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영상의 긴박한 필요성
2. 해고회피노력
3. 객관적이고 공정한 대상자 선정
4. 근로자측과의 사전협의
2. 해고회피노력
3. 객관적이고 공정한 대상자 선정
4. 근로자측과의 사전협의
본문내용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다면 회사가 사전협의를 거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볼 때 정리해고는 유효하다(대법원 92. 8. 14. 선고, 92다 16973 판결).
② 정리해고 요건 중 사전협의 요건 완화
정리해고의 실질적 요건이 충족되어 해고의 실행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한편 근로자들을 대표할 만한 노동조합 기타 근로자집단도 없고 취업규칙에도 그러한 협의조항이 없으며, 또 해고대상근로자에 대하여는 해고조치 외에 마땅한 대안이 없어서 그 근로자와의 협의절차를 거친다고 하여도 별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있는 때에는 사용자가 근로자측과 사전협의절차를 거치지 아니하였다 하여 그것만으로 정리해고를 무효라고 할 수 없다(대법원 92. 11. 10. 선고, 91다19463 판결).
② 정리해고 요건 중 사전협의 요건 완화
정리해고의 실질적 요건이 충족되어 해고의 실행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한편 근로자들을 대표할 만한 노동조합 기타 근로자집단도 없고 취업규칙에도 그러한 협의조항이 없으며, 또 해고대상근로자에 대하여는 해고조치 외에 마땅한 대안이 없어서 그 근로자와의 협의절차를 거친다고 하여도 별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있는 때에는 사용자가 근로자측과 사전협의절차를 거치지 아니하였다 하여 그것만으로 정리해고를 무효라고 할 수 없다(대법원 92. 11. 10. 선고, 91다19463 판결).
추천자료
해고자유에 대한 제한
근로기준법-해고
[노동법] 노동관계의 종료 - 해고
[부당해고][부당해고구제][부당해고 개념][부당해고 사례][부당해고 구제신고][부당해고 법적...
전직과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연구
노조법상 단체협약의 종료관련 판례 연구
노조법상 반조합계약 관련 판례 연구
노조법상 지배 개입 관련 판례 연구
부당해고 구제제도 -구제절차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
근로관계의 종료와 관련한 법적 이슈 총정리
인적자원관리론 해고제도
여성 불평등의 정의, 원인, 사회적 불평등, 입사, 승진, 보육, 육아휴직, 임금, 해고, 변화, ...
[차별][차별적 취급][차별적 처우][차별적 부당해고][차별적 경쟁우위][차별적 다중전송기법(...
[징계, 징계 의미, 징계 종류, 징계 범위, 징계 시효, 징계 효력, 징계와 징계해고, 징계해고...
소개글