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색의 기법과 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염색의 기법과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납방염
1) 납 방염 기법
2) 납 방염의 공정
2. 날염(捺染, textile printing)
1) 염료에 따른 분류
2) 형지날염 과정
3) 블록날염
4) 손스크린날염

3. 기계날염
1) 주행식 스크린날염
2) 자동스크린 날염
3) 로터리 스크린날염
4) 롤러 날염
5) 실크스크린 날염(Silk Screen Printing)

4. 교염(絞染; Tie-dye);홀치기염

5. 유염(Marbling); 자연스런 패턴이 특징

6. 콘염(Cone)

7. 전사염

본문내용

한 것으로 자동 스크린날염과 동일하게 무한벨트에 접착제로 원단을 부착시켜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진행. 엷은 금속망으로 된 원통형의 스크린 내부에 스퀴지가 들어 있어 날염호는 별도의 준비된 통으로부터 관을 통해 펌프로 공급되어 인날.
4) 롤러 날염
무늬를 철제 롤러에 조각 후 크롬도금한 롤러의 음각 부분에 날염호를 부착시켜 생지에 압착시킴. 스크린없이 인날 할 수 있다. 다색일 경우 무늬 조각 롤러의 리핏이 어려워지므로 롤러 날염은 대체로 4색 기준으로 한다. 작은 패턴이나 경사선 무늬 사선연속무늬등 가는 선이나 세밀한 표현에 적합하다. ‘습상인날’방식이고, 값싼생지나 안료 날염시 많이 이용된다.
5) 실크스크린 날염(Silk Screen Printing)
날염의 일종이며, 스크린판을 사용하여 무늬를 찍어내는 염색법으로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 일반적으로 침엽이 피염물 전체를 동일하게 염색하는 반면, 스크린 날염은 부분적으로 채색하여 무늬를 나타내는 염색방법을 말한다. 실크 스크린 날염은 염료나 안료 등을 점성이 있는 풀 또는 수지와 혼합하여 만든 색호를 스크린에 새겨진 무늬막을 통과시킴으로 피염물 전체 또는 일부를 여러 색상으로 찍어내어 무늬를 나타냄.
(1) 스크린 날염의 특징
다른 염색기법에 비하여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므로 고도의 기술이 없이도 가능하며, 한 스크린 판을 사용하여 동일한 문양을 여러 색으로 날염할 수 있으나, 색수에 따른 프레임(Frame) 판을 필요로 한다. 판염이 형상을 반대로 제작하는데 비해 실크 스크린염은 스크린상의 문양을 바로 새김으로 편리하며, 사용하는 색상 수에 다라 표현 방식이 다양하다.
(2)필요한 도구
① 날염대 : 수공날염의 작업대로서 철제, 목재 등으로 제작되며, 날염면이 15~30°정도 경사지게 한다.
② 감광대 : 작업대 내부에 강한 빛을 쏘아 스크린에 바른 감광액이 감광되게 하는 장치로 주로 암실에서 사용한다. 근래에는 특수 필름을 사용하여 암실 밖에서도 간단히 사용할 수 있다.
③ 형틀 : 스크린을 고르고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고정 틀로서 일반적으로 목재가 많이 사용된다.
④ 스크린 샤(紗) : 스크린 판을 위한 망사로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등의 질긴 화학섬유의 얇은 망사천으로 주로 80~150 수 정도의 샤직물일 사용된다.
⑤ 스퀴지(Squeegee) : 스퀴지는 스크린에 색호를 인날하는 도구로서 아랫부분에 약 1cm 의 두께의 특수 고무날이 붙어 있다.
(3) 작업과정
① 디자인한 문양을 트레싱지나 필름에 옮기고 도안에 맞는 샤(紗;80~150수)를 선택한다.
② 도안 보다 큰 형틀에 샤를 고정시킨다.
③ 감광과정 : 암실에서 스크린에 감광액을 따라 적당한 두께로 발라 건조. 디자인된 필름을 스크린 판에 얹고 감광기에서 감광시킨다. 감광시킨 틀을 물에 담궈 수세하여 현상하고 건조시킨다. 마른 후 카슈를 칠한다.
④ 안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필요한 색상에 합성수지액과 희석제를 적당하게 배합하여 조제한다.
⑤ 날염대에 천을 고정시키고 그 위에 재판한 실크스크린 판을 밀착시킨 후 조제한 안료를스크린 판위에 얹고 스퀴지로 인날한다.
⑥ 중열처리 시킨 후 수세하여 건조시킨다.
4. 교염(絞染; Tie-dye);홀치기염
교염은 염색기법중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그 명칭은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플랑기(Plangi)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일본에서는 시보리(Shibori), 인도에서는 반다나(Bandhana) 또는 춘리(Chunri), 우리나라에서는 교염 또는 홀치기 염색으로 불린다.
교염은 실이나 끈 또는 나무 껍질 등으로 천의 일부를 묶기(Bound Resist), 접기(Fold dyeing),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6.18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9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