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서평/요약] 성격심리학 요약 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후감/서평/요약] 성격심리학 요약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3장 프로이드

제4장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제5장 융의 분석심리학제

6장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 이론

제7장 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

제8장 머레이의 욕구 및 동기이론

제9장 프롬의 성격유형

제10장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제12장 캐텔의 특질이론

제13장 생물학적 유형론과 성격의 5요인 모델

제14장 매슬로우의 자아실현 접근

제15장 로저스의 인간중심 접근

제16장 실존주의적 접근

제17장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 형성

제18장 로터의 사회적 학습이론

제19장 반두라의 사회적 인지이론

제20장 켈리의 개인구성개념 이론

제21장 엘리스와 벡의 인지적 성격이론

본문내용

다.
2. 개인적 성향에 속하는 세 가지 유형의 특질이 무엇인지 밝히고 각각을 예를 들어 간략하게 설명하라.
① 주특질(cardinal traits) : 주특질은 개인에게 매우 지배적이며 거의 모든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주특질은 극소수의 사람에게만 있다. ex) 테레사수녀의 주특질은 이타주의(테레사 수녀하면 모두 동의하는 것)이다.
② 중심특질(central traits) : 중심특질은 개인의 행동을 기술하는 5~10가지 정도의 두드러 진 특질이다. 주특질에 비해 덜 일반적이고 덜 지배적인 특질이다. 보통사람들이 가지는 것이다. 중심특질은 우리가 누군가의 추천서를 쓸 때 언급하는 개인의 특성이다. ex) 개 인이 갖는 공격성 자기연민 냉소주의 등이다.
③ 이차적 특질(secondary traits) : 이차적 특질은 개인에게 가장 적게 영향을 주는 개인 특질로 주특질과 중심특질보다 덜 두드러지고 덜 일관적으로 나타난다. 자기가 미처 인식 못한 특질이다. 이차적 특질은 좀처럼 드러나지 않고 매우 약해서 특정 선호 태도를 남 들은 모르고, 매우 절친한 친구만이 그것을 알 수 있는 특질이다. ex) 너 이런 면도 있었어?, 노래방에 가면 A는 성격은 밝은데 슬픈 노래만 부른다., B는 노래방에 가면 노래는 안한다.
3. 특질과 태도를 구별하는 두 가지 방식에 대해 기술하라
* 특질 : 다양한 종류의 자극에, 같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반응 할 경향 또는 사전성향을 말한다. 특질은 실제적이고 밖으로 나타나고(행동, 표정, 필체 등으로) 행동을 결정하거 경험적으로 증명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변한다(다른 특질들이 드러나거나 드러나지 않는다)
첫째, 태도는 항상 구체적인 참조 대상이 있다. 즉 개인은 동성애자 교사 학교 도시 등에 대한 태도를 가지지만, 특질은 구체적으로 단일 대상 혹은 집단에 지향되지 않는다(~에 대한 특질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둘째, 태도는 어떤 것에 대해 긍정적 혹은 부정적 평가 혹은 판단을 수반(좋고 나쁨이 들어감)한다. 따라서 태도는 개인으로 하여금 어떤 대상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도록, 접근하거나 회피하도록 이끈다. 특질은 긍정적 혹은 부정적 평가 혹은 판단을 수반 안(좋은 특질 혹은 나쁜 특질이라 말하지 않음)한다.

4. 기능 자율성의 의미를 설명하고 두 가지 수준이 무엇인지 기술하라.
‘기능 자율성’이란 성숙하고 정서적으로 건강한 성인의 동기는 그러한 동기가 원래 나타났던 과거경험에 기능적으로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즉 성인의 동기는 아동기의 경험과 독립적이라고 보는 것이다. (올포트는 기능 자율성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나무의 예를 들었다. 명백히, 나무의 성장과 발달은 씨앗으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그러나 나무가 충분히 성장했을 때, 씨앗은 더 이상 영양의 원천으로서 필요하지 않다. 성장했을 때 나무는 이제 자기 결정적이고, 더 이상 기능적으로 씨앗과 관련이 없다.)
① 지속적 기능 자율성
지속적 기능 자율성은 보다 기초적 수준으로 낮은 수준의 습관적 행동과 관련된다. 어떤 일상적 과업을 수행하는 습관적인 방식(특별한 지각이나 선택없이)으로 어떤 외적 보상 없이도 계속되거나 지속된다.
② 고유자아 기능 자율성
고유자아 기능 자율성은 성인 동기의 이해에 필수적이다. 고유자아(proprium)란 자아(ego) 혹은 자기(self)를 나타내는 말이다. 고유자아의 동기는 개인에게 독특하며, 어떤 동기를 유지하고 포기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개인의 고유자아 기능은 자신의 정체감을 유지하는 조직화 과정이다. 우리는 이러한 조직화 과정을 통해 세계를 지각하는 방법, 경험으로부터 기억하는 것, 사고가 지향되는 방법을 결정한다. (자신만의 동기를 가지고 현재에서 행동한다.)
5. 올포트가 제안한 고유자아의 발달단계를 간략하게 설명하라.
① 제 1 단계 : 신체적 자아
어린 유아는 점차적으로 자기 안의 어떤 것과 밖에 있는 다른 것들 간의 막연한 구분을 하기 시작한다. 약 15개월이 되면 고유자아의 첫 번째 단계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신체적 자아이다.
② 제 2 단계 : 자아정체감
아동은 자신이 독립된 사람으로 항상 동일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특히 이름은 자기의 자아를 동일시하고 세상의 다른 모든 사람들의 자아와 구별되는 자기 존재의 상징인 것이다.
③ 제 3 단계 : 자존심
스스로 어떤 것을 하기 위한 아동의 자부심과 관련된다. 이 시기에는 아동의 탐색욕구가 극에 달하는데 만약 부모들이 아동의 탐색적인 욕구를 저지시킨다면 자기 존중감이 손상을 입을 수도 있으며 굴욕과 분노에 대한 감정이 일어날 수도 있다.
④ 제 4 단계 : 자아확대
어린이는 주위의 다른 사람들과 사물 등을 알게 되며, 그것들 중의 일부가 자기 것에 속한다는 사실도 알게 된다.
⑤ 제 5 단계 : 자아상
자아상은 아동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며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의견을 말한다. 이러한 자아상은 부모와 어린이 사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발달한다.
⑥ 제 6 단계 ; 이성적 대처로서의 자아
학교에 들어간 후에는 교사와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좀 더 중시되는 활동과 설명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도록 강요받기 때문에 새로운 규칙과 기대를 배운다. 또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과정에 의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는 것도 알게 된다.
⑦ 제 7 단계 : 고유적 갈망
청년은 두 살 때의 자아 정체감과는 전혀 다른 차원인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에 사로잡힌다. 이러한 정체감의 탐색은 생의 목표를 정하는 일이다. 이와 더불어 청년의 의도, 포부, 희망은 성숙한 성격의 소유자에게 동기를 유발시킨다. 올포트의 말에 따르면 이런 \'목표를 지향하는 일\'은 건강한 성격에 대단히 중요하다.
6. 올포트가 제안한 건강한 성인의 성격에 대한 준거를 바탕으로 당신의 성격이 건강한지를 비교하라.
① 건강한 사람은 자아의식이 확대되어 있다.
② 건강한 사람은 자신과 타인들의 관계를 따뜻하게 맺는다.
③ 건강한 사람들은 정서적으로 안정적이다.
④ 건강한 사람은 현실적으로 지각한다.
⑤ 건강한 사람은 기술과 과업을 가지고 있다.
⑥ 건강한 사람은 자기를 객관화시킬 수 있다.
⑦ 건강한 사람은 통일된
  • 가격3,0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09.06.18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