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